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 쑥빵아 글 "한국적 민주주의" 패스 하세요.

.. 조회수 : 1,107
작성일 : 2011-12-06 17:15:17
오늘 난리 났군요..
15 class="tblbbs" style="margin-top: 5px;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min-width: 740px; width: 740px; margin-bottom: 50px; ">

한국적 민주주의란?

一. 개인적 자유민주주의보다 공동체적 자유민주주의가 우선되어야하고

一. 경우에 따라 몸에 맞는 옷이 아니고 옷에 몸을 맞추는 민주주의

一. 공부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장래를 위해 매를 들고라도 가르쳐야하는 민주주의 등이었다.

 

●공동체적 민주주의

이것은 행동으로 옮긴 것이 새마을 운동이고, 새마을 핵심은 “근면,자조,협동”이다

“부지런하고, 스스로 일어서야하고, 서로 힘을 합해야 한다.” 이것은 대한민국 헌법어디에도 없는 불문법(不文法)이다. 70년대 경제성장의 주역들은 법에도 없는 이것을 신앙처럼 여겼고, 개인적 자유보다 공동체적 자유를 우선했다.

공동체 민주주의를 이해 못한 YS의 문민정부 이후 정권들은 이것을 군사문화 또는 독재정권문화라고 폄하했다. 이것은 인간자체가 개체동물이 아닌 집단성 동물임을 망각한 것이고, 조직생활을 해보지 못한 병역미필자 대통령들은 지금도 공동체적 민주주의 저변확대가 국민들의 상대적 빈곤과 이에 따른 불만 해소의 지름길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넘쳐흐르는 개인 민주주의가 진짜 민주주의가 충만 된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옷에 몸을 맞추는 정책도 있다

73년 3월 청와대를 방문한 국회의원들에게 “우리경제가 이제 북한을 추월했다 경부고속도로 덕분으로 수출물량수송도 원활하고 새마을운동도 제대로 시동이 걸렸다. 쾌도난마식의 성장이 있을 뿐이다. 이럼에도 반공법과 국가보안법을 강화 하는것을 유비무환의 일환이다. 여러분들 보기에 2종의 법령 강화가 영락없이 아이에게 어른 옷을 입힌 것으로 보일 것이다. 아이가 얼른 자라서 이 옷이 몸에 맞도록 하는 것도 여러분의 역할이다. 이것이 바로 한국적인 민주주의다”라는 내용의 말씀을 전해 듣고 필자는「한국적인 민주주의라면 한국의 농지현실에 맞는 한국적인 농기계 정책을 만들 필요가 있다.」라고 생각했다.

얼마 후 식목일날 오후 어른과의 면담에서 “각하, 우리나라 논, 밭떼기의 평균 면적이 150평이 되지 않으므로 여기에 알맞은 한국적인 농기계정책이 필요합니다.” 라는 아부성 건의를 하였고, 어른께서는 아무 말씀 없이 웃으시기만 하였다. 각하의 사돈되시는 「한국슬레이트」의 김인득 회장님을 설득하여 일본 이세키농기계로부터 경운기보다 약간 큰 소형 트렉터인「耕二17마력」과 「耕太19마력」을 시험용으로 100대를 도입하여 전국농가에 골고루 공급하였다. 이것의 결과 한국 농지현실에 알맞기는 한데 고장이 잘나고 능률은 별로였다. 새마을 특별보좌관께서 거꾸로 현실과 반대되는 대형 트렉터를 시험공급해 보라는 자문을 해 주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다락논밭이 많은 지리산자락의 경남 합천군 야로면과 추풍령인근의 충북영동군 황간면 일대의 새마을 부락에 「포드-3000」대형 트렉터(요즘에는 중형으로 평가한다)를 공급해 주었다. 새마을 지도자들은 필자에게 “당신 미쳤느냐. 이렇게 큰 트렉터가 들어가서 작업할 논.밭떼기가 어디 있다고 이것을 가져 왔느냐 김제평야에나 가져다주어라” 고 욕설을 퍼부었다. 내년에 올 테니 필요가 없으면 그때 돌려달라고만 하고 돌아왔다. 10개월 후 그곳에 다시 가보니 오히려 몇 대를 더 달라고 하였다.

이유는 농한기 내내 대형 트렉터가 작업할 수 있게 논.밭두렁을 없애고 합배미를 한결과 소형보다 훨씬 능률적이고 경제적이라면서 필자를 보고 겸연쩍어 하였다.

