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방사능)일본산이 들어있는 화장품 위험성에 대해서..

. 조회수 : 5,174
작성일 : 2011-12-16 23:50:51

방사능  화장품 왜 위험할까? 1) 낮은 선량의 방사능 , 고성능아니면 검측하기도 힘들어. 2) 피부에 직접 흡수하고 소화기를 통하지 않기때문에 체내 오래 머물러. 3) 세슘이 검출되면 다른 핵종도 같이 검출된다고 봐야. 특히 α 핵종은 피부 좋아해 4) 단일 브랜드 장기 사용 자 많아 5) 농축 천연원료 방사능 함유가능성 높아. 6) 섭취,호흡등으로 쌓이는 양과 함께 방사능 선량생각해야.   출처: 방사능 시대 - 생존 가이드 @Radiation_Ages

 

 

출처 방사능시대----------- 2011년 7월 9일 토요일
화장품 같은 경우 한번 어떤 제품을 쓰기 시작해 자신의 피부에 맞다고 생각하면 바꾸기 쉽지 않다.  하지만 아래  일본 화장품공업연합회가  한국 화장품 유통업체들에 보낸 공문을 보면 생각이 달라질지도 모른다.


아래의 글을 한번 읽어보자.


<b>『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관련하여』</b> <br /><b>2011년 3월 30일</b> <b>일본화장품공업연합회</b>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인하여 일부 농산물이나 음료수에서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었다는 정부발표, 보도자료 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들로 인하여 화장품, 약용화장품 등의 의약부외품(이하 「화장품 등」)의 안전성에 관하여 소비자 여러분들께 심려를 끼쳐 드렸습니다만, 아래에 보는 바와 같이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으므로 지금까지처럼 애용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br /><br />① 화장품 등은 외부의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는 관리된 실내환경에서 제조되므로 대기중에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직접 제품에 들어가는 일은 극히 적다고 사료됩니다.<br /><br />②후생노동성이 정한 「음료수 속의 방사성 물질 잠정 규제 수치」와 같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물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소위 화장품 등의 제조공정에 사용된다고 가정하여(주1), 이러한 화장품 등을 1년간 매일 사용하였을 때 받을 수 있는 방사선 양(주2)을 계산하면 연간 7.8 마이크로 시벨트 이하이며, 인체 건강에 영향은 없습니다.<br />③ 일본 정부에서도 현재 수돗물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수준에서는 생활용수(손씻기, 세안, 머리감기, 입욕 등 피부에로의 접촉)로써의 사용에 관해서는 문제가 없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등도 피부에 사용하기때문에 만일 수돗물과 동일 수준의 방사성 물질 농도라 하더라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사료됩니다. 아울러 우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계로부터 연간 2400 마이크로 시벨트(세계 평균)의 방사선을 받고 있습니다.(주3)<br />주1 : 화장품 등을 사용하여 사람에게 잔존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선량의 총량에 근거하여 계산함. 화장품 등의 제조, 품질 검사, 출하까지의 기간이나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기까지의 시간을 거쳐서 경시적인 방사능 감쇄를 감안함. 국내 수돗물에서 세슘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요오드131 경우를 상정함.<br />주2 : 경구 섭취를 가정함<br />주3 : 원자력 방사선 영향에 관한 국제연합과학위원회(UNSCEAR) 보고서<br />이상의 이유로부터 일본화장품공업연합회는 이번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하여 대기중에 방출된 방사성 물질을 원인으로 화장품 등이 소비자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고 사료됩니다. 일본화장품공업연합회는 향후에도 정부 등이 공표하는 정보 등을 충분히 주시하여 계속해서 소비자의 안전을 제일로 생각, 활동해 가겠습니다.<br />이상






빨간색 부분은 필자가 색깔만 바꿨다.

후생노동성이 정한 「음료수 속의 방사성 물질 잠정 규제 수치 - 후생노동성이 정한 규제치라는게 너무 높다. 이번에 갑자기 올린 기준치는 물을 포함한 음료수 1kg당 방사성 요오드의 규제치가 300Bq(베크렐)로, 방사성 세슘의 허용 기준치는 200Bq로 나타나 있다. 이는 이전까지 일본수도(水道)협회가 참고해온 세계보건기구(WHO) 규제치보다 각각 30배와 20배가 높은 수치다.

