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앙난방 살아보신분 계신가요??

아파트 조회수 : 4,945
작성일 : 2012-01-05 09:15:47

저희아파트가 오래된 아파트라

중앙난방이에요

처음 고른 신혼집이라,,이것저것 생각못하고

돈에 맞추다보니  중앙난방이라도 별생각없었는데..

일단 맞벌이 부부인 저희집에 비해,,

관리비도 너무 많이 나와요..

22평인데 겨울엔 25만원 가량 나와요.ㅜㅜ

저흰 아침일찍 나와서 둘다 9시경에나 집에 들어오거든요.

또 중앙난방이면 대신 엄청 따뜻하다고 들었는데

집이 오래되서 그런가

정말 거실엔 앉아있을 수없을 정도로 추워요.

관리실에 연락해서 에어도 빼보고,,저희나름대로 문풍지도 붙혀보고..

저희가 고층이라 그렇게 추운 층이 아니라고 들었는데

정말 너무 추워요..

알아보니 샷시가 오래되서 그런걸 수도 있다고 하는데

전세집이라 저희가 샷시를 바꾸기도 그렇고..

올 가을엔 아기도 태어나는데

아기와 보내기엔 이집은 정말 추운듯해요 ㅠㅠ

툭하면 공사한다고 온수도 안나오고 녹물나오고..

가능하면 2년 더 연장해서 돈 모을까했는데

조금 무리를 해서라도 이사를 가야할듯 싶기도 하고..

힝 ㅠㅠ

추워죽겠어요

IP : 112.221.xxx.24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중앙난방
    '12.1.5 9:23 AM (115.161.xxx.209)

    아파트마다 다른가봐요..저희도 그렇고 친정도 그렇고 완전 따뜻해요.
    그정도 뜨끈하면서 난방비포함 관리비 그정도면 별로 비싼거 아닌데;;
    마루까지 다 따뜻하고요.
    마루 라디에이터 뜯은거 아닌가싶네요.

  • 2. ..
    '12.1.5 9:27 AM (1.225.xxx.31)

    그래서 오래된 중앙 난방식의 수리 안한집은 많이 추워요.
    전 중앙난방 집으로 10년 살아봤는데 수리 안하고는 견디기가 힘들지만
    나름 두꺼운 커텐치고 살면 또 살아져요.
    오히려 오래된 집이라 애들이 새집 증후군 없이 잔병없게 잘 자랐어요.
    오늘이라도 집 스타일 망가지는거 감수하고 두꺼운 커텐을 치세요.

  • 3. 저희는 수리안했는데
    '12.1.5 9:32 AM (115.161.xxx.209)

    따뜻해요..
    관리비도 많이나오는거 아닌게
    친구네는 덜덜 떨면서 가스조절하는데도 관리비는 저희만큼 나오던데요.

  • 4. 배관이
    '12.1.5 10:02 AM (211.210.xxx.62)

    위치에 따라 달라요. 예전에 배관이 제일 끝에 도달하는 부분에 살았었는데
    전기장판 전기요 이런거 식구 수 대로 사용했었어요.
    그런데 배관이 먼저 도달하는 집들은 한겨울에도 창문 열고
    목욕은 사우나 수준으로 하고 그러더라구요.

  • 5. ...
    '12.1.5 10:40 AM (121.138.xxx.42)

    중앙 난방 아파트는 집 알아볼때 난방 잘 되는지 확인해야해요.
    샤시와 바닥 공사를 한 집은 무지 따뜻하고 안그런집은 춥지요.
    관리사무소에 추운 집들이 항의해서 더운 집들은 낮춰달라는 말도 못해요.
    추운 집들은 추운대로 관리비는 똑같이 내니깐 억울하구요
    저는 다 오래된 중앙난방으로만 이사를 다녔어요.
    난방비 아끼느라 스트레스 받아서 1년 살고 못살겠더라구요.
    그래서 신경 안써도 되고 따뜻한 중앙 난방 아파트로만 이사 다니고 있어요.
    요즘 관리비는 평수에 +4-5만원 하더라구요. 30평대 아파트 전 집은 38만원정도..31평이었는데
    한겨울에요. 여기는 같은 평수인데 대단지라 32만원정도 나오네요..

