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과외선생님 구하실때 고려하면 좋을 점~

고구마 조회수 : 2,435
작성일 : 2011-11-01 12:07:45

1.전공이면 무조건 ok ?

국문학 전공이라고 국어를 잘하고 수학 전공이라고 수학을 잘할까요? 대답은 아니오 입니다.

모 대학 인문학 관련 연구소 근무할때였습니다. 연구소에 일하러 온 국문과 학부생들 중에 참 국어를 못하는 애들이 있지요. 어떻게 국문과를 왔냐고 물어보니..부모님이 가라고 해서 혹은 그나마 문과에서 취직이 잘 될 것 같아서 선생님 하려고 들어온 아이들 꽤 많습니다. 심지어는 이과출신도 있었어요. 국어를 암기과목으로 생각하는 아이들도 많았구요. 하지만 아르바이트로 목동에서 학원 강사하더군요. 수학과도 마찬가지입니다. 수학을 못해도 수학과를 가는 친구들이 있어요.

제일 정확한 것은 선생님의 전공보다 학교 그리고 언어영역, 수리영역의 등급을 물어보는 겁니다. 사실..인서울 학교의 수학과 보다 서울대 철학과 학생이 수학을 더 잘 풀겁니다. 그리고 수학과외라고 해서 이과 선생님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학생이 문과면 문과학생들 중에서 수학을 잘 하는 선생님을 찾으시는게 성적향상에 더 도움이 되지요. 왜냐하면 수리 가 나의 수학범위와 영역은 다릅니다. 푸는 요령이나 필요한 공식도 다르구요, 이과에서 아는 공식으로 풀면 휘리릭 풀리는 문제가 문과에서 아는 공식으로는 꽤 시간이 걸리는 문제도 있거든요. 즉 이과생들이 문과생의 입장에서 문제푸는 법을 가르쳐 줄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점입니다. 특히나 수능은 요령과 전략에 따라서 1등급 정도는 왔다갔다 할 수 있기때문에 더더욱 그러하지요.

2. 무조건 최고로 공부를 잘 한 학생이 좋다?

이건 또 생각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본인이 아는 것과 가르치는 것은 분명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지요. 사실 어떤 설명 없이 딱 보면 아는 애들이 있습니다. 특히 언어영역이 그렇습니다. 워낙 감이 출중한 아이들이 있기때문에 따로 설명 필요없이 그냥 스스슥 1등급을 맞지요. 사실 수학이나 외국어도 그렇습니다. 구문분석 없이 그냥 해석이 되는 애들이 있거든요. 이런 애들은 본인 공부는 잘 할지 모르지만 설명은 못합니다. 공부를 잘 하지만 너무 천재인 학생보다는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던 사람에게 과외를 받는 것이 학생에게는 참 좋습니다.

3. 수시보다는 정시출시 선생님을 찾으세요

수시로 대학을 갔을 경우 아무래도 수능에 좀 소홀하게 되지요. 한 예로 같은 연세대학교 합격생이라고 해도 수시출신과 정시출신의 수능 등급차는 총 합 5-6등급은 날 수 있습니다.

4. 현역생 보다는 재수생이 더 좋습니다.

학원에서 제공하는 정보량은 생각보다..많습니다. 어느 인강이 좋은지, 어떤 선생님 강의가 좋은지, 시험볼때의 요령, 인강을 꼭 들어야 하는 과목과 시기 등등 , ebs 활용은 어떻게 해야하는지..등등 아무래도 현역으로 대학에 들어온 학생들보다는 재수해서 들어온 학생들이 이런 정보를 더 많이 갖고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선생님을 잘 만나는 것은 중요합니다. 저 또한 고등학교를 간신히 들어간 학생이 인서울 대학 꽤 괜찮은 여대에 들어간 것도 봤고, 아무리 해도 이해가 안가던 영어문법을 한 달만에 마스터한 경우도 봤으니까요.심지어는 수리 10등급에서 2등급으로 1년만에 올린 케이스도 봤습니다. 흔한 일은 아니지만, 그만큼 선생님이 중요하다는 말잉지요. 반면..이상한 욕과 음담패설 그리고 안되는 실력을 말과 어설픈 카리스마로 무마시키려는 선생도 있지요. 인강 강의평가를 다 믿지 마시기 바랍니다. 얼마전 조작된 것도 있다는 신문기사도 있었으니까요. 저 또한 다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IP : 122.37.xxx.7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지만
    '11.11.1 12:13 PM (59.6.xxx.65)

    전공자 출신이 훨씬 잘하는 사람도 분명히 있다는것~

    사람마다 다르지요

  • 2. ...
    '11.11.1 12:19 PM (59.9.xxx.175)

    재수생인데 학원 안 다니는 경우라면 4는 성립하지 않구요
    3도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수시라고 해서 마냥 정시 내버려두지도 않고
    과외할 정도 되는 학교면 그 전에 해놓은게 있기 때문에 크게 차이 안 납니다.

  • 3. **
    '11.11.1 12:29 PM (110.35.xxx.94) - 삭제된댓글

    수시랑 정시출신이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겠지만
    수험생이 수시가 어떻게 될 줄 알고 수능공부를 소홀히 할까요?
    수시경쟁률이 1대1도 아니고 수십대1인데...ㅡㅡ;;;;
    그리고 요즘은 수시도 최저등급있는 전형이 더 많아서
    수능공부 소홀히 할 수 없어요

  • 4. ...
    '11.11.1 12:35 PM (218.236.xxx.183)

    요즘은 1등급이 아니라 0.몇프로 아이들도 다 수시 씁니다.
    붙으면 가는거고 아무나 수시에 못가요. 그리 보인다면
    그야말로 대박난 아이들이죠..

