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베토벤 - 제5번 「운명 교향곡」 1악장

바람처럼 조회수 : 6,249
작성일 : 2011-12-18 23:05:49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 ― 1827) 작곡

교향곡 제5번 C단조 작품번호 67 <운명> 제1악장

Symphony No. 5 in C minor, Op.67 ‘Schicksal’ 1movement

 

교향곡 제5번을 <운명>이라고들 부른다. 그것은 어느 날, 베토벤 제자인

안톤 쉰들러가 제1악장 서두의 주제는 무엇을 뜻하느냐고 물었을 때

‘운명은 이와 같이 문을 두들긴다.’고 대답했다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곡을 한국과 일본에서만 <운명 교향곡>이라고 하고, 그 외의

외국에서는 <제5번> 또는 <C단조 교향곡>이라고만 한다.

 

베토벤 생애 중 큰 시련은 26세 때부터 시작된 귓병이었다. 30대 초에는

완전히 귀머거리가 되었는데, 이 병으로 그가 얼마나 괴로워하고

절망했는지는 32세 때 가을에 쓴 비통한 <하일리겐 슈타트의 유서>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베토벤은 운명에 대해 과감한 도전을 개시하고 제2의 인생을 시작

했는데 그 서두를 장식하는 작품은 교향곡 제3번 <영웅>이지만, 뒤이어

구상하기 시작해 1808년에 완성한 작품이 기념비적인 <운명 교향곡>이다.

 

<운명 교향곡> 전곡을 살펴보면 비교적 간결하여서 단 한 음도 버릴 데가

없는, 정밀하고 견고한 구성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테마는 베토벤 생애의 후반기를 사로잡고 있던 “고뇌를 통해 환희에

이르자.”라는 말과도 일맥상통하는 ‘암흑으로부터 광명으로’라는

생각이었다. 자신의 시련과 고통 그리고 고뇌를, 불후의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인 것이다.

 

그것은 새로운 ‘시대정신’이며, 새로운 음악의 세계이기도 하다. 그의

불굴의 투지는 모든 고난과 공포와 비극을 극복하고서, 마침내 승리의

환희를 나타내는 작곡자의 이념을, 작품 안에 잘 표현해 놓았던 것이다.

그러나 베토벤이 이 곡에서 표현한 투쟁은 외적인 것보다는 내적인 것이

라는 견해가 더 타당하다고 볼 수 있겠다.

이 <제5번> ‘운명’은 베토벤의 정체성이 가장 잘 표현되고 농축된, 교향곡

중의 교향곡이며 서양음악사에서 최고의 걸작으로 사랑받는 작품이다.

                                                                                (퍼온 글을 정리)

 

제1악장: 알레그로 콘 브리오Allegro con brio 빠르면서도 활기차게 ~

               2/4박자 소나타 형식

 

‘운명은 이와 같이 문을 두들긴다.’

네 개의 음으로 된 그 유명한 제1주제가 힘차게 연주된다. 남성적이고 장쾌

하며 호방하다. 이 주제는 여러 모양으로 변형되어 나타나면서 곡은

정점으로 향하여 박진감이 더해진다. 심각하고 강렬한 메시지를 느끼게 하

는 의미심장한 악장이다.

 

소나타 형식: 제시부-발전부-재현부- 코다라는 4개 핵심적 부분이 차례

로 전개되면서 음악이 형성되는 악곡 형식.

코다coda: 한 악곡이나 악장의 끝맺음을 강조하기 위한 마지막 부분의 악

구, 앞의 내용을 확장하고 장식하여 곡을 종결짓는 부분이다.  

