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점점 모계사회로 간다는데요.

아들 둘 맘 조회수 : 2,643
작성일 : 2011-11-01 13:09:30

이런 추세가 점점 심해진다고 매스컴에서도 그러더군요.

근데 스무살이 훨씬 넘은 아들 둘 있는 직딩맘으로서

친정부모가 아이 키워주셔서 이십년이 넘게  잘 다녔고 자립할 수있었어요.

퇴임하면 여행 다니거나 취미생활하지 손주 돌보진 않겠다는 동료들이 태반이예요. 

그러나 제 생각은요....

아들에게 공부 잘 시켜 직장 갖게 했으니 물려 줄 유산은 없다만

맞벌이하면 아이는 키워주는게 의무로 생각 할란다예요.

근데 며느리가 친정에 아이를 맡기면 어쩔수 없이 모계사회화 되는거네요.

이런 상부상조 관계가 아닌 그냥 친숙해서 모계화 된다면

아들만 갖은 나는 너무 슬퍼요.

IP : 14.40.xxx.65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1.11.1 1:12 PM (211.237.xxx.51)

    모계사회 슬퍼하는 원글님도 아드님들을 친정부모님이 키워주셨잖아요.
    이미 원글님도 모계사회가 되는데 일조를 하신듯...
    그런데 원글님네 친정부모님은 좋아하셨나요? 짐만 얹어드린셈이죠..
    모계고 부계고.. 걍 각자 알아서 잘 사는 시대가 올겁니다..
    저는 다 큰 딸 하나 맘입니다.

  • 아들 둘 맘
    '11.11.1 1:52 PM (14.40.xxx.65)

    그러게요.
    저도 친정이랑 더 친해요.
    근데 손자 키워 줄테니 나랑 친하자 응... 미래의 며늘아....

  • 2. ..
    '11.11.1 1:16 PM (180.224.xxx.55)

    잘모르겠는데 집집마다 다른거죠.. 옛날에 사랑이뭐길래 에서처럼.. 대발이아빠같은 가정도 있는거구요..

  • 3. ㄹㄹㄹ
    '11.11.1 1:33 PM (115.143.xxx.59)

    아들 하나인저도 슬플것만 같은데..원글님은 둘이니..더 슬프시겠죠..
    그치만 어쩌겠어요...세상 돌아가는게 그런걸..
    맘을 비워야죠..

  • 4. 설탕폭탄
    '11.11.1 1:37 PM (59.15.xxx.202) - 삭제된댓글

    윗님말씀이 맞아요.
    일본이 독신율이 그렇게 높잖아요.
    인구의 반이 결혼을 안한대요. 20-30대

  • 5. 올레
    '11.11.1 1:38 PM (155.230.xxx.254)

    저도 아들만 둘인데 올레에요 모계사회...;;;;;
    저는 베이비시터를 주중에 쓰고, 주말에는 친정부모님께서 도와주시거든요.
    오셔서 고생 ㅠ_ㅠ 하시는거 보면 (물론 손주들은 이뻐하시지만) 적당히 간격두고 제 생활 즐기면서 노후를 보내고싶단 생각이 들어요. 엄마 미안해. ㅠ_ㅠ

  • 6. //
    '11.11.1 1:41 PM (121.186.xxx.175)

    남편하고 잘 지내는게 제일인것 같아요
    어차피 아이들은 다 짝 만나면
    둘이 잘 사는게 제일 복이구요
    나도 내 남편이랑 짝짝꿍 잘 맞아서 같이 놀러다니면 되지요

  • 7. 키워주지 마세요.
    '11.11.1 1:54 PM (218.239.xxx.170)

