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침대를 안쓰거든요.
예전에 쓸때는 여름과 겨울에는 침대를 안쓰고 바닥에서 잤어요.
겨울에 침대쓰는분은 전기장판 무조건 쓰나요?
그냥 자면 침대 추울것같은데요.
가끔씩 침대 사고싶은생각도 드는데 다른분들은 어찌사용하는지
궁금해서 적어봐요.
지금은 침대를 안쓰거든요.
예전에 쓸때는 여름과 겨울에는 침대를 안쓰고 바닥에서 잤어요.
겨울에 침대쓰는분은 전기장판 무조건 쓰나요?
그냥 자면 침대 추울것같은데요.
가끔씩 침대 사고싶은생각도 드는데 다른분들은 어찌사용하는지
궁금해서 적어봐요.
전기요깔고 위에 극세사패드깔고 잡니다
땃땃하니 좋아요 ㅎㅎㅎ
구스패드를 매트리스위에 깔고 구스이불 덮고 자는데 정말 따뜻해요
이불속에 들어갈땐 살짝 추웠다가 온도가 맞춰지는거 같아요
추운느낌 싫으시면 미리 유단포에 뜨거운물 넣어 이불속에 넣어놓으면 금방 따뜻해진답니다
구스패드 또는 유단포 이용해보세요~
전 침대쓰는 임산부인데~
올 겨울 난방도 거의 안하고 사는데도 침대 잘 쓰고 있어요~
이불만 좀 도톰한 거 덮으면 따뜻하게 잘 자는 거 같아요~
어제는 무지 추운 거 같아서 난방 좀 돌렸는데, 평소보다 더 따뜻하게 잔 거 같기는 해요~
유단포가 뭔가요?
오히려 불을 안때는 시기에는 윗공기라 바닥보다 따뜻해요
한겨울에는 오리털 거위털 양모 등 좀 보온되는 이불 덮으시면 됩니다.
이불 안개서 얼마나 편한 지 몰라요
별로 추운지 몰라요.
외풍이 센 집이라면 다르겠지요.
여름에는 인견패드 깔고, 잤습니다.
그냥 솜 패드 깔고 잘때는 몸 뒤쪽으로 땀이 축축하고, 머리도 축축했지만,,,
올해 인견패드 깔고, 자보니,,인견도 시원하고, 통풍이 잘 되어서, 아침에 일어나면 쾌적했어요.
(에어컨 안 켜고 살았어요)
지금도 인견패드 깔고 잡니다 ^^
처음 들어가면, 차가운 기운이 있긴 한데,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몸 뒤쪽이 쾌적하거든요.
솜패드 깔고 자면, 겨울에도, 몸 뒤쪽 땀이 좀 남아 있는 느낌....
저도 구스패드 사고 싶음.. ㅎㅎ
전 어려서부터 아파트에서만 살아서인지, 어려서부터 전기장판을 써본 적이 없어요.
초딩때 살던 아파트는 연탄보일러였던 적도 있었구, 늘 서민생활이었어요.
대학가서 선배 자취방에 갔더니 전기장판에 전기요가 있어서 나름 문화적 충격이었다는...
침대 생활 30년에 전기장판, 전기 담요 써본 적 없슴다.
온수매트 쓴다고 말하고 싶은뎅...꼭 온수매트 알바같다고 할꺼 같긴 한뎅...
하여간에 전 온수매트 써요...온수매트 써도 전자파 나온다고 하긴 하던데 그건 전기쓰는 보일러에서나 나오는거 같아서 보일러를 20센티 이상 멀리 하고 자면 괜찮을거 같아요..
하여간에 전 침대에서 쓸라고 온수매트 산 사람이라서요..따뜻해요...이젠 거위털이불 함 사볼라구요...그럼 보일러 안 틀어도 되요..
극세사패드, 극세사 담요 얇은거에 가을에 쓰던 얇은 오리털이불 덮어요.
들어갈때 따뜻하고 부드럽고 세탁도 편해서 만족스럽네요.
발에만 조그만 찜질팩 깔고 자요.
저도 침대생활 30년동안 전기요깔아본적 없어요....
제딸은 열이 많아서 그런지... 이불도 안덮으려고 해요...;;
아직 잘때 보일러 잘 안틀고요...어젠 좀 추운거 같아서 보일러 조금 틀었었네요...
저희집은 외풍이 없어서 그런가...보일러 안틀어도 괜챦더라구요...
저희는 아이들도 어른들도 전기요 안씁니다
와 요즈음 날씨에도 보일러를 잘 안튼다니
대단하네요
보일러는 틉니다--그러나 전기요는 안쓰지요
낮에는 겨울에도 안틉니다
남향이라 따듯하거든요
전기요 써요. 이게 평소 실내 온도나 보일러 트는 습관과 관련 있는 거 같아요.
전 출장가서 호텔 숙박하면 실내 온도를 24도 이상 올라가게끔 아주 따뜻하게 맞춰놓거든요.
목욕하고 나와서 가운 입고 돌아다녀도 춥지 않고, 침대에 전기요 없어도 쾌적하게 잘 자요.
하지만 집에서는 실내 온도 25도 만들려면 보일러 무진장 돌려야 하잖아요.
몸이 안 따뜻한 상태에서 침대 들어가니까 전기요로 따뜻하게 침대를 데워야 하는 거죠.
