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저'의 정확한 의미? 국어 전공분들 답변 부탁해요~

한국어 조회수 : 6,960
작성일 : 2011-12-10 18:30:04

지금까지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쳐 이르는 말로 알고 있었거든요.

'한 술 뜨다' 할 때 술에 젓가락을 의미하는 저가 합쳐진 말이라고 생각했고

식당에서 "여기 수저랑 저분(젓가락) 좀 주세요"라고 말하는 사람 보면 겉으로 말은 안 했지만

속으로는  지적해주고 싶어서 몸부림을 치곤 했는데요 ㅎㅎㅎ

사전을 찾아보니 수저의  제 2 의미에 숟가락이라는 뜻도 있네요. 숟가락의  높임말이라네요.

사전에 그리 나오니 맞는 말이겠지만 어쩐지 너무 어색해요.

실제로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친 의미에 더해 숟가락 하나의 의미 만으로 사용하는 게 자연스러운 건가요?

저만 모르고 있었나봐요.

괜히 수저는 숟가락이랑 젓가락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야 라고 잘난 척 했다가 큰 망신 당할 뻔 했네요.

IP : 221.155.xxx.8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1.12.10 6:56 PM (125.187.xxx.175)

    수저 = 숟가락+젓가락 으로 배웠는데
    그냥 숟가락 하나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는 분들도 많았어요.
    혹시 그렇게 쓰는 사람이 많다보니 표준어가 된 걸까요?

  • 2. 한국어
    '11.12.10 7:28 PM (221.155.xxx.88)

    그러니까
    수저의 뜻은

    1.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친 말
    2. 숟가락의 높임말

    이라고 사전에 나와 있네요.
    '저는' 님 댓글처럼 사람이 많이 쓰다보니 표준어가 된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잠시 해봤습니다.

  • 3. 저도
    '11.12.10 7:30 PM (119.207.xxx.9)

    원글님하고 완전 같네요. 그렇게 알고 있는거와 그런상황들을 저도 겪고 저도 원글님처럼 속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 4. 저도
    '11.12.10 8:08 PM (14.52.xxx.59)

    2번 경우는 통념이 만들어낸 다른 의미가 아닐까 싶어요
    사람들이 많이 쓰면 그게 먹히는게 표준어거든요 ㅎ
    우리나라 음식에서 숟가락만 갖고 상을 차리지는 않으니 그냥 묶어서 그렇게도 쓰나보죠
    죽을 차려도 젓가락이 오르잖아요

  • 5. 토닥토닥
    '11.12.10 9:01 PM (121.134.xxx.135)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한말이고 숟가락을 높일때만 쓰는말이지요
    그러니 자신의 숟가락을 달라고 수저와 젓가락 달라고 하는건 맞지 않고 둘다 없다면 그냥 수저 달라고 하면 되지요 아니면 숟가락 달라고해야 할것 같아요
    어른의 숟가락을 말할때 수저라 해야 옳을 듯 합니다

  • 6. 아이고..
    '11.12.10 9:26 PM (222.121.xxx.183)

    숟가락님도 높임말을 해드려야 하는 드러븐 세상.. 수저님..ㅋㅋ
    저도 숟가락+젓가락인줄 알았네요..
    이제 우리집 수저님께도 경의를..

  • 7. 숟가락이 젓가락 보다 먼저 생겼어요
    '11.12.11 2:37 AM (61.47.xxx.182)

    수저는 순우리말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뜻하는 한자어 시저(숟가락 시, 젓가락 저)와는 발음상 닮아 있을 뿐, 별개의 말입니다.
    수저란 말은, 젓가락이라는 물건이 발명되기 전부터 사용되어 왔었고..
    숟가락과 젓가락 역시, 순우리말이며...
    숟가락을 높인 말로 수저가 있긴 하지만, 젓가락을 높여 부르는 말은 없어요.

    이러한 정보들을 조합해 유추해 보자면??
    수저라는 건, 음식물을 떠먹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의 이름으로...
    후에 젓가락이 생겼어도, 그걸 따로.. 별개로 구분해 높여 부를 필요를 못 느꼈기에,
    (그러니까... 어른에게 수저라는 말을 사용할 때, 굳이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해 사용할 필요가 없었기에...
    예를 들자면... 한수저 뜨세요..라던가, 먼저 수저 드시지요.라던가..등의 말을 하는 상황에서,
    굳이 숟가락과 젓가락을 나눠 따로 칭해 일컬을 필요가 없었기에)
    수저가 숟가락을 높여 부르는 말임과 동시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쳐 부르는 말로 정착된 게 아닐까요?


