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2월 청구 전기요금이...

ㅎㅎ 조회수 : 3,018
작성일 : 2011-12-20 15:16:00
6,650  나왔네요.

맞벌이고 아이없구요.
전자제품 거의 없어요.
평소 전기 아끼는 편이기도 하고요.

근데 작년이랑 비교했을때 
1,170원이 더 절약되었네요.

작년 이맘때보다
조금 덜 추웠나봐요.ㅎㅎ


IP : 112.168.xxx.6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ㅇ
    '11.12.20 3:17 PM (115.139.xxx.16)

    작년이 진짜 엄청난 추위였죠.
    눈도 일찍부터 왔고, 많이 왔고.
    올해는 아직 그만한 큰 눈도 안오고.. 살만하죠.

  • 2. 밥퍼
    '11.12.20 3:17 PM (211.213.xxx.71)

    66,500 아니고 6,650 맞나요?

  • 3. 그쵸?
    '11.12.20 3:21 PM (112.168.xxx.63)

    제 기억에도 작년보단 좀 덜 추운거 같아요.
    1,2월이 있긴 하지만 12월도 꽤 추웠고 그랬거든요.
    그래도 1-2월이 추위 중심이긴 하겠지만요.ㅎㅎ

    밥퍼님 네 6,650원이에요.ㅋㅋㅋㅋㅋㅋ
    저희 TV없고요.
    사용기간은 11/9~12/8일까지 분이네요.

  • 4. ..
    '11.12.20 3:25 PM (112.164.xxx.31)

    저희집도 6040원 나왔어요. 사용량 85.. 제일 낮은 구간에서 멈췄더라구요. 4월에 아파트로 이사오고 100넘은건 단 한번이네요. 항상 5천후반대 6천원 초반대.. 오전에 나와서 11시 넘어야 들어가고 하니 들어가면 씻고 자고하니 전등도 안켜고 티비 컴이 없어 그런가봐요. 전기 밥솥에 다리미 세탁기 양문냉장고 전자렌지까지 다 써도 전기요금 진짜 안나와요.

  • 5. 저희집은
    '11.12.20 3:25 PM (121.135.xxx.55)

    15000원 나왔어요.
    티비,세탁기,냉장고,김냉,전기요,전자렌지.
    밥솥이랑,컴터고장나서 안썼더니 이렇게 나왔네요.
    직장인이라 자고만 나와요.전기요도 밤새도록 켰는데
    이렇게 나오네요.앞으로도 이렇게 써야겠어요.
    에어컨도 있는데 내년 여름에는 선풍기쓰려구요.

  • 6.
    '11.12.20 3:29 PM (112.168.xxx.63)

    ..님은 더하시네요.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아낀다고 아끼는데..ㅎㅎ

    저흰 상가주택인데 집이 추워요. ㅠ.ㅠ 그래도 아껴서 어찌 지내니까 저 정도인데..
    따뜻한 아파트가면 진짜 더 절약될 거 같긴해요.ㅎㅎ

  • 7. 이해불가
    '11.12.20 3:32 PM (121.176.xxx.120)

    아파트면 공동전기료도 포함일텐데 어찌 저런 현실에서 나올수 없는 금액이 나온단 말이죠?^^
    그저 신기하고 놀랍네요.

    저희는 기본으로 나가는 공동 전기료 아파트 관리용으로 나가는 엘리베이터 사용료만 합쳐도
    돈만원이 넘는데..

  • 8. 윗님
    '11.12.20 3:36 PM (112.164.xxx.31)

    공동전기료는 관리비에 포함되서 나오구 각 가정별 전기요금만 따로 부과되요. 옛날 아파트라 공동전기료도 아주 부담없어요. 수도세 포함한 관리비가 6-7만원정도 나오네요. 24평형이예요.아파트 가로등은 시에서 보조해준다고 그건 공동전기료에 포함도 안되더라구요. 다 그렇겠죠?

  • 9. 진짜 궁금..
    '11.12.20 3:52 PM (218.234.xxx.2)

    2식구 사는데, 난방 안하고 전기요 써요. 약하게요.
    상시 꽂혀져 있는 전자제품은 냉장고, 노트북, tv 정도밖에 없어요.

    세탁기는 일주일에 한번 사용하고, 전기밥솥도 일주일에 한 3일 정도 쓰는 거 같아요.
    전기주전자를 좀 자주 사용하긴 해요. (커피 끓여먹는 게 취미라)
    청소기는 하루에 한번 정도.. 스팀청소기는 정말 가뭄에 콩나듯 한번..(한달에 한번이나 쓸까..)

    그런데도 전기요금이 거의 6만원 꽉 채워요. 전등도 많이 안켜거든요. 남향집이라 밝아서..

  • 10. ??
    '11.12.20 4:01 PM (112.168.xxx.63)

    진짜 궁금님.. 아파트세요?
    남향에 밝은 집이면 난방이 잘 될텐데..

    저희랑 비슷하세요.
    저희는 12월 들어와서 전기장판 (전선깔린거..) 저온에 두고 밤에 자거든요.
    1보다 낮은 온도에요. 저온..

    진짜 궁금님 같은 경우는
    우선 전기주전자...이게 전기소모가 꽤 커요. 편하고 빠르다고 쉽게 쓰시겠지만
    가스렌지에 물 끓여서 쓰시는게 훨씬 낫죠.
    전기요는 등급이 어떤지 모르겠구요.
    전기밥솥 밥 하시고 보온으로 오래 두시면 보온이 전력소모가 많이 되고요.