  • 6. ```
    '12.1.5 10:59 AM (116.37.xxx.130)

    저도 중앙난방에서 사는데요 남향인데다가 12층인데 너무따뜻해서 반팔입고 살아요
    아이들 어린데 온집안 따뜻하고 온수편하게쓰고 난방비 25만원쯤 내는데 불만없어요
    그런데 춥다는집들도 있더라구요 동향이나 저층은 좀 그런거 같아요
    개별에서 2년쯤 살아 봤는데 추웟었다는 기억밖에 없어요 아끼느라 방방마다 잠그고 한방에 모여자고
    온수도 안쓰고 목욕탕다니고(추워서 집에서 씻기 싫어서요)그래도 15만원 이상 나왔어요
    또 중앙난방은 한꺼번에 난방을 하니까 위아랫집이 같이 따뜻해 지잖아요
    전 중앙난방이 좋아요 개별가면 또 아끼느라 보일러 못틀거예요

  • 7. 중앙난방하는집들은
    '12.1.5 11:01 AM (115.161.xxx.209)

    거의다 옛날 아파트라 정남향이 많고요.
    마루 라디에이터를 인테리어땜에 뜯어낸집아니고선 거의다 반팔입을정도로 따뜻해요.
    옛날집이라 추울거라 생각하시는데 요즘집보다 난방비 대비 훨씬 따뜻합니다.
    여기저기 살아보고 친구네 다녀보니 확실히 알겠더만요...
    다만 애기없이 맞벌이하는 신혼부부들한테는 낮에도 계속 난방되는게 아까울거같긴해요.

  • 8. 헝글강냉
    '12.1.5 11:25 AM (58.230.xxx.208)

    이사가시는게 나을듯. 울집 35년된 아파튼데 집 난방배관공사 새로 했거든요. 녹물도 수도배관 다시했더니 깨끗해졌어요. 지역난방이라 50평에 난방비 십만원 좀 넘게 나오는데 더워요... ㅋㅋㅋㅋㅋㅋ 그전엔 추위에 떨었었다능 ㅜ ㅜ

  • 9. ...
    '12.1.5 2:07 PM (218.236.xxx.183)

    아파트마다 달라요. 다음에 이사하실 때는 먼저 사시는 분들 얘기를 들어보고 가세요.
    중앙난방 저층인데 더워서 베란다 열어놓고 잡니다.
    더워서 코가 자꾸 건조해지고 전 싫은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046 chef왕~~ 뭘봐특수부위.. 2012/01/10 372
58045 저도 보이스피싱 받았어요..ㅎㅎ 1 미네랄 2012/01/10 850
58044 빽빽하게 모인 모습에 공포감 느끼는 거 8 ..... 2012/01/10 1,702
58043 돈봉투 폭격에 초토화된 한나라…쇄신에는 쓴약? 1 세우실 2012/01/10 439
58042 요즘 혼수준비 하려면 어디로가야하나요? 8 ** 2012/01/10 1,437
58041 ....1026 부정선거.. 이석현 “대리신청‧대리투표 의혹도”.. 꼼수 꼼수 2012/01/10 657
58040 아침부터 기분 좋네요... 와~우 2012/01/10 862
58039 한식 좋아하는 미국인초대메뉴 좀 봐주세요 ^^ 10 미쿡인ㅠ.ㅠ.. 2012/01/10 2,396
58038 깨알같은 재미를 주는 '나는 하수다'2회네요 6 쫄지마c바~.. 2012/01/10 976
58037 대구에서 스키장 갈껀데요.. 1 알려주세요 2012/01/10 541
58036 민주당 모바일 투표에서.. 3 ... 2012/01/10 708
58035 헌터 ~&이노 블라인드 설치해보신 분 1 인현왕후 2012/01/10 1,523
58034 학습 싫어하는 예술 성향의 아이 7 두딸맘 2012/01/10 1,510
58033 요즘 초등 시험답안지래요 5 웃겨서퍼옴 2012/01/10 2,595
58032 민통당 당가 만든 윤민석이 누군가 보니.. 7 미쳤네 2012/01/10 1,230
58031 엄마의 행동이 이해가안가요ㅜ.ㅜ 6 걱정되요 2012/01/10 2,164
58030 나이 오십줄쯤 들어서면 얼굴인상이 살아온 인생을 따라가는게 정말.. 5 애엄마 2012/01/10 3,638
58029 7살, 5살 아이 데리고 스키장 가면요.. 8 고생스러울까.. 2012/01/10 1,665
58028 문재인님 보고 더욱 그리운 노통 4 기억 2012/01/10 1,117
58027 왜 민주통합당이 한국노총을 잘 모르지만.. 2012/01/10 628
58026 중수부, 전국 단위농협 대출비리 포착 세우실 2012/01/10 550
58025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문재인 편 (스압) 7 닥치고정치 2012/01/10 2,389
58024 도시가스 이전을 하지 않고 이사했을 경우 3 알려주세요... 2012/01/10 2,042
58023 양키캔들 질문좀 드려요 6 봄내음 2012/01/10 4,588
58022 소고기 미역국을 끓였는데, 기름이 너무 많이 떠요 ㅠ.ㅠ 2 슈리짱 2012/01/10 1,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