    키워 주고 나서 힘 떨어졌을 때 팽 당하면 더 서러워요.
    며느리들이 99가지 잘하다가 1가지 잘못하면 욕 먹는 게 시집이라고 그러잖아요.
    역으로 시어머니도 그렇거든요.
    원래 아이 키워 주는 게 잘해야 본전이라고 하지만 시어머니가 키워 주는 건 본전이면 로또예요.
    고마운 건 잠깐이고 서운한 게 책으로 열두권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원글님이 나름 공정하게 해도 어쩔 수 없이 드러나는 아들에 대한 애정 혹은 가치관이나 문화충돌, 육아갈등...
    그게 빼도박도 못하고 아이때문에 묶여 있을 땐 수면아래에서 잠잠하지만 점점 고마운 걸 희석시키는 걸로 모자라 본인이 시어머니에게 맘을 줄 수 없는 이유 101가지가 되어서 오히려 원글님 노후를 위협할 수도 있어요.
    물론 아이 키워준 공 알아주는 며느리가 없다는 건 아니예요.
    그런데 시부모 애로사항도 짐작해줄 수 있는 기본 품이 넓은 사람이라면 아이 안 키워줘도 아이의 핏줄 반쪽을 경시하고 밀어내진 않겠죠.
    그냥 한 여성으로 인간으로 존중해주시고 있는 그대로 받아 들여 주세요.
    너무 헌신하지도 말고 길들이려 하지도 말고 나무처럼 항상 그 자리에 계시면서 언젠가 그 그늘 고마운 걸 알아줄 품성이길 바라는 수 밖에..

  • 8. 딸둘맘
    '11.11.1 1:55 PM (220.118.xxx.142)

    이거 좋은것만은 아니네요. 전 절대 아이봐주는거 정말 기가 빠져서 불가랍니다.
    절대 좋은거 아니고 서운해할 일도 아니라는....내몸 아프다하면 한두번이지
    나중에는 귀찮아해요.

  • 9. 음.
    '11.11.1 2:17 PM (118.137.xxx.150)

    기대가 있으면 반드시 따라오는 게 실망이예요.
    요즘 제 친구들이나 후배들은 친정엄마-베이비 시터-보육시설-시어머니 순으로 생각하거든요.
    더 많은 경우는 일단 애는 내가 키우고 본다, 라는 생각을 하고요.
    복지가 확산될 수록, 육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육아 휴직 및 믿을 수 있는 보육시설) 되잖아요.
    주변에 보면 유독 시어머니와의 육아마찰이 크기도 하고요.
    기분 나쁘시겠지만,
    시어머니쪽에서 육아를 빌미로 친정보다 더 시댁으로 기울기 바라는 마음, 그 자체도 조금은 문제가 있고요.
    며느리한테 기대하지 마세요. 이게 나쁜 거라는 건 아닌데 마음을 아들쪽으로 돌려보세요.
    아들하고 친하고, 어떤 정서적인 지지나 감정적 배려를 아들과 남편에게 기대해 보세요.
    그럼 마음 상할 일 별로 없으실텐데요.

  • 10. ??
    '11.11.1 2:33 PM (211.46.xxx.253)

    이건 정말 집집마다 다른 경우지만요.
    이건 부모와 아들의 정서적 친밀감에 달린 거 아닌가요?
    아들이 부모를 애틋하게 생각하고 자주 연락하면 해결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결혼하고 아들과 멀어진다면 무뚝뚝하고 부모에게 관심없는 아들을 탓해야지
    왜 며느리에게 그런 친밀함을 바라시는지...

  • 11. ..
    '11.11.1 2:35 PM (211.224.xxx.216)

    벌써 되지 않았어요? 저번 뉴스에 고등학생 대상으로 친척중 누가 제일 가깝다고 생각하나에 1.이모 2.외삼촌 3. 고모나 친삼촌 이라는 결과가 나왔다며 우리사회가 모계중심사회가 되어가고 있다고
    주위를 봐도 친정부모 모시고 아니면 친청식구 위주로 사는 사람들 많아요

  • 12. 전 딸둘맘
    '11.11.1 2:42 PM (182.4.xxx.245)

