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편하게 치킨 튀기는 방법

내맘대로 ㅋㅋ 조회수 : 8,738
작성일 : 2012-02-01 10:01:18
아아주 예전에 치킨 집에서 튀겨 드시냐고 잡담 올린 사람인데요
댓글을 보고 아주 쪼끔 더 연구하여 집에서 편하게 치킨 튀기는 방법을 조금 업그레이드했어요 ㅋㅋㅋ
요리고수님들 보시고 비웃지 마시어용~ ^^; ㅎㅎ
일단 반드시 필요한 준비물은 뚜껑 달린 무쇠냄비입니다~~~ ^^

1. 닭을 산다. 정육점에서 토막내달라고 하심 됩니다. 보통 마트에서 잘라서 파는 닭도 많지요.
그런데 튀기는 닭은 신선한 게 생명이에요. 여러 마트나 정육점에서 먹어보고 제일 신선하고 맛있는 걸 파는 데서 사오시면 좋습니다. ^^

2. 양파를 그냥 믹서기에 갑니다... 그냥 갈면 안갈리니까 작게 토막치는 것까지는 해줘야돼요.
저는 강판... 따위 귀찮아.
양파 갈아서 즙만 내서 하라는데... 아 그것도 언제하냐 -_-; 양파 그냥 갈아서 토막쳐논 닭에다가 투하해요.
이거 말고 다른 밑간 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고요... 이건 어디까지나 걍 편하게 먹는 방법이니
더 좋은 밑간 방법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암튼 양파를 걍 갈아서 닭에다 버무려요. 소금 후추 뿌리셔야 하고요. 이렇게 30분...

3. 그 닭을 그냥 씻어요 ㅋㅋㅋㅋㅋㅋ 아 이건 귀차니즘의 절정이여... 30분 정도 재워 놓았던 닭을 걍 찬물에 샤워시키면
양파건더기 떨어져 나가고 핏물같은 것도 씻기거든요... 닭을 씻어서 체에 건져놓습니다. 뭐 물기 많이 뺄 필요도 없음...

4. 튀김가루든 밀가루+전분가루든 치킨가루든 껍데기가 될 만한 가루를 큰 비닐봉지(위생백)에다 적당량 넣고
씻어놓은 닭을 그냥 그 안에 넣어요. 그리고 봉투를 집게 같은 것으로 밀봉하거나 아니면 손으로 잡고 해도 되고요.
저는 그냥 손으로 잡고 싱크대에 봉지 놓고 그냥 그 위에서 주물주물합니다. 그럼 적당히 젖은 닭에 그 가루가 잘 붙어서 튀김옷 입은 상태가 됩니다. 그냥 막 하는 거예요 ㅋㅋㅋㅋㅋㅋ

5. 그 전에 무쇠냄비에 잘박하게 기름을 부어서 달궈놓습니다.

6. 비닐봉지를 열어서 그 안에 있는 닭을 한 토막씩 집어서 무쇠냄비에 넣으세요. 기름이 아주 많지 않아도 돼요. 닭이 반정도 잠길 정도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기름 온도가 너무 낮으면 안돼요. 닭을 한 토막씩 튀기는 게 아니기 때문에 온도를 맞춘 다음에는 닭을 넣으면서 온도를 조금씩 더 올렸다가 닭을 다 넣으면 온도를 내려줘야 해요.
무쇠냄비에 토막친 닭을 조금 빽빽한 정도로 잘 눕혀주세요.

7. 그리고 뚜껑을 닫습니다. 뚜껑 닫으면 기름 안 튀어요... 여기서부터는 좀 무서울 수도 있는데 안에서 좀 기름이 튀니까요. 그러니까 온도조절을 좀 잘해줘야 할 수도 있어요...
뚜껑 닫고 3분 정도 있으면 얘들이 안에서 안정이 돼요. 소리를 잘 들어 보고 뚜껑을 열어서 누워 있는 닭들을 뒤집어 줍니다.
다시 뚜껑을 닫아요.

8. 또 2-3분쯤 지나서 뚜껑 열고 뒤집고.
또 2-3분쯤 지나서 뚜껑 열고 뒤집고.
아... 몇 번 뒤집었죠? 다 뒤집었나? 암튼 아래위 두번씩 기름에 닿으면 돼요. 저는 이렇게 하는데 아마 좀 오래 기다리면 한번만 뒤집어도 될지도 몰라요... 이건 확인이 안됨. 알아서 해드세요... (아 무책임하다...)