연간 7.8 마이크로 시벨트 이하이며, 인체 건강에 영향은 없습니다. - 예전엔 국제 기준치와 같았지만 규제치가 올라가니 연간 방사선 선량도 올라가게 된다.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일 경우 피하 조직을 통해 내부피폭되면 그 피해는 외부 피폭과는 비교될수 없을 정도의 영향이 예상된다. 이 말은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하고있다. 어떤 전문가의 말을 빌리자면 내부피폭은 외부 피폭에 비해 1조배 이상의 영향이 있다고 말한다.

우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계로부터 연간 2400 마이크로 시벨트(세계 평균)의 방사선을 받고 있습니다.(주3) - 자연계로 부터 방사선을 받는다고 자연계라는 말도 잘못되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방사선 그리고 지질,암석따위에 따른 방사선 빼고는 대부분 인공적인 방사선이다. 그리고 국제연합과학위원회(UNSCEAR)가 말하는 평균도 핵실험등에 의해 1970년이후 지속적으로 올린 결과이다. 절대 자연계로부터 나온 방사능 때문만이 아니다. 일본 정부가 사고 전에 정했던 개인 방사선 년간 선량수치는 1000마이크로 시벨트다. 그 이상은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국내 수돗물에서 세슘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요오드131 경우를 상정함. - 현재 일본 수돗물에서는 세슘이 검출되고 있다. 7월 초에도 세슘이 도쿄 정수장에 검출되었다.

대기중에 방출된 방사성 물질을 원인으로 화장품 등이 소비자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고 사료됩니다. - 무슨 근거로! 웃긴다. 화장품 원료도 다 그들이 말하는 자연계로 부터 가져오는 것이다. 원료를 외국에서 수입하지 않는 이상 방사성물질이 포함될 가능성은 다분하다.



글쎄.... 현재 일본 삿뽀로 맥주 같은 경우 센다이 공장에서도 맥주를 생산하는 걸로 알고 있다. 센다이는 후쿠시마 바로 옆이다. 이런 곳에서 지하수로 뽑아쓰는 맥주에 세슘이나 방사선 물질이 들어있지 않다고 누가 장담 할 수 있는가? 일본정부의 현재 방사성물질 기준치와 도덕성을 적용한다면 화장품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제 화장품은 방사능이 함유되어있을 가능성이 많다. 방사능이 함유된 화장품을 쓴다면 내부피폭될 확률이 높다고 봐야한다.
IP : 119.66.xxx.1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딜라이라
    '11.12.16 11:51 PM (112.144.xxx.216)

    좀 더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 2. 첫눈
    '11.12.16 11:58 PM (119.66.xxx.12)

    일본에서 분유에서 세슘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 대단히 중요한 사건입니다. 일본전역의 오염을 얘기해주는 ... 원재료가 원전이전 재료였고, 건조기간중에 공기유입으로 분유가 오염되었다고 합니다.
    아무리 우리나라가 기본핵종 세슘 요오드 간단한 것만 하고 들어온다지만,
    전수검사를 다 하고 들어오지도 않습니다. 샘플몇가지만 하는 전 건수 검사만 하고 들어와요.
    식품인 경우도 이런데...
    공산품은 컨테이너 1% 검사밖에 안하고 들어오는 허술한 행정이에요.
    여러 정보는 드리되,,,판단은 본인이 하는 것이지요..

  • 3. 정말 걱정되네요.
    '11.12.17 12:02 AM (220.118.xxx.142)

    미국산 화장품은 괜찮을까요?
    미국은 방사능 오염여부 까다롭게 검사하는지요.
    오리진스 쓰기 시작했는데...궁금해요

  • 4. 첫눈
    '11.12.17 12:05 AM (119.66.xxx.12)

    외국 화장품도 거의 일본산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검색해보시면 많은 분들이 화장품회사에 질의해둔 내용들이 많이들 있어요. 미국방사능오염검사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식품도 매우 중요하지만 화장품도 조심해서 써야 합니다.특히 젊은 분들요.

  • 5. 딜라이라
    '11.12.17 12:11 AM (112.144.xxx.216)

    구체적으로 다시 올려 주셨네요.감사합니다.걱정이네요.화장을 안할 수도 없으니..

