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부침개..맛있게 하는 비법좀 알려 주세요

ㅅㅅㅅ 조회수 : 4,850
작성일 : 2012-01-28 23:08:00

자취생인데요

제가 요리를 잘 못해요

아까부터 김치부침개가 미치게 먹고 싶은데..

제가 하는건 정말 맛이 없어요..

그냥 부침가루에다 엄마가 보내준 김치 썰어서 만드는데..

여기다 달걀도 넣고 그래야 하나요?

제가 만들면 바삭하지도 않고요..후라이팬이 별로라 그런가..

기름을 적게 넣어서 그럴까요..

뭔가 비법좀 알려 주세요

그리고 얇게 부쳐야 하는 거죠?

그럼 반죽 넣고 뒤집개 같은걸로 꾹꾹 눌러 줘야 하나요?

어떻게 해야 되나요?

IP : 112.186.xxx.3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eofldls
    '12.1.28 11:10 PM (123.212.xxx.17)

    저는 김치국물좀 넣코해요

  • 2. 윗님~
    '12.1.28 11:15 PM (125.186.xxx.131)

    저도요! 저희 집도 돼지고기 갈은 걸 넣어요. 그럼 우리집 남자들 깜빡 죽는 답니다^^ 그리고 저는 식용유와 들기름을 섞어서 부쳐요. 그러면 더 맛있어요!

  • 3. 프로
    '12.1.28 11:17 PM (223.33.xxx.158)

    계란풀어요.
    호박,양파도 넘기도해요.
    옛날 식용유가 더 바삭해요.

  • 4. ...
    '12.1.28 11:19 PM (116.127.xxx.192)

    삼겹살을 넣으면 맛있는데 없으면,
    급할땐 냉동 해물 동그랑땡을 다져서 넣으면
    맛있습니다....

  • 5. 절대
    '12.1.28 11:21 PM (121.129.xxx.179)

    반죽을 팽팽하게 펴지 마시고,
    구멍난 도넛처럼 군데군데 빵꾸 뚫리듯 듬성듬성 펴세요.
    기름에 닿는 부분이 많아야 빠삭해져요.

  • 6. 제가
    '12.1.28 11:33 PM (210.0.xxx.229)

    몇년전 어느집서 얻어먹어본 김치전은 살면서 먹어본 가장 맛있는 최고의 전이었어요.
    오죽하면 많이 친하지도 않은데 남았다길래 얻어오기까지 했던..
    근데 그때 음식준비 같이 도와주던 다른 지인이 나중에 한 말로는..
    언니..거기 부침개 맛있기는 한데 내가 부쳐본것중 최고로 기름 많이 넣은것이야..
    언니 그 기름 보면 먹지 못할걸~~...하더라는..
    전종류의 음식들은 일단 지글지글해야 맛나나봅니다...기름이 진리!!

  • 7. 맞아요.
    '12.1.28 11:36 PM (114.203.xxx.197)

    몸 생각해서 기름 아끼면 맛있는 전은 안나오는 듯 해요.
    어차피 김치전이 건강식은 아니니까
    기름 많이 넣고 잘 달구어서 지글지글해야...
    저는 양파와 오징어 넣는 것 좋아하는데
    오징어 없으면 양파는 꼭 넣어요.
    돼지고기 생각은 못했어요.
    김치와 돼지고기가 잘 어울리지 좋을 것 같아요.

  • 8. 일반부침가루말고
    '12.1.28 11:56 PM (115.143.xxx.81)

    바삭한부침가루 있어요...그걸 쓰면 더 바삭하더라고요...
    그리고 팬 잘 달궈서 기름을 넉넉히 쓰셔야 바삭거리고요...
    저는 김치,양파, 베이컨,부침가루,김치국물 넣고 해요..
    (저렇게 5가지 넣어 반죽이 너무 될때 물로 점도 조절)

    간간하고 바삭한 김치전 좋아하는 저는 이렇게 해먹는답니다 ^^;

  • 9. 무조건
    '12.1.29 12:33 AM (124.61.xxx.39)

    얇게 그리고 기름을 튀기듯이 넉넉히 부어서 뒤집개로 눌러가며 오래 지져보세요. 죽음이예요!