9. 불을 끄고 채반에 건져서 기름 뺍니다. 끝.



이렇게 튀기면 주방이 어질러질 일이 없어용...
단! 뚜껑을 열고 많은 기름에 튀기면서 한 번 튀겨서 건져 냈다가 다시 한 번 더 튀기는 것보다는 맛이 떨어져요. 그런데 이렇게 하면 일이 많죠. 그래서 그냥 하는겁니다... 집에서 하는 거니까 ㅋㅋㅋㅋㅋ
파는 치킨하고는 조금 다른 맛인 것 같아요. 그렇지만 암튼 꽤 괜찮습니다.

이렇게 한 번 해먹고
저희는 아직 두식구라 좀 남거든요
남은 닭은 냉장고에 넣어놨다가 오븐에 데워서 양념해 먹어요.
이거 양념통닭이랑 맛이 비슷한데요. 장선용 선생님 요리책에서 본거예요.
닭2파운드(아마 한마리??)당 양념비율이요

간장 6큰술 고추장 1큰술 설탕 5큰술 식초 2큰술 핫소스 1작은술 양파 다진 것 1/2컵 마늘 다진 것 1작은술 생강 다진 것 1큰술

이렇게 하니까 좀 짜고 달아요. 저는 제맘대로 간장 4큰술 고추장 2큰술 설탕 3큰술 식초2큰술 핫소스 없으니까 생략 
이래갖고 해먹어요 이것도 확실하지 않은 양념비율... ^^;;;
이거 해서 하루 정도 냉장고에 넣어놓으면 진짜 맛있어요. 그러니까 닭 튀길 때 양파 갈잖아요. 그 양파 좀 남겨서 이 양념 만들어서 냉장고에 넣어놨다가
다음날 남은 닭을 오븐에 데워 여기에 버무려 먹으면(양념도 데워야겠죠) 이틀 저녁이 한방에 해결돼요.


여기서 필수는 뚜껑 달린 무쇠냄비가 있어야 한다는 것... 스텐냄비는 튀기기가 넘 힘들더라고요... 뚜껑 달린 후라이팬은 안해봤는데 아마 될것도 같아요.



IP : 211.196.xxx.174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랑 비슷
    '12.2.1 10:09 AM (110.10.xxx.82)

    저는 양파도 생략하고 소금+후추+생강가루 혹은 커피나 계피가루, 술 등 향신료 있는 것 넣고 양념해뒀다 양념물 빠지게 소쿠리에 잠시 뒀다
    비닐봉지 대신 큰 밀폐용기에 튀김가루와 함께 넣고 흔들어줘서 튀김옷 입혀요.

  • 2. 용기
    '12.2.1 10:38 AM (183.109.xxx.212)

    이런글 볼때 마다 용기가 불끈불끈 !! 아..나도 한번 해 보고 잡다. 과연 될까??? 먹어 줄까???
    입들이 간사한 사람들이랑 같이 살아서 원 ㅋㅋ

  • 3. 용기
    '12.2.1 10:41 AM (183.109.xxx.212)

    그런데용 ^^ 꼭 무쇠에다 튀겨야 하는 이유는 뭔가요? 혹시 압력밥솥 같은곳에 튀기면 안될랑가요?? 무쇠솥 없는뎅. 아니면 냄비 뚜껑 달린 냄비 라도..

  • 4. 닭튀김
    '12.2.1 11:02 AM (211.217.xxx.43)

    집에서 해봤는데요. 전 겉이 너무 빨리 익고 속은 덜익던데... 왜 그런가요?

    그래서 두번 튀겼더니 좀 새까만 닭튀김이 됐어요. 칼로 칼집도 내었는데...핏물도 조금씩 나오던데요???

  • 5. 원글
    '12.2.1 11:15 AM (211.196.xxx.174)

    냄비뚜껑 달린 냄비는 안될것 같아요.
    무쇠는 두꺼워서 열보존율이 높아서 온도가 막 안높아져서 덜 위험해요^^
    냄비는 기름온도가 너무 빨리 올라서 아마 불조절을 잘 하셔야 할 것 같아요.
    차라리 압력솥이 나을 것 같은데 추 빼고 뚜껑 살짝 얹어 두시면 될 것 같은데 저도 안해봐서...