  • 5. 내경험
    '11.11.1 1:12 PM (121.168.xxx.134)

    원글님이 어떤 기준으로 말씀하셨는지 잘 모르겠는데,,,잘 푸는것 기준? 개념지도를 잘 해주는것 기준?

    제 과외받아본 경험으로는 학부 1,2학년생은 모르겠지만 대학원생 이상이면 수학 전공한 선생님이
    서울대치대,연대공대(신촌) ,스카이급대학 수학과 학부 1,2학년 선생님보다 훨씬 잘 가르치던데요.

    치대선생님, 공대선생님,,,다 문제보고 이렇게,이렇게 푸느거야 아니면 이문장 나오면 이 공식에 넣어 식으로 수업하셔서 저는 너무 싫었거든요. 외우는것 딱 질색하는 스타일이라..

    설대 수학과, 모여대(여대중 최상으로 치는 여대 아니었음에도) 수학과 대학원생 선생님들,,
    문제를 읽으면 왜 이런식으로 발상을 하게되는지 위주로 가르쳐주니까...
    나중에는 선생님은 수업시간에 한,두문제나 풀어주시나
    저혼자서 대부분 풀고,
    혼자 낯선 문제를 봐도 풀이법이 떠오르면서 풀게되니 신기하고 재미있어서 또 풀고,,,

    하여간 제 과외경험으로는 전공자(대학원생이상)와 비전공자 차이 나던데요.

  • 참,
    '11.11.1 1:15 PM (121.168.xxx.134)

    설대 치의예과 선생님은 4수인가 하셨다고 하더라고요. 한때 치대가 의대가 인기있던 시절에 치대들어간 선생님이셨거든요.
    그런데,,,푸는것은 정말 잘 푸는데, 제게 개념잡아주면서 저의 힘으로 푸는 능력을 길러주시는데는 영...

  • 6. ..
    '11.11.1 1:17 PM (59.9.xxx.175)

    여튼 저도 과외 많이 받았고 저도 가르쳐봤지만 동감이 안 가는 글이네요.
    어떤 입장에서 쓰신 글인지는 모르겠지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719 노짱님은 간지나는 2억원짜리 스위스산 피아제 명품 시계를 좋아하.. 5 UnZI왕로.. 2011/11/08 1,550
35718 아이패드 쓰시는 분들, 가계부 뭐 쓰시나요? 1 ... 2011/11/08 1,497
35717 가카헌정달력세트 27 괜찮은지름신.. 2011/11/08 2,382
35716 다행이다 정말.. 우리 동네 아주머니들은 민주화 당하지 않으셔서.. UnZI왕로.. 2011/11/08 883
35715 [원전]후쿠시마 재해 파견된 오사카의 구조 대원 신부전으로 사망.. 4 참맛 2011/11/08 1,803
35714 파주 운정3동에 수영센터 있어요? 1 오희경 2011/11/08 1,190
35713 알바. 자유의 IQ 3 광팔아 2011/11/08 991
35712 시사인 찌라시 주씨놈이 감히 박정희 대통령 각하께 개소리 하는것.. 1 UnZI왕로.. 2011/11/08 1,069
35711 전세기간 만료3달이 자나고 3 집주인 2011/11/08 1,609
35710 오늘 아주 신났네요. 5 알바들 2011/11/08 1,091
35709 여기 고정닉들과 수준이 비슷한 UnZi왕.. 어떻게 처리될지?.. 1 자유 2011/11/08 838
35708 전두환 장군님께서 눈 딱 감으시고 한달만 정권을 잡아주셨으면 좋.. 2 UnZI왕로.. 2011/11/08 981
35707 디스크라는데요 ... 1 해라쥬 2011/11/08 986
35706 알바좀비...발광하게 냅두고...무시하셈.. 3 ㅎㅎㅎㅎ 2011/11/08 865
35705 골프장 매너에 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비용문제) 7 싱고니움 2011/11/08 2,304
35704 민주당사 홈페이지에 글 남겨주세요 10 내가미쳐!!.. 2011/11/08 1,287
35703 아줌마들 함부로 좌빨질 하다가 내눈앞에 띄지마라 보이기만 하면 .. 1 UnZI왕로.. 2011/11/08 1,182
35702 일본 원전사고 이후 1 ... 2011/11/08 1,366
35701 FTA는 병원비와 아무상관도 없는데 왜 끝없이 거짓말을 할까? 1 자유 2011/11/08 1,008
35700 신묘22적 6 ㅠㅠ 2011/11/08 1,441
35699 민주당 이 답답한 인간들아...... 7 분당 아줌마.. 2011/11/08 1,781
35698 박원순 “샌드위치데이에 휴가 가라…놀 땐 놀아야” 9 베리떼 2011/11/08 2,702
35697 아무 이유없이 남편만 보면 짜증이 나요 6 .. 2011/11/08 3,072
35696 신문 어디꺼 보세요? 5 초등저학년 2011/11/08 1,219
35695 전라도 인들. 당신네들 쪽팔리지두 않아요? 창피한줄 아쇼 좀! UnZI왕로.. 2011/11/08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