    또... 원글님이 지적한 '수저와 저분(젓가락) 좀 주세요'라고 말하는 건 잘못된 거 맞아요.

    수저를 숟가락 단품의 의미로 사용한다 해도, 수저란 말이 높임말이기 때문에...
    평말인 젓가락을 함께 거론하는 건 잘못된 어법이 되는거죠.
    그럴 땐...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쳐 수저 좀 주세요..라고 말하는 게 맞습니다.
    또... 젓가락을 높여 부르는 말이 따로 있다 해도,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높이는 한국어의 높임말 예법상, 본인의 필요를 높여 부르며 요구하는 것도 잘못 되었고요.
    숟가락(수분)과 젓가락(저분) 좀 주세요, 혹은 수저 좀 주세요..라고 해야 옳습니다.




    그리고 윗님... ㅋㅋㅋ
    숟가락을 높여 수저라 부르는 건, 숟가락이라는 물체 자체를 높이는 게 아닌데요.. ^^;;;
    어른의 나이를 들어 춘추라 하고, 임금의 밥상을 수라라 부르듯...
    높임의 대상은 숟가락을 취하는 어른에 있지, 숟가락 자체에 있지 않아요.
    그러니... 숟가락님도 높임말을 해드려야 하는 드러븐 세상..이라며 한탄 않으셔도 됩니다.
    ㅋㅋㅋㅋㅋ

  • 8. 와~
    '11.12.21 6:01 PM (183.101.xxx.104)

    윗님 덕분에 많이 배워갑니다.
    이제껏 남편에게 지적해왔던 말이었는데 제가 모르고 있었던 내용도 많네요.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426 중 1 기말고사끝나는날 과외수업 시켜야 할까요,,,? 8 ... 2011/12/11 1,625
47425 근데 은근히 아기(baby)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네요 ?.. 26 세레나데 2011/12/11 3,463
47424 이 가격에 이 점퍼 적당한지 좀 봐주세요~ 7 괜찮나? 2011/12/11 1,488
47423 시험때 미역국 끓이면 안되겠죠..? 13 먹고파 2011/12/11 2,720
47422 대학자퇴.. 5 은행나무 2011/12/11 2,040
47421 예비고1 어떤식으로 공부 할까요? 4 .... 2011/12/11 1,618
47420 돌 잔치 유감. 12 돌 잔치 에.. 2011/12/11 3,372
47419 천일의 약속에서 이미숙과 김해숙 중 어느 쪽에 몰입되세요? 34 어느쪽 2011/12/11 4,313
47418 도미노피자 50% 할인쿠폰 주실분 계신가요? 5 혹시요 2011/12/11 1,390
47417 붕어빵 1000원에 5개씩 팔아도 남을까요? 5 ... 2011/12/11 2,392
47416 인순이씨 딸 스탠포드 합격했다네요.. 40 우와 2011/12/11 15,840
47415 (급질문)핫케잌가루나 호떡믹스로 와플만들수 있나요 8 와플믹스가 .. 2011/12/11 2,415
47414 형제간 땅문제. 9 유산배분 2011/12/11 2,145
47413 수학적이해와 깊이를 위해 뭘 풀리면 좋을까요? 초4예요 3 멀리보자 2011/12/11 1,681
47412 자살을 생각하며 걸리는 것 30 이제 그만 .. 2011/12/11 10,740
47411 회사 그만뒀는데 저 잘 결정한거죠? 3 좋은 말씀주.. 2011/12/11 1,614
47410 뿌리깊은 나무 그렇게 재미 12 있나요? 2011/12/11 2,353
47409 뿌나 재방 지금 보는데.. 왜 중전은 안나와요? 10 뿌나 2011/12/11 2,695
47408 레몬을 짜고~ 그거 요즘광고하는거 맛있나요? 5 아웃백 2011/12/11 1,794
47407 갤럭시탭을 초등 아이 선물로 주려 하는데요 12 서약서 2011/12/11 2,235
47406 보드게임 카탄과 카르카손중에 4 생일선물 2011/12/11 1,406
47405 고현정 나온 대물,재미있을까요? 3 드라마 2011/12/11 1,329
47404 수학과외를 해도 성적이 제자리인 경우 11 고민 2011/12/11 3,249
47403 중1 기말고사 시험안보면 어케되나요 7 쪙녕 2011/12/11 3,701
47402 17년 된 중앙난방 1층 아파트 8 .. 2011/12/11 4,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