  • 6. jk
    '11.12.17 11:38 AM (115.138.xxx.67)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일 경우 피하 조직을 통해 내부피폭되면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일 경우 피하 조직을 통해 내부피폭되면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일 경우 피하 조직을 통해 내부피폭되면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일 경우 피하 조직을 통해 내부피폭되면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일 경우 피하 조직을 통해 내부피폭되면


    소설쓰시네요.
    화장품내에 함유된 성분이 피하조직을 통해서 흡수될 가능성은 아주 낮기 때문에
    사실 아예 없다고 보면 되는데 극히 일부의 성분들은 흡수가 됩니다만 그 흡수되는 성분들이 정말 극소수입니다.
    그렇게까지 흡수가 잘 되는 녀석들은 화장품에 못넣도록 국가에서 화장품 성분을 간섭하는겁니다.

    피부는 흡수기관이 아닙니다. 보호기관 다시 말해서 흡수되지 않게 막기 위해서 존재하는겁니다.
    글의 다른 내용은 모르겠지만 화장품을 발라서 그게 체내로 흡수될거라고 말하는건 오버입니다.

    차라리 먹는걸 걱정하세요. 엄청난양의 방사능에 오염된 해수가 바다로 흘려보내지고 있을테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078 엄마로서 잡다한 결정이 힘드네요 12 엄마아니고 .. 2011/12/21 2,415
51077 스키장 리프트권 2 소인과 대인.. 2011/12/21 902
51076 제가 기분 나쁜 게 잘못된 겁니까 ㅇㅇㅇ 2011/12/21 907
51075 치매보험 팔던 고모. 11 천일의 사랑.. 2011/12/21 5,025
51074 3주전 담근 총각김치, 지금 다시 양념하면 안되겠죠?ㅜ.ㅜ 2 본마망 2011/12/21 1,106
51073 중3 겨울방학 기숙학원 좋은가요? 2 NS운지 2011/12/21 2,010
51072 새알심 익반죽 실패한 찹쌀반죽 구제 방법좀... 9 팥죽 2011/12/21 3,497
51071 정봉주 무죄받는 너무 쉬운 방법. 6 .. 2011/12/21 2,255
51070 방학때 읽힐만한 재밌는 수학책 추천해 주세요~^^ 2 수학공부.... 2011/12/21 1,070
51069 냉동용기 추천해 주세요 2 비닐타파 2011/12/21 1,126
51068 붕어빵 반죽 남은거 냉장고에 보관해도 되나요? 4 곰세마리 2011/12/21 3,771
51067 저희 남편은 제 몸 생각은 안하고 둘째 타령해요. 9 2011/12/21 2,619
51066 대학로 까페, 음식점에서도 발레파킹 서비스 하나요. 2 도토리 2011/12/21 993
51065 로만쉐이드 커텐 세탁기에 돌렸더니 한뼘이 줄었어요. T.T 1 씽씽 2011/12/21 1,617
51064 10세 남아의 레고는 대체 어떤 걸 사야하나요?ㅜ 6 애플 2011/12/21 1,560
51063 방금 아파트 주차장에서 욕 먹었어요. 18 흑흑 위로해.. 2011/12/21 6,553
51062 내년에 중3 점수가 바닥입니다. 7 큰일 2011/12/21 1,847
51061 3학년아이 점프왕수학 잘 푸나요? 5 어떻게 2011/12/21 1,471
51060 박정희-육영수 생가 무료관광 이랍니다. 9 나거티브 2011/12/21 1,442
51059 경찰 "청와대 지시로 디도스 금전거래 덮었다" 7 이런. 2011/12/21 2,230
51058 태어나서 처음으로 점을 보고 왔어요 4 2011/12/21 1,964
51057 봉도사 무죄탄원서명 10만 찍어봅시다 9 양이 2011/12/21 1,381
51056 전신마취 3번. 기억력감퇴인가요? 9 슈퍼뱅뱅 2011/12/21 6,053
51055 카톡에서 3 카톡 2011/12/21 2,308
51054 홑곁눈 반영구 아이라인 소용있을까요? 5 저주받은눈 2011/12/21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