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은 쥐가 잘 안 보이지요?

rat 조회수 : 2,190
작성일 : 2012-01-19 23:21:48
요즘이야 추우니까 쥐가 안 보이지만
여름에도 쥐가 잘 안 보이더라고요.
저 어릴 때는 쥐 잡는 날이라고 해서 1년에 2번인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당시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갈 때면 멀리 아파트 잔디밭에 갈색의 무엇이 산처럼 쌓여있어서
뭔가 하고 가까이 가보니 그게 다 쥐인 것을 알고 기겁을 했던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었어요.
한 아파트에서 잡은 쥐가 그렇게 어른 키 만큼의 높이로 산처럼 쌓이더라고요..
정말 길을 가다보면 죽은 쥐 보는 일이 너무 흔했고..
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압구정동 호프집에 가면 발 밑으로 쥐가 다니고 심한 경우
테이블 위에서 쥐를 본 적도 있는데...
특히 대학로에 연극 보러 가면 극장 안에 쥐들이 어찌나 많던지..
암튼 그렇게 흔하던 쥐들이 요즘 잘 안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IP : 175.198.xxx.129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봉
    '12.1.19 11:23 PM (221.140.xxx.180)

    제 생각에는 우리 가카가 워낙 대마왕 쥐 역할을 훌륭하게 하시다 보니,
    다른 쥐들은 가카의 활약과 은총에 감동하여 다들 조용히 지하세계에서 은둔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2. rat
    '12.1.19 11:26 PM (175.198.xxx.129)

    ㅋㅋ 쥐들이 안 보이지만 청운동에 사는 왕쥐가 보인다는 것이 불쾌하긴 해요.
    그런데 청운동 사는 후배 말에 의하면 그 동네가 진짜 쥐가 많다고 하네요.ㅋㅋ
    왕쥐는 왕쥐고... 진짜 요즘 쥐가 잘 안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 3. ...
    '12.1.19 11:27 PM (110.14.xxx.164)

    안보여도 꽤 있대요 예전만큼은 아니겠지만요
    아파트 화단에서 봤어요 ㅜㅜ

  • 4. ..
    '12.1.19 11:33 PM (112.184.xxx.6)

    예전엔 집이나 건물들이 허술해서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으니
    사람눈에도 많이 띄었구요.
    지금은 콘크리트로 지어진 경우가 많으니
    그만큼 눈에 덜 띄겁니다.
    하지만 쥐의 먹이가 있을법한 곳에서는 쥐가 많다네요.
    특히 식용유 만드는 콩을 수입해서 저장하는 창고에 있는 쥐는 고양이만하다고 누가 그러더만요.ㅎㅎ

  • 5. rat
    '12.1.19 11:48 PM (175.198.xxx.129)

    물론 쥐가 간혹 보이긴 하지만
    제 어릴 때랑 비교하면 정말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안 보여요.
    어릴 때는 집만 나가면 쥐가 보였어요.. 죽은 걸 많이 본 거지만..
    아파트 1층이라 그런지 쥐가 잘 들어오기도 했고요.
    혹시 요즘 쥐가 줄어든 이유가 길냥이들 때문일까요?

  • 6. ??
    '12.1.20 6:36 AM (211.234.xxx.152)

    그만큼 고양이가 많아져서그런거 같기도 해요.
    제가 사는 곳이 시골인데요..저도 쥐 못본지 꽤 됐어요.더구나 마당있는 집인데도 말이죠. 그런데 동네에 길냥이들은 바글바글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982 애없는 전업주부... 안되는거죠? ㅠㅠ 16 나라냥 2012/01/20 5,441
61981 생 김 어떻게 활용할까요? 6 하니 2012/01/20 1,292
61980 명절에 전 뭐뭐 부치세요? 5 며느리 2012/01/20 1,714
61979 아주 무식한 질문...공인인증서 13 ... 2012/01/20 3,436
61978 강남에 땅 사둔 사람들은 거의 다 부자겠죠? 1 신지 2012/01/20 1,287
61977 올해부터 월급 깎인 회사들 많이 있나요 1 어떤가요 2012/01/20 969
61976 목돈을 예금, 적금대신에 ema같은 상품에 넣어도 될까요. 목돈 2012/01/20 1,101
61975 올리브 vada 2012/01/20 669
61974 신장기증 1 ... 2012/01/20 887
61973 명절 때 친정에 가면....... 1 자게 글 읽.. 2012/01/20 1,050
61972 떡국 국물내기 뭘로 6 하시나요? 2012/01/20 2,135
61971 원***보쌈집에서요. 오리보쌈을 먹었는데 거기 뭐 따로 들어가는.. 보쌈 2012/01/20 734
61970 부드럽게 씹히는 갈비찜가르쳐주세요 5 지현맘 2012/01/20 1,531
61969 강남신세계지하삭품부 어떤가요... 12 tlstp 2012/01/20 2,094
61968 치즈케잌 상온에 놔두면 금새 상하나요? 1 영이사랑 2012/01/20 3,770
61967 [나눔설문] 에너지절약 실태 및 인식조사 4 스마트절전연.. 2012/01/20 879
61966 울 남편 철 없는거 같아요..ㅜ.ㅜ 2 rnfmam.. 2012/01/20 1,351
61965 저좀 달래주세요. 갑자기 욱해요.. 1 또 돌아오네.. 2012/01/20 1,344
61964 주민세..이런 거 연체하면 신용등급 하락? ** 2012/01/20 3,372
61963 비애의 글을 보고... 4 맞벌이 2012/01/20 896
61962 정봉주 노모 “천리인들 못가겠냐” 홍성 면회 2 세우실 2012/01/20 1,319
61961 대전에 철도사원아파트 아시는 분 계세요? 2 이사 2012/01/20 808
61960 아~명절이 시러요~~ 8 명절증후군 2012/01/20 1,317
61959 7년된 냉장고 고친다 새로산다? 7 2012/01/20 1,906
61958 콧물감기걸린 초등딸 지금까지 자는데 그냥 두는게 좋겠죠? 3 2012/01/20 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