 

 

~~~~~~~~~~~~~~~~~~~~~~~ ~♬

 

연주자 ―

카를로스 클라이버(Carlos Kleiber, 1930 ― 2004) 독일 태생

오스트리아의 전설적인 명지휘자. 음악 애호가들이 베토벤 연주의 최고로

평하고, 현직 세계 저명 지휘자들에 의해 ‘최고의 지휘자’ 중 1위로 선정.

 

게오르그 솔티(Georg Solti, 1912 ― 1997) 헝가리 태생 영국의 명지휘자

구스타보 두다멜(1981~    ) 베네수엘라 출신, LA 필하모닉 상임 지휘자

 

 

앞으로 4일간,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 전 4악장을 한 악장씩 올려드립니다.

오늘은 금세기 최고의 지휘자가 지휘하는 교향악단 연주곡 3곡을 선곡

했는데 모두 한 시대를 풍미했던 명지휘자들이고 현재도 최정상급에서 활동

중이지만, 지휘자 개개인의 작품 해석과 개성에 따라서 다르게 연주 됩니다.

 

들으시는 분들의 개인적 성향과 자신의 음악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서, 지휘

곡의 선호選好도 각자 다르게 나타날 것인데 정답은 없겠습니다.

 

 

~~~~~~~~~~~~~~~~~~~~~~~~~~~~~~~~~~~

 

베토벤의 <제5번 교향곡> ‘운명’ 1악장

지휘: 카를로스 클라이버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연주

http://www.youtube.com/watch?v=RqsT00B0ttI

 

지휘: 게오르그 솔티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

http://www.youtube.com/watch?v=ymxFv26J3V8

 

