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칼 버리는 방법

어떻게? 조회수 : 18,309
작성일 : 2011-11-21 12:01:45

지금 인터넷 상위권에 올라있어서 읽고 웃다가 생각났어요.

제 직장 동료도 하루는 진지하게 물어보더군요.

집에 오래된 칼이 있는데 어떻게 버려야 하느냐?

그냥 버리면 위험할 것 같고. 어른들 말씀이 칼은 함부로 버리는 거 아니라고도 하시고.

제 대답이 잃어 버리면 되겠다했더니 그거 명답이다하고 서로 웃었던 기억이 납니다.

결혼생활이 20년 돼가면서 저희 집에도 헌 칼들이 생겨나네요.

저희는 주말농장에 가져다 놓고 거기서 쓰다 버리면 되긴 하는데요.

다들 어떻게 버리시나요?

IP : 203.238.xxx.2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1.11.21 12:05 PM (211.230.xxx.149)

    호일로 칼자루는 제외하고 날부분만 몇겹 싸서 재활용품 도기그릇이나 후라이팬 버리는 한켠에
    얌전히? 두고 왔는데 정말 어떻게 버리는 것이 정답일까요?

  • 2. 분리수거
    '11.11.21 12:06 PM (118.46.xxx.133) - 삭제된댓글

    철이나 쇠버리는 분리수거로 버리면 되지 않나요

  • 3. 그러게요. 칼과 유리는 별도 수거함이 있었음 좋겠어요
    '11.11.21 12:06 PM (211.234.xxx.53)

    형광등 같은 경우는, 오염물질 때문에, 동사무소에 별도의 수거함이 있다는 걸 알지만...
    일반 유리와 칼 등. 위험한 쓰레기도.. 따로 수거함이 마련되었으면 싶어요.

    제 경우... 유리 같은 건, 신문지로 최대한 두껍게 돌돌 말아,
    쓰레기 봉지 가운데에 오도록 두어 버립니다.
    칼은... 아직 안버려 봐서 모르겠네요.
    커터칼날은 따로 모아 캔(알루미늄캔 말고)에 담아 함께 버리고요.

  • 4.
    '11.11.21 12:11 PM (120.142.xxx.230)

    식도 같은 건 버려본 적 없지만,

    칼날이나 날카로운 건 녹색 면테이프 칭칭 감아서 버려요^^

  • 5. ...아니 아니
    '11.11.21 12:21 PM (61.102.xxx.82)

    그것뿐 아니라 깨진 유리그릇도 ...사실 조심히 버려야 하죠.

  • 6. 둘둘
    '11.11.21 1:04 PM (58.121.xxx.12)

    청테이프로 두껍게 둘둘 싸고 신문지로 또싸서 50리터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 가득채워 가운데 쑤셔넣어
    버리는게 가장 안전할것 같아요.. 깨진유리그릇도 그렇게...

  • 7. ...
    '11.11.21 2:09 PM (180.69.xxx.163)

    이런 질문도 올라오네요...ㅋ
    저도 어떻게 버릴지 몰라 칼자루가 부러진 식칼을 계속 가지고 있어서 같은 고민인데...
    사실 저 좋은 재활용품을 쓰레기주머니에 넣긴 아깝고...
    식칼을 대문앞에 보이게 꺼내놓아 폐지 줍는 분들이 주워갈 수 있게 할까? 하고 생각도 해보지만
    위험하겠다 싶어요. 맨날 째려보고만 있는 중이어요~

  • 8.
    '11.11.21 4:50 PM (203.238.xxx.22)

    칼은 정말 잘 버려야 할 것 같아요.
    잘못 버리면 흉기가 되어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이지요.
    제가 외국에서 칼과 방패, 갑옷 박물관에 가본 적이 있는데요.
    칼은 참 이상하게도 생명이 깃든 물건이더라구요.
    뭔가 신성한 그런 면이 있어요.
    일본도와 독일칼이 제일 인상적이었는데요,
    어찌나 선명한 인상을 남기던지 20년이 지난 지금도 뇌리에 콱 박혀있습니다.
    괜히 식도명품들이 나오는 나라가 아니더라구요.
    칼이 운다는 말이 맞는 느낌...
    하여간 제가 살림 산 이후로 아직 칼을 못버려본 일인입니다.
    이상하게 잃어버린 건 좀 되네요.
    그리고 저희 아파트는 깨진 유리와 도자기도 다 따로 버리게 돼 있습니다.
    이게 젤 안전한 방법인듯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578 은행가니까 그린카드 만들어라고 해서요. 2 혹시만드신분.. 2011/11/23 1,114
39577 아기 안고 혼자 백화점 가면 뻘쭘할까요? 11 ㅋㅋ 2011/11/23 2,194
39576 나꼼수 대한문 앞에서 공연 하는거 맞나요? 2 오늘 2011/11/23 937
39575 [오유펌]김어준 총수의 예언 적중 35 !!!!! 2011/11/23 10,074
39574 날치기 의원들 면상 공개합니다 5 2011/11/23 1,001
39573 탁현민교수가 만든 FTA 매국송이라네요. 6 ... 2011/11/23 946
39572 죄송한데 몰라서 여쭤봐요... 10 ... 2011/11/23 1,554
39571 영어 해석좀 부탁드려요. 3 영엉 해석 2011/11/23 799
39570 나꼼수에서 울컥했던 부분 16 아프다 2011/11/23 2,583
39569 폐암에는 뭐가 도움될까요? 5 허무하네요... 2011/11/23 2,249
39568 한겨레에서 정봉주psi코너 없애고.... 5 음.. 2011/11/23 1,921
39567 천일의 사랑을 보며 이해 할수 없는것.. 5 드라마 2011/11/23 2,590
39566 뭘좀 사러 가야하는데...은마상가랑 미도상가랑 많이 머나요? 2 대치동 2011/11/23 1,600
39565 동네에 한미 FTA 전단지 붙이고 왔어요. 27 칼바람 2011/11/23 1,527
39564 고층 북서,북동향 많이 어둡나요? 3 고민.. 2011/11/23 7,168
39563 난감난감하네요;;ㅜㅜ 정말정말 2011/11/23 614
39562 서민의 삶을 나락으로 떨어지게하고 가카는 임기끝나면 평온하게.. 1 .... 2011/11/23 598
39561 드라마로 읽는 세상흐름 1 유채꽃 2011/11/23 714
39560 샐러드에 어떤것들을 넣으세요? 2 미안합니다 2011/11/23 1,333
39559 남북이 통일하여 새로운 국가를 세우는게 가장 훌륭한 방법이겠지요.. 2 한미FTA반.. 2011/11/23 560
39558 FTA 직격탄 맞는 경북 2026년 생산감소액 4천억 넘을듯 14 경북어쩔! 2011/11/23 1,279
39557 이 대통령 “FTA 제기 된 문제 철저히 검토” 11 세우실 2011/11/23 947
39556 일본은 미국과 fta 체결되어 있나요? 2 2011/11/23 1,196
39555 영작 한 문장만 맞는지 봐주세요. 영어 고수님들.. 3 dd 2011/11/23 491
39554 흰색 싱크대상판 깨끗하게 유지하는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7 아줌마 2011/11/23 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