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아이, 산만한건가요 특별한건가요 원래 이런건가요?

너는누구냐 조회수 : 1,723
작성일 : 2011-12-30 21:11:42

만 34개월 채운 저희 큰 딸,

예전엔 내 딸이라 내가 잘 알지.. 싶었는데 요즘에는 도통 애 속을 알 수가 없어요.

 

일단 제가 생각하기에 저희 딸은 사람 낯을 가려서 밖에 나가면 붙임성 좋게 인사하거나 말 거는건 못해요.

낯선 환경을 맞닥뜨리면 그 분위기 적응하는 동안 얼음이 되어있거나 일부러 어깃장을 놓거나 하지요.

그러다가 분위기에 익숙해지고 사람을 자주 보면 긴장을 좀 풀어요.

 

돌 무렵부터 문화센터 종류의 수업을 다니는데

처음엔 잘 적응하지 못하고 선생님 따라하지 않고 하는걸

원래 이 아이 성격이 그런 것을.. 강요해서 뭣하리.. 하고

다른 아이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 아니면 굳이 잔소리 하거나 하지는 않았지요.

그런데 이제 곧 세돌이고 내년 봄이면 어린이집에도 보내볼까 하는데요,

여전히 그 성격이 변하지 않아서 요즘같아선 아이와 함께 지내는게 좀 버거울 때가 있어요.

 

예를 몇개 들어보면..

 

1. 문화센터 수업의 경우 준비체조 - 인사 - 놀이활동 - 정리 - 헤어지는 인사, 대충 이런 순서지요.

기분이 아주 아주 좋은 날을 제외하고는 선생님을 따라 율동하지 않고

일어서라면 앉고, 앉으라면 일어서 있고, 제가 뒤에서 선생님 따라해야지.. 하면 빽- 하고 성질내고 울 때가 있어요.

놀이시간에도 선생님이 어떤 도구를 사용해서 설명해 주고 가지고 놀게 해 주면

제 눈에만 그렇게 보이는 것인지.. 다른 애들은 곧잘 선생님 설명대로 따라 하는것 같은데

저희 애는 자기가 생각하는 방식으로만 가지고 노는 경우가 많구요.

 

어제는 바퀴달린 썰매 비슷한 것을 가지고 노는 시간에,

선생님이 앞에서 알려준 방법은 가로로 앉아보기 세로로 앉아보기 게처럼 옆으로 서서 밀어보기.. 뭐 이런건데

저희 애는 바퀴 달려서 잘 굴러가니까 짐 싣고 가는 기차라고 ;; 이리 저리 손으로 드르륵 드르륵 밀어냈지요.

다른 애들 피해 주는건 아니니 어느 정도는 마음껏 가지고 놀게 뒀는데 선생님 눈에는 그게 띄었는지

저희 애 앞으로 오셔서 이렇게 이렇게 하는거다 - 하면서 손을 잡고 설명해 주니까

애는 그게 무안했을까요, 마음에 안들었던걸까요, 수업 끝날 때 까지 거의 꺼이꺼이 울더라구요.

 

2. 간단하게 미술 체험을 하는 시간도 있어요.

스케치북에 미리 그림이 약간 그려져 있고 선생님이 책을 읽어주시거나 완성된 그림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해 주고

그 이야기에 따라서 그림을 그리거나 뭘 만들거나 하는 활동인데요,

오늘은 '사자'에 관련된 이야기여서 스케치북에 사자를 그리기 위해 동그라미가 하나 그려져 있었어요.

저희 애는 '햇님' 이라면서 사자 얼굴 대신에 그 동그라미에 노란색을 칠하고

햇님 아래 꽃이 폈다고 분홍 꽃 그리고 하늘에 구름이라고 파란 구름도 그리고 완전히 자기 창작 활동을...;;;;

이것도 역시 여러 아이들이 같이 듣는 수업인데 슬쩍 슬쩍 보니 다른 애들은 다~ 선생님 따라서

사자얼굴 그리고 몸통 그리고 있더만.. 왜 저희 아이는 끝끝내 햇님 얼굴이라고 하는지....

 

3. 수업 중에 두 아이가 한 책상을 쓸 일이 있었어요.

그런데 제가 선생님을 도와 테이블을 옮기는 동안 저희 아이가 이미 두 아이가 앉아있는 책상 앞에 앉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이 책상엔 oo 것이 없으니 저기 다른데로 가자, 한 책상에 두명씩 앉는거래 - 하면서 살살 말해도

아~주 요지부동, 고집도 고집도 그런 고집이 없이, 미동도 않고 자기는 그 책상에 앉아야겠대요.

아이구.. 저 같으면 그래 너도 여기 같이 앉자 .. 하겠는데 먼저 앉은 아이의 엄마들은 점점 인상이 굳어져가고

저희 애는 제 말은 귓등으로도 안듣고 꼼짝않고 '여기서 할거야!' 외치고 있고.. 진땀이 났어요.