  • 10. 저도 좋아해요^^
    '12.1.29 12:35 AM (175.197.xxx.187)

    계란 풀면 바삭하지 않아요.
    김치국물 좀 넣고 반죽하시구요...양파도 좀 썰으면 좋구요.
    부침가루에 튀김가루를 좀 섞으시고
    부칠때 좀 눌러가면서 바짝 구으시면 바삭하고 맛있는 김치전이 됩니다..ㅎㅎ

  • 11. 김치가 맛있어야
    '12.1.29 12:55 AM (61.43.xxx.15)

    일단은 김치가 맛있어야 할 듯...^^
    전 김치 튀김가루 물
    이렇게만 넣고 잘 부쳐요
    부침가루보다는 튀김가루 쓰는 게 바삭한 맛이 나서요ㅋ
    맛 없는 김치로 만들면 맛 안 나더라구요
    시큼하니 잘 숙성된 김치로 하면 안에 다른 재료 안 넣어도 맛있어요

  • 12. ..
    '12.1.29 1:27 AM (119.202.xxx.124)

    반죽할때 설탕이 조금 들어가야 합니다.
    그리고 김치를 좀 많이 넣어야 합니다.

  • 13. 바싹
    '12.1.29 1:44 AM (1.176.xxx.92)

    전 바삭한 전 좋아해서요 얼음물에 식소다 조금+밀가루
    묽게 반죽하고 김치나 기타 재료 마니 넣으니까 맛있어요

  • 14. 블레이크
    '12.1.29 4:14 PM (175.197.xxx.19)

    계란 풀면 맛 없어요.
    김치가 우선 맛있어야죠. 시판 부침가루를 먼저 물에 풀고 김치랑 김칫국물 넣고
    저는 꼭 오징어를 넣습니다. 다른 건 일절 안넣어요.
    글고 너무 되게 하지 말고 좀 묽게...기름은 올리브유 뭐 이런거 건강에 좋은 건 맛 없어요.
    돼지 기름이 젤 맛있고 없으면 제일 싼 식용유 듬뿍...
    글고 뒤지개로 꾹꾹 눌러주셔야 쫄깃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740 초등전학 문의합니다. 1 이사맘 2012/02/03 1,044
66739 세제를 사면 쌓아두기도 하지만... 1 전생에소 2012/02/03 1,206
66738 9개월 아기가 몸에 힘주느라고 잠을 못자요... 3 대학병원 2012/02/03 2,514
66737 목욕탕의 진실 2 진실 2012/02/03 2,409
66736 한나라, 새 이름 ‘새누리당’ 확정… “국민의 염원 상징” vs.. 3 세우실 2012/02/03 863
66735 청실VS홍실 1 ... 2012/02/03 746
66734 저축은 계속 하는데 뭔가 바보짓을 하는 느낌이에요. 9 아과 2012/02/03 3,733
66733 적우가 8 @@ 2012/02/03 2,483
66732 20~60대 주부들의 밥차리기 고민 2 // 2012/02/03 1,594
66731 우리 형제자매중에 제일 골칫거리 막내가 제일 잘산다. 17 사람인생참 2012/02/03 4,284
66730 아들 이번에 군대가면 등록금 벌어서오는건가요?? 7 // 2012/02/03 1,348
66729 아파트 이름이 길어진 이유 5 ... 2012/02/03 1,651
66728 많이 드셔야 겠네요...는 무슨 의미? 7 ... 2012/02/03 1,131
66727 토정비결은 음력 기준으로 보면 되나요? 1 다즐링 2012/02/03 1,036
66726 남자가 이런 문자를 보내왔는데 대체 뭘까요? 13 ㅇㅇ 2012/02/03 2,965
66725 이성당 저많은 빵을 어찌하오리요.. 72 지름신강림 2012/02/03 15,713
66724 대치 청실이 1:1재건축이지만 122가구 3 ... 2012/02/03 1,580
66723 사법연수원 월급 얼마나 되나요...? 6 .....?.. 2012/02/03 17,081
66722 세후300 외벌이에 두명 생활비.... 4 생활비 2012/02/03 4,017
66721 원산지 표시 위반 식당 리스트인데..유명 맛집도 꽤 있어요;; 1 LA이모 2012/02/03 1,011
66720 모피코트 저렴한곳 아시는분 계신가요? 모피 2012/02/03 1,509
66719 진짜 화나네요.방사능측정기 주문했는데 일본에서 왔어요.ㅠㅠ 7 도와주세요 2012/02/03 2,099
66718 트라움하우스 180평 78억이네요 ㅋㅋㅋㅋ 5 ... 2012/02/03 3,041
66717 단체관광은 팀을 잘 만나야 할듯 싶네요. 20 에고 2012/02/03 2,540
66716 애슐리에 있는 방수식탁보 구할 수 없을까요? 4 상상 2012/02/03 2,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