지휘: 구스타보 두다멜

스웨덴 고텐부르크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

http://www.youtube.com/watch?NR=1&v=22wEhOdfAfA

 

~~~~~~~~~~~~~~~~~~~~~~~~~~~~~~~~~~~

IP : 121.131.xxx.6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참맛
    '11.12.18 11:09 PM (121.151.xxx.203)

    옛날에 감상실에서 듣던 기억이 나네요. 녹음카셋트로 듣다가 처음 멋진 세계를 경함했더랬는데요.

    오늘도 고맙습니다.

  • 2. 자연과나
    '11.12.19 12:28 AM (175.125.xxx.77)

    음.. 결심한게 있어 요즘 매진하느라 그렇습니다.

    바람처럼님 덕에 좋은 음악을 편하게 들을 수 있었는데...

    올해까지라고 하셔서 마음이 갑자기 무겁습니다. ㅠㅠ

    번의하시면 더없이 좋겠습니다..

    항상 이 운명이란 교향곡을 들을 때마다 베토벤 자신이 제목을 지었는지 궁금했었는데.. 이제야 해답이 풀리네요.

  • 3. 바람처럼
    '11.12.19 6:27 AM (14.39.xxx.18)

    아, ‘자연과 나’ 님, 제가 지난번에 쓴 댓글을 읽으셨군요.

    지난 6월 중순 경에 슬며시 기억 속에서 흘러간 ‘팝음악’ 이 생각
    나곤 했었지요. 특히 아름답고 감성적인 선율과 인생사가 녹아 있는
    ‘팝음악의 명곡’ 들이 말이지요.
    그러한 생각이 점점 깊어들어 마침 ‘유튜브’ 에서 한 곡씩 찾아서
    음악을 보고 들으면서 타인들과 공유하고 싶은 생각에 도달하자
    여기 82Cook 게시판에 올리게 되었던 것입니다.
    2개월간에 걸쳐 매일 1~2곡씩 올리고 마무리 단계에서 고전음악을
    올리던 중 ‘82개편’ 작업으로 중단 되었었는데요.

    개편 후 ‘자연과 나’ 님의 요청도 있으셨고 계속 들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여기까지 오게 되었네요.
    애초부터 ‘클래식 음악’ 은 애호가들이 한정되어 있어서
    높은 조회수를 기대하지는 않았고 회원님 100여분 정도만 늘 들어
    주셔도 뜻을 이룬 것이라는 마음가짐이 있었지요.
    그런데 클래식음악을 준비하면서 많이 듣다보니 대중음악과 팝송은
    ‘맹물’ 같아서 그 일을 하라면 다시는 못할 거 같아요.
    클래식 음악의 그 심원한 세계와 아름다움에 맛을 들이고 보니
    제가 스스로 변한 것일까요.

    앞으로도 글이나 다른 자료를 통해서라도 가끔씩 게시판에 올리는
    일은 계속될 것입니다. 현재의 작업이 끝난다고 해서 모든 것이
    정리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아무튼 ‘자연과 나’ 님 하시는 일, 잘
    이루어지길 늘 기원하지요.
    특히, 항상 건강 챙기세요. ^^

  • 4. ..
    '11.12.19 9:54 AM (59.0.xxx.103)

    뒤늦게 바람처럼님의 글을 찾아 매일매일 듣고 또 듣고 있습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들어야할지 모르는 저에게는
    상세한 설명도 그렇고.. 너무도 좋은 교과서입니다.
    감사인사 꼭 드리고 싶었습니다.
    덕분에 행복합니다 고맙습니다 ^^

  • 5. 바람처럼
    '11.12.19 12:25 PM (14.39.xxx.18)

    위에 점 두 개님,
    다른 분들보다는 좀 늦으셨군요.
    제가 게시판에 올린 자료에 대해 과찬의 말씀을 하셨구요.
    감사드립니다.
    제가 님같은 초보자분들도 염두에 두고서 베토벤의 소품인
    ‘엘리제를 위하여’ 부터 시작했지요. 그리고 점점 음악적 수위가
    높아가는 작품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그렇지만 저도 아직은 초보자 수준에 불과해요.
    음악을 들으시고 ‘행복하시다’ 는 분들의 댓글을 볼 때
    가장 기쁘지요.
    아, 제가 세상에 그리고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일 한 가지를
    했구나 ! 하고 말이지요.

    오늘 밤, 베토벤 음악 안에서 또 만나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008 어디서 사야 하나요? 종이모형 2011/12/23 624
52007 밑에글 패스 해주세용..(노무현과 이멍박) 2 듣보잡 2011/12/23 645
52006 정봉주의 시련 -- 노무현과 이명박 통했을까? 2 깨어있는시민.. 2011/12/23 1,214
52005 경향신문 보시는 분들 , 지면이 너무 적지 않나요? 9 경향신문 2011/12/23 1,171
52004 대구중학생의 애통한 유서를 보고 1 산중선인 2011/12/23 1,471
52003 또 먼가 터질 모양입니다.. 3 듣보잡 2011/12/23 3,094
52002 장애인 친구 심부름 시킨다던 그 학부모 기억나세요?? 1 그떄 2011/12/23 1,652
52001 저는 초등학교때 왕따 피해자 입니다. tomogi.. 2011/12/23 2,077
52000 욕실 단열공사 해보신 분 계세요? 3 추워서 2011/12/23 5,843
51999 워싱턴 포스트에서도 한국의 언론통제에 대한 기사를 내보내는군여... 2 국제적 망신.. 2011/12/23 1,224
51998 꼼수면. 가카새끼 짬뽕에 이은 신제품 출시 8 무크 2011/12/23 1,940
51997 우리 같이 들어요. 2 츄파춥스 2011/12/23 763
51996 초등 4학년 여아 크리스마스 선물좀 추천해주세요.!! 1 gpgp 2011/12/23 6,442
51995 코스트코 검정패딩 사신분 어때요? 1 2011/12/23 2,946
51994 어제 오전부터 모든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요... 2 어제부터 2011/12/23 1,023
51993 곽노현 교육감님이 편지 받으실수 있는 주소 좀.. 8 .. 2011/12/23 1,013
51992 정 봉주는 너무나 많은 것을 알았다. 12 깨어있는시민.. 2011/12/23 2,873
51991 속보) 미 연방법원 "bbk 김경준 스위스 계좌 캔다&.. 6 무크 2011/12/23 2,313
51990 홈베이킹 하시는 분들~ 도구나 재료 어디서 구입하세요? 8 삐뽀삐뽀 2011/12/23 2,037
51989 버러지 같은 인생 2 ... 2011/12/23 1,335
51988 왜 갑자기 광고글들이 급하게 주루룩 올라오는 걸까요? 3 truth 2011/12/23 1,182
51987 폐경 미루는데 석류가 좋나요? 12 아직 39인.. 2011/12/23 6,829
51986 KBS, 정봉주 ‘디스’나섰나? yjsdm 2011/12/23 1,171
51985 미국변호사 자격증=박사? 4 알려주세요 2011/12/23 2,550
51984 이 찻잔 너무 이쁘지 않나요? 10 어서 팔까나.. 2011/12/23 3,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