어찌어찌 어르고 달래서 다른 책상에 다른 아이와 둘이 앉기는 했는데,

이미 기분이 상한 저희 딸은 만들기도 하는 둥 마는 둥.. 뭐 제가 다 작품활동하고 왔지요.

 

어제 오늘 일만을 생각하니 이렇네요. 이런 경우가 아주 많아요.

이제 34개월 된 아이가 무조건 선생님 말을 잘 듣고, 율동을 똑같이 따라하고, 얌전히 잘 하는건 무리겠지요.

그런데 요즘에 종종 드는 생각은.. 이런 성향이 고쳐지지 않으면.. 앞으로 어린이집이며

학교를 다닐 때 어쩌나.. 싶은 걱정이 들더라구요.

어느 정도 엄마 욕심에 애가 선생님 말을 잘 들어줬으면 하는 답답한 마음도 있구요.

아 그리고 솔직히 애가 선생님 따라 하지 않고 무조건 반대로 하면서 뻣대고 있으면 .. 으음.. 좀 민망하기도 해요 ㅠ.ㅠ

 

낯선 사람을 처음보고 인사를 먼저 하지는 않지만 얼굴이 익숙한 사람에겐 인사도 하고

선생님이 수업 중에 이게 뭐니 저게 뭐니 어떻게 생각하니 - 이렇게 개별적으로 물어보면 제법 크게 대답도 잘 해요.

그런데 사람이 많아지거나 기분이 안 좋은 날엔 돌부처처럼 꼼짝않고 있거나 일부러 떼를 쓰니.. 이거 참..

 

아이의 이런 성격은.. 어느 정도까지 고쳐줘야 하는걸까요.

아직 함께 어울리는 것에 대한 개념은 없겠지만

그래도 앞으로 어린이집에도 가고 할 것을 생각하면

너무 선생님 눈 밖에 나거나 다른 아이들과 동떨어진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는데요.

 

남편은 그러면서 창의력이 늘어나는거라고, 아직 어느 틀에 애를 가두기엔 좀 이르지 않냐고 하지만

주로 제가 데리고 다니면서 관찰하다보니 저는 남편처럼 그렇게 관대한 시선을 두기가 어렵네요.

타고난 천성이 있기도 하겠지만 좀 둥글게.. 무난하게.. 잘 섞여줬으면 하는건 제 욕심일까요.

 

아니면 다른 애들도 사실은 다 이 비슷한데 제 눈에만 얘가 왜 이러나.. 싶은걸까요.

내년엔 더 좋은 엄마, 더 착한 엄마, 덜 화내는 엄마가 되고 싶은데

아이를 키우면서 드는 의문사항은 점점 더 늘어나고만 있으니..

정말 아이를 키우는건 힘들고도 힘든 과정인 것 같아요..

 

IP : 121.147.xxx.19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1.12.30 9:22 PM (211.237.xxx.51)

    더 커봐야 알아요 아직은 모름

  • 2. 세심
    '11.12.30 9:27 PM (115.143.xxx.59)

    조금 걱정되는 부분이 있긴해요..어머니가 잘 지켜보셔야 할거 같구요..
    일반적인 보통의 여자아이들 행동과는 다르긴 합니다.
    두돌만 되어도 문화센터에서 선생님 지시 잘 따라합니다..

  • 3. 좀 까다로운 아이
    '11.12.30 9:58 PM (119.67.xxx.56)

    좀 까다로운 아이인가봅니다.

    자기 아이 특성이 잘 이해가 안 되어서 어떤 엄마는 성격검사랑 심리학 공부를 하시는 분도 계시고
    아이 사주나 관상을 통해서 이해해보려 하기도 합니다.
    쟤는 원래 저렇구나~~~,
    뜯어고치려하지 말고 그냥 이해하고 받아들어야 할 수 밖에 없구나 하고 생각하시게 되지요.

  • 4. 꼬마버스타요
    '11.12.30 10:44 PM (112.148.xxx.17)

    조금 까다롭고 예민하고 자기 주장도 있고 생각도 많은 아이 같아요.
    제 딸은 원글님이 원하는 아이 스타일이에요. 선생님 말씀을 잘 듣고 그 범주 안에서 배우고 표현하고 특별히 튀지 않는 아이요. 저는 아이를 수월하게 키운 편이라서 다 이해할 수 없고 모르는 부분도 많지만, 임신 했을 때부터 육아서를 많이 읽은 편인데, 그 분야 전문가들이 쓴 책을 기준으로 보면 원글님 아이는 다루기 어렵고 예민한 아이 부류에 속하는 거 같아요. 그건 산만한 거랑은 다른 얘기고요.