    이지만 애 봐줄 마음 없어요. 시댁에 맡기는 것도 반대구요. 키울 형편 안 되면 될 때까지 애 미루라고 할 거예요.
    저와 제 남편은 애 키우면서 지고의 행복을 맛 보았다고 생각하고 힘든 과정 거치면서 부부 간에도 부모 자식간에도 더 많이 친해 졌다 생각 하거든요. 저희 아이들이 이걸 놓치는 걸 원하지 않아요.
    그리고 제 주변엔 이런 생각 가진 엄마들 제법 많아요.
    전 육아를 시댁 친정 어디에도 도움받지 않았지만 심정적으로 친정과 더 가까워요. 남편은심정적으로 시댁과 더 가깝겠죠. 차이라면... 표현 하느냐 아니냐 정도? 전 제 마음의 표현을 남편에게 부탁하거나 의존하지 않아요. 시댁에 대한 케어에서 완전히 손을 떼거나 했다는게 아니라 자식만이 해 줄수 있는 어떤 영역에 대한 말이예요. 남자들이 그 영역에 대한 책임이나 역할을 아내에게 미루는 한 모계 밀착은 점점 더 심해 질 거예요.
    과거와 달리 여자들의 힘이 커지니 더욱여

  • 13. 나도 딸 둘 애기 봐 줄거예요.
    '11.11.1 3:31 PM (116.36.xxx.12)

    딸이 일한다면 긴 세월은 아니고 한 5년 도우미 쓰면서 짬짬이 봐줄래요.
    그냥 봐주고 싶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033 속보 - 경북농민회에 비준반대 약속 의원 2명! 현재! 5 참맛 2011/11/09 1,602
36032 침대 수명 및 흙침대 1 .. 2011/11/09 2,900
36031 호주 시드니에 몇년 사는 건 어떨까요? 10 궁금이 2011/11/09 2,667
36030 과거 참여연대에서 활동했다는 강용석을 보면서... 5 .. 2011/11/09 1,421
36029 캄보디아와 베트남 가는데요,,, 11 정보좀. 2011/11/09 2,337
36028 김장에 명란젓을 넣어도 될까요 12 아이둘 2011/11/09 2,232
36027 엘지화장품 비욘드 어떤가요? 은행 2011/11/09 2,272
36026 중고책 저렴하지는 않군요... 3 .. 2011/11/09 1,566
36025 절임배추 씻어서 김장하나요? 어디서 사는게 좋은지요? 2 잔디 2011/11/09 2,075
36024 왕따 아이 어쩌면 좋을까요? 11 무서워~ 2011/11/09 3,506
36023 한미FTA절충안에 서명한 민주당 의원들 명단 14 참맛 2011/11/09 1,945
36022 [한미FTA반대] 속보 16:22| 15 ... 2011/11/09 2,647
36021 오빠집을 제가 사는건 어떨까요?? 13 잠시 고민합.. 2011/11/09 3,585
36020 외통위 생중계... 이런게 다 있네요 3 지켜보고있다.. 2011/11/09 1,353
36019 살균청소기 추천해주세요. 살균청소기 2011/11/09 957
36018 중학생이 읽을 한국사 만화책..추천 좀 해주세요 9 만화좋아 2011/11/09 2,506
36017 전자사전 추천해주세요~ 2 teresa.. 2011/11/09 1,162
36016 안젤리나 졸리백 얘기 나와서 말인데요. 안젤리나 졸리요 5 .. 2011/11/09 2,414
36015 우리 아이가 글짓기상을 받아왔는데요 7 따끈따끈 호.. 2011/11/09 1,728
36014 158 에 68킬로면 뚱뚱한거라고 혼내주세요! 28 공주병말기 2011/11/09 6,810
36013 이런이유로 이혼한다는건 욕먹을 짓일까요? 22 이혼 2011/11/09 4,423
36012 조카가 성형외과 상담 좀 해보고 싶어해요~~ 성형외과 2011/11/09 1,097
36011 초등생 잠자는시간 6 취침시간 2011/11/09 1,997
36010 FTA반대 경북전농, 국회의원 사무실 6곳 점거농성 25 한미 fta.. 2011/11/09 1,669
36009 즈~질 몸매를 소유한 남편분들 계시겠죠? ^^; 8 ㅎㅎ 2011/11/09 1,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