    겉이 넘 빨리 익고 속이 덜익는 건 기름온도가 넘 높아서 그럴 거예요
    저는 핏물 나온 적은 한번도 없었어요^^;

  • 6. 월요일날..
    '12.2.1 2:44 PM (112.187.xxx.132)

    샘과 레이먼의 쿠킹타임 보는데 후라이드 치킨이 나오드라구요?
    원글님처럼 치킨 반정도 찰만큼 기름 붓고 튀기는데 한면당 7분씩 튀기면 적당할꺼라고 레이먼이 말했어요.
    (한면이..맞을꺼에요..ㅜ.ㅜ)

  • 7. 캔커피
    '12.2.1 3:17 PM (183.108.xxx.18)

    원글님....말씀하시는게 너무 귀엽고 재밌어서 댓글 달아요ㅋㅋ
    보통 집에서 해 먹는 글 올리시는 분들은 완벽주의자들로 보이셔서 읽으면서도 한숨나오고
    나만 못하고 사나하고 자괴감드는데 원글님글은 막 웃기면서도 따라하고 싶은 욕구가 확 ! 생기네요 ㅋㅋㅋ

  • 8. 할 수 있을 것 같군요
    '15.12.27 7:10 AM (206.212.xxx.168)

    그럴 듯 한데요 ...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번 시도해봐야 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454 셜록의 베네딕트 컴버배치에 빠지신분들한테 영국 드라마하고 영화 .. 7 영드 2012/02/05 4,998
67453 초등되는 아이 엄마- 어케 해야 맞는걸까요? 7 gjgj 2012/02/05 2,035
67452 (수정)아.....도망갔어... 22 리아 2012/02/05 10,880
67451 개인건물주차장에 아무나 들어오는것.. 2 교습소 2012/02/05 1,487
67450 물이 반쯤 차있고 OE가 떴어요.얼었나 봐요 5 세탁기 2012/02/05 1,818
67449 글을 읽다보면 내 얘기같고.. 1 세상 2012/02/05 1,011
67448 얇은 만두피 추천해주세요!^^ 4 특식 2012/02/05 6,188
67447 레몬대신 레몬음료수로 ~ 6 다이어트 2012/02/05 1,942
67446 돌발영상 없어졌나요? 3 dd 2012/02/05 854
67445 갤스2 수신거부 설정 바꾸는거 아시는분 .. 2012/02/05 1,541
67444 고딩 물리 인강 1 4321 2012/02/05 1,298
67443 젖먹이 아이 키우시는 분들... 집에서 뭐먹고 사세요 7 배고파 2012/02/05 1,461
67442 겨드랑이 혹 4 외과 2012/02/05 4,109
67441 혼자서 영어 듣고 말하기 어떤 방법으로 하면 늘까요? 5 고민 2012/02/05 2,416
67440 애들 남편 놔두고 혼자여행 이상할까요? 9 나홀로여행 2012/02/05 3,261
67439 아주 작고 사용편한 믹서기 뭐가 있을까요 2 핸드믹서기말.. 2012/02/05 1,956
67438 해품달 관련 잡담 몇개요. 2 잡담 2012/02/05 2,178
67437 진중권은 김어준이 정말정말 싫은가봅니다. 31 ㅋㅋㅋㅋ 2012/02/05 6,114
67436 깨진 렌즈로 세상을 보겠다고? 상상력의 위기. 랄라아인 2012/02/05 1,103
67435 영드 셜록에 대해 질문있어요(1,2 보신 분들만.. 스포일러 있.. 14 ㅇㅇ 2012/02/05 2,716
67434 가사도우미 질문요! 8 문의 2012/02/05 2,103
67433 얼굴땡기는 수술 효과 어떤가요? 볼살처진아낙.. 2012/02/05 4,618
67432 박원순 아들 병역의혹에서 핵심 쟁점들 8 원숭 2012/02/05 2,051
67431 보일러수리비를 완전 바가지 썼는데 어떻게 할지요? 4 해도너무해 2012/02/05 2,573
67430 요즘 대학 입학식에 부모님 참석하나요? 13 궁금맘 2012/02/05 9,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