이 내용을 보고 받으신 어른께서는 몸에 옷을 맞추는 것이 정도(正道)이나 우리의 경우는 옷에 몸을 맞추는 정책이 더 필요하다라는 말씀을 하시면서 “우리어머니는 어릴 때 추석명절에 소매를 두 번이나 접어야 내 몸에 맞는 큰옷을 사왔고 고무신도 너무 커서 벗겨지기 일쑤였다. 옷과 고무신이 해어질 때쯤에 내 몸에 꼭 맞았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나에게는 불편한 것이 있었지만 그 시절에는 어머니의 판단이 현명했던 것 같다.” 라는 말씀도 하였다고 했다.

 

●공부는 매를 들고라도 가르쳐야 한다.

공부 좋아 하는 학생은 세상어디에도 없다. 말을 듣지 않으면 매를 들고 억지로라도 가르쳐야 한다. 놀고 싶어 한다고 자식들 주장을 다 들어 주면 언제 사람 되겠느냐 훗날 삐뚤어진 자식이 부모에게 매를 들고 가르치지 않았다고 부모를 원망한다.

국민도 마찬가지다 우둔한 국민이 있으면 억지로 라도 가르쳐야한다. 이러한 어른의 논리에 따라 “국민교육헌장”이 생겼고, 국기 하강식과 영화관의 애국가재창이 생겼다. 애국심의 발로인 이것을 YS의 문민정부와 DJ의 국민의 정부, 노무현의 참여정부는 군사독재문화, 자유민주주의 탄압이라고 폄하했고 오히려 인권의 빙하지대 같은 족보를 없애고 김일성 주체사상만 달달 외게 하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북한 체제를 경원하는 양상을 보여 왔다.

이것의 결과 지금 이 시간 국권을 문란하는 좌빨진보가 세상을 좌지우지 있다.

자신의 지역구만 보장된다면 김정일과 손을 잡을 수 있다는 정치인도 나타나는 기막힌 세상이다. 이들을 청소할 빗자루는 어디에 있는가? 

IP : 211.196.xxx.189
IP : 112.184.xxx.5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989 닥치고정치 중딩아들사줘도 괜찮을까요?? 3 아준맘 2011/12/13 1,314
    47988 이럴때 살짝 기분 나빠요-전화관련 4 전화 2011/12/13 1,526
    47987 82회원님들께 하고 싶은 말이 있어요. 3 한소리 2011/12/13 1,081
    47986 '개콘'보다 더 웃긴 2011년 망언 베스트5- (진짜시선주의要.. 2 단풍별 2011/12/13 1,120
    47985 잘하는 세탁소좀 추천해주세요. ........ 2011/12/13 886
    47984 성대공대와 한양대 공대 비교 16 고3맘 2011/12/13 6,190
    47983 12월 13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1/12/13 873
    47982 뒤늦게 봐서 궁금한거..이강훈 엄마.. 7 브레인 2011/12/13 1,777
    47981 오늘이 남편 생일인데 잊어버렸네요. 3 평온 2011/12/13 961
    47980 '깔때기' 정봉주 빈자리, 김용민이 채웠다.. 1 ^^별 2011/12/13 1,542
    47979 트위터 질문요 2 .. 2011/12/13 599
    47978 두 아이 잠버릇때문에 미칠것 같아요.. 11 아기엄마.... 2011/12/13 2,360
    47977 동태살로 뭐해먹어야하죠? 3 ........ 2011/12/13 771
    47976 대형마트에서 주는 이벤트영수증요... 5 급 궁금하네.. 2011/12/13 988
    47975 국익 팽개친 '무능 외통부', 미국에 뺨 맞았다 1 ^^별 2011/12/13 1,031
    47974 무심한 듯 시크한... 8 내가 본 2011/12/13 2,143
    47973 점 빼려는데요.. 1 체리맘 2011/12/13 795
    47972 어린이집 선생님 선물 ^^ 2011/12/13 583
    47971 골드 바 하나에 얼마정도 할까요? 3 ... 2011/12/13 1,551
    47970 편한 바지 사고 싶어요 1 아기엄마 2011/12/13 824
    47969 sbs좋은아침에 심은하남편나오네요 14 ㄹㄹㄹ 2011/12/13 3,805
    47968 궁금) 님들이라면 어찌하실껀지요 2 밝은태양 2011/12/13 781
    47967 친정 엄마 모시고 부산 여행 조언 부탁드려요. 8 최고의순간 2011/12/13 1,371
    47966 공지영등, ‘도가니’ 인화학교 졸업생들 창업에 도움 3 참맛 2011/12/13 819
    47965 담임선생님 면담하려합니다 학부모 2011/12/13 2,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