전기요 전자파 때문에 싫어하는 분들은 잠자기 전 1시간 정도 미리 켜놓고 따뜻해지면
들어가서 전기요 끄고 잔다고 하세요.
(전 인천살고 아직 보일러 안 틀었어요. 오늘 영하 6도라는데.. 저도 남향집이라 밝은날은 따뜻해요.)
엊그제 라텍스 매트로 바꾸었는데요..따뜻하더라구요. 제가 추위를 좀 타서 전기매트를 꼭 켰었는데 라텍스는 그럴 수 없잖아요. 극세사 패드 깔고 이불은 좀 따뜻한 걸로 덮고 자니 새벽에도 따뜻하고 푹 잘 수 있었어요.
여름에 에어컨 안쓰고
겨울에 실내온도 20도에 맞추고 사는데요.
침대에 유단포나 팥주머니 하나 갖고 들어가요.
아주 추울때는 이불(오리털, 구스, 양모등) 두개 덮고 커버나 매트는 면제품만 사용해요.
저 추위 엄청 타는 사람인데도 춥다는 느낌 전혀 없어요.
전자파없다는 1인용 전기매트 깔아줬구요
라텍스+극세사모포+극세사차렵이불조합도 체온 안빠져나가서 전혀 안추운데요
구스랑 양모 다 써봤는데 저는 오히려 극세사차렵이불 가격대비 완전만족해요
저희도 우풍많은 주택인데 잘땐 보일러 안켜요
호주로 신혼여행가서 산 건데 이백이었나 ㅠㅠ
뜨끈해요 장판컨겨 같아요
극세사 패드 말고 전 두툼한 극세사 이불을 침대에 깔고 자요.
패드보다 훨씬 더 좋아요.
폭삭하고 차가운 기운이 없어서 더 따뜻한 것 같아요.
침대위에 전기장판 올려놓으시면 화재위험이 높습니다. 전기장판 쓰실거면 바닥에서 쓰시고 침대를 쓰실거면 그냥 침대만 쓰세요. 담요같은걸 한겹 깔고 위에 얇고 따뜻한 이불을 2겹 쓰세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51543 | 올해도 노란수첩을 받았네요 4 | 온살 | 2011/12/22 | 1,578 |
51542 | 선택접종중에 폐규균 아시죠? 3 | 선택접종비 .. | 2011/12/22 | 1,447 |
51541 | 영어 해석 좀..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2 | r | 2011/12/22 | 958 |
51540 | 아기때는얼굴이 큰게 이쁜거 같아요 16 | gg | 2011/12/22 | 5,461 |
51539 | 저 자꾸 소설쓰고 있어요... | 달려라~ | 2011/12/22 | 878 |
51538 | 올리브 통조림이 조금 찌그러졌어요. 1 | 써니 | 2011/12/22 | 1,186 |
51537 | 북한이 이희호,현정은만 방북 수용한건가요?? 2 | 아침 | 2011/12/22 | 1,257 |
51536 | 홍콩여행 어떤게 더 나을지 좀 봐주세요. 3 | 야옹 | 2011/12/22 | 1,606 |
51535 | 정봉주 재판한 사람이 누군가요?? 3 | .. | 2011/12/22 | 1,229 |
51534 | 인천 하야트 리젠시 관련해서 질문있어요(발레파킹 무료주차 관련).. | 질문질문 | 2011/12/22 | 1,758 |
51533 | 고현정이 광고하는 화장품이요... 2 | 건성피부 | 2011/12/22 | 1,880 |
51532 | 주상복합에 살면 이불..페브릭 먼지 어떻게 털어내나요...? 10 | 궁금.. | 2011/12/22 | 3,691 |
51531 | 진중권씨는 왜 벌금을 내나요?? 3 | 아침 | 2011/12/22 | 1,402 |
51530 | 예스24에서 달려라 정봉주 사야겠어요 5 | 정의 | 2011/12/22 | 1,401 |
51529 | 새로생긴 학원도 괜찮을까요? 2 | 오렌지 나라.. | 2011/12/22 | 791 |
51528 | 중등 역사문제집요 1 | 두아이맘 | 2011/12/22 | 933 |
51527 | 보육교사 힘들겠죠? 7 | 나이 40 | 2011/12/22 | 2,535 |
51526 | 임신말이에요 7 | 아자 | 2011/12/22 | 1,444 |
51525 | 정태근 총선불출마 촉구&FTA 철회 과식농성 11번째 이.. 1 | ... | 2011/12/22 | 868 |
51524 | 설*가 두달가까이나 갑니다.. 2 | 응가얘기 | 2011/12/22 | 918 |
51523 | 노통 서거 생각나는 날이네요 1 | 반지 | 2011/12/22 | 887 |
51522 | 지방도 2년거주 하지 않으면 양도세 내나요? 4 | 궁금 | 2011/12/22 | 958 |
51521 | 김정일의 유고가능성은 없나 | 쑥빵아 | 2011/12/22 | 687 |
51520 | 밀레청소기 쓰시는 분 6 | 파켓브러쉬필.. | 2011/12/22 | 3,773 |
51519 | 뭔 할일이 이리 많나요, 정봉주 전의원 보러가고 싶은데. 7 | 도토리 | 2011/12/22 | 1,1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