    진짜 궁금님이랑 저희랑 가전제품은 비슷한데 요금은 좀 다르네요.^^;
    저흰 아파트도 아니라서 집이 추운데도..

    전 항상 켜있는건 김치냉장고, 냉장고에요.
    냉장고는 오래된거라 제 생각엔 전력소모가 가장 많이 되는 것 중 하나 일거에요.

    쓸때마다 켜는 건
    청소기 (수요일, 일요일)
    전기밥솥 (매일..밥할때만 취사, 취사후는 끔. 저녁 먹을 양만 밥하고 밥을 조금 남겨서
    아침에 먹는데 볶음밥을 하거나 국을 뜨겁게 데워서 국에 간단하게 말아먹음.ㅎ)
    드라이기 (매일 아침. 머리 말리는 용도)
    세탁기 (일주일에 한번.)
    다리미 (일주일에 한번)

    이 정도거든요.

  • 11. 집도 남향..
    '11.12.20 4:06 PM (218.234.xxx.2)

    제가 이해 안되는 것이 집이 남향이라 따뜻해서 보일러를 안틀거든요.
    제가 워낙 추운 데서 (구옥) 자라서 추운데서 생활(옛날 대학 기숙사, 바닥 난방 안되고 중앙에서 찔끔 틀어주는 오피스텔) 하는 데 이력이 나 있다보니 18도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보일러 안틀어요.

    전기담요도 잠잘 때만 틀고..
    재택근무라 집에서 일하는데 노트북이라 솔직히 전력이 많이 들어간다고 하긴 어렵고..

    가전제품이 오래 되어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거라고는 생각하는데 저는 다들 이만큼 전기료를 내는 줄 알았어요..

    중요한 건 냉장고가 13년짜리라는 거.. (저도 이번에 이사하면서 알았네요. 쩝)
    TV도 8년 됐고,

    아무리 그래도 냉장고, TV 외에는 사용하는 전자제품이 거의 없는데..
    다리미는 거의 안쓰고, 드라이기도 안써요,

  • 12.
    '11.12.20 4:15 PM (112.168.xxx.63)

    저도 냉장고가 진짜 오래됐어요.ㅋㅋ
    제가 자취때 쓰던거라..저도 13년 정도 되었어요.

    소비등급이 어떤지도 살펴봐야 할 거 같고.
    전기주전자도 한 몫 할거 같은데요.

    저는 매일 전력량체크를 해요.
    요즘 같은 때엔 보통 하루에 4정도써요.

    진짜 궁금님도 며칠간 전력량체크를 좀 해보세요.
    매일 소비되는 양이 비슷하다면
    아마 집안에서 그만큼 소비가 되는 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15 인터넷 설치하는데 얼마나 걸리나요? 1 ... 2011/12/21 1,072
52314 급!! daum에서 뭘 검색했었는데 검색한 단어가 남아있어요. 2 도와주세요... 2011/12/21 1,637
52313 핑멩미사일, 펭밍미사일,핑밍미사일, 펭멩미사일 5 조카선물 2011/12/21 1,004
52312 김치냉장고에 보관한 사과.. ㅜㅜ.. 11 아그네스 2011/12/21 8,939
52311 다음에 있는 요즘이란 서비스...개인정보 때문에 미치겠네요. 9 나거티브 2011/12/21 2,732
52310 이정희 거침없는 하이킥! "민주통합당, 박근혜 체면 세.. 3 참맛 2011/12/20 1,727
52309 뿡뿡이나 뽀로로냐... .끄응... 엄마분들 도움 좀 주세요.... 5 고민 2011/12/20 1,506
52308 의료사고..소비자보호원중재 궁금 2011/12/20 1,979
52307 벽에 거는 3단 달력 어디서 받으셨나요? 6 월레스 2011/12/20 1,944
52306 80-90년대 외대 다니신 분 손 1 ... 2011/12/20 1,907
52305 바이올린 악보 조언 부탁드려요~ 상큼미니 2011/12/20 1,110
52304 요런 간단 6 양배추와 스.. 2011/12/20 1,589
52303 아쉬웠던 대한문후기... 16 밍키밍 2011/12/20 3,433
52302 초보주부입니다 전세 관련해서 여쭤보고 싶어요 3 세입자 2011/12/20 1,473
52301 황당한 매장 아이잗.. 2011/12/20 1,402
52300 저희 아이가 감기 예방차 먹는것들 입니다.조언좀.. 8 .... 2011/12/20 1,823
52299 뜨아~ 댓글이 무려 11,000개가 넘어 버렸시요~~~ 31 참맛 2011/12/20 11,840
52298 영어질문 1 학생 2011/12/20 976
52297 자 ,자 펭귄 키우면서 수수 빗자루 찾으시는 분들 이거 보세요 .. 5 .. 2011/12/20 2,850
52296 독일, 오스트리아 전기코드 어떤거 쓰나요? 3 ... 2011/12/20 16,108
52295 천일의 사랑 마지막이 저게 뭐죠..? 53 vpd 2011/12/20 16,453
52294 아직도 햇볕정책에 우호적인 언론도 있네요! 4 호박덩쿨 2011/12/20 1,421
52293 베토벤 - 제5번 <운명 교향곡> 3악장 4 바람처럼 2011/12/20 3,907
52292 머리 안 아픈 보드카 칵테일이 있나요? 4 참맛 2011/12/20 1,661
52291 박근혜 이영상,,,,,,,,,허위사실유포 아닌가요? 5 ㄹㄹㄹ 2011/12/20 1,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