    어느 정도는 남편분 말씀도 맞다고 생각해요. 사자 그림 예를 보면, 그냥 선생님이 시키는 대로 동그라미를 사자로 확장해서 그려가는 것도 배움이지만, 원글님 아이는 스스로 햇님이라고 생각하고 꽃과 그림을 그리는 것도 그 또래 아이한테는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하고요. 아이를 벌써부터 일정 범위안에 자를 재듯 남들과 비슷하게 키우는 것보다 아이를 인정해주고 장점으로 키워주면 좋을 거 같아요.

    물론, 아이가 커서 유치원에 가고 학교에 가서도 지금과 비슷한 행동들을 하면 엄마는 참 뭐랄까, 선생님이 어떻게 생각할지도 걱정이고 다른 엄마들 눈길에도 마음이 쓰이죠. 예의 범절과 공중도덕 같은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것만 알려주시면서 아이의 기질을 인정하고 아이를 도와주면 분명 원글님 아이가 특별히 잘 하는 부분도 보일 거고 또 그 부분을 반발짝만 끌어주고 밀어주면 평범한 아이와는 또 다를 거 같아요.
    유치원 가기 전에, 유치원에서 배우는 학습 부분을 따라가기를 바라시기 보다, 선생님과 친구들이랑 지켜야 하는 약속- 수업중에는 돌아다니지 않기, 밖에 나가지 않기. 선생님 말씀중에 자꾸 질문하거나 친구랑 얘기하지 않기... 그림 그리는 시간에는 같이 그림 그리기로 약속 (좀 다른 걸 그리거나 못 해도 선생님들 다 이해하셔요.) 이런 부분만 신경 써 주시면 배우는 부분은 큰 문제 같지 않아요.

  • 5. 기질..
    '11.12.31 12:58 AM (222.121.xxx.183)

    그런 기질을 가지고 있는 아이같아요..
    그런 기질을 엄마가 받아들여주고 너무 고치려고는 안했으면 좋겠어요..
    아이의 안좋은 감정을 많이 받아주세요..
    물론 어렵죠.. 엄마 입장에서는 화딱지도 나고 돌아버릴거 같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308 좋은 엄마가 되려면..... 4 에버그린 2012/01/05 1,518
56307 매직셀프로 하면 머리결이 나.. 2012/01/05 1,107
56306 건조성 비듬인지, 지루성 비듬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2 비듬 2012/01/05 2,748
56305 베가엘티이폰 VS 삼성노트 후기부탁드립니다. 플리즈~` 수박나무 2012/01/05 1,346
56304 강아지를 기르는데 털이 너무 많이 빠져요 11 ... 2012/01/05 13,002
56303 이상호 기자 "故장자연 사건에 국정원 개입" .. 3 세우실 2012/01/05 2,382
56302 올해 계획은 산티아고 가는길 순례하고 싶어요. 10 산티아고 2012/01/05 2,405
56301 아들아..그 고기를 사서 들고가겠다고? 8 아이고 2012/01/05 3,080
56300 죄송합니다.. 5 올케 2012/01/05 2,001
56299 초등도 이해하는 bbk 학습만화...라네요.. 2 목요일 2012/01/05 1,298
56298 밑에 생일 얘기에 덧붙여 썼다가 지운 원글입니다. 2 ㅇㅇ 2012/01/05 1,200
56297 고마워 미안해 - 박건웅 님 작품 [고 김근태 님 추모만화] 3 베리떼 2012/01/05 1,663
56296 수상하다 싶은 아이 이 아침에 pc방 가서 잡아 왔어요. 11 속상 2012/01/05 4,720
56295 노보텔 엠베서더 강남 호텔 어떤가요? 2 모나코 2012/01/05 3,245
56294 1월 5일 목사아들돼지 김용민 PD의 조간 브리핑 1 세우실 2012/01/05 1,412
56293 교보타워 밝은안과에서 라식검사를 하는데요. 1 노안 2012/01/05 1,618
56292 연출자가 관객 모욕......세상에 이런 일도 있네요. 1 신기하다 2012/01/05 2,309
56291 아이들 간식으로 옥수수 구입~ 1 옥수수 2012/01/05 1,381
56290 태블릿 pc사용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하세요? 5 은현이 2012/01/05 3,116
56289 계면활성제가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가사가 떳네요.. 36 웰빙박사 2012/01/05 14,277
56288 갑자기 한쪽 팔에만 붉은 반점들이 많이 나타났어요.. 2 ... 2012/01/05 7,832
56287 중간 정도의 머리인 아이 수학 심화 문제집 같은 거 두권 푸는.. 3 질수학못하는.. 2012/01/05 2,236
56286 세제, 비누, 농약에 쓰이는 '계면활성제'에 치명적 독성…연구결.. 4 sooge 2012/01/05 2,128
56285 딴나라당 알바들이 미는 민주통합당 후보 9 나꼼수카페회.. 2012/01/05 2,444
56284 sos)횡단보도서 뺑소니 당했어여ㅜㅜ 9 부자 2012/01/05 2,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