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미 FTA 독소조항 중 하나 국가제소권 [펌]

한걸 조회수 : 1,549
작성일 : 2011-10-29 13:55:45

FTA 12가지 독소조항 중 ISD가 뭔지 모르는 이도 많을 것이다! [448]

참국민 (sbu***)

FTA 12가지 독소조항 중 하나인 ISD가 뭔지 모르는 이도 많을 것이다!

 

ISD는투자자 - 국가제소권 (ISD) 

한국에 투자한 미쿡자본이나 기업이 한국정부를 상대로 국제 민간기구에 제소할 수 있게 하는 조항이다.

투자자본이나 기업이 피해를 보았다고 판결나면 한국정부가 현금으로 배상해야 한다.

(이 경우 당연히 한국보다 힘센 미쿡의 투기자본 및 초국적기업이 승리)

 

한마디로 초국적 투기자본이나 기업이 자신의 이윤 확대를 위하여 상대국가의 법과 제도를

무력화 시키는 독소조항이다,

 

< 예 > - 이 제도로 인해 한국에 투자한 미쿡자본이나 기업은 국내에서 재판받을 필요가 없음 
- 오스트리아 등 미쿡과 FTA를 추진하거나 맺은 국가들 대부분은 이 독소조항을 채택하지 않았음 
- 한국과 유럽의 FTA에 협상에서는 이 독소조항을 논의조차 하지 않음 
- 대한민국의 헌법상의 주권 국가의 사법권, 평등권, 사회권이 무너짐
- 한국정부는 부동산 정책을 포함한 공공정책을 사실상 포기하게 됨

 

<<< 한가지 요즘상황을 얘기하자면........,,

안일하게 FTA체결되고 그저 잘 살수있겠지 지레 짐작하는 한가한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자기 먹고살기 바빠서 관심도 없고 짜증스런 반응을 보이는 이조차 있고요.....

 

하지만, 자신이 대한민국 0.01% 내에 속한 최상류층이 아니라면,

자신의 삶과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사활적인 관계가 명백함을 인식해야 할겁니다...

대한민국 0.01%의 부자라고 하더래도...

자신의독과점적인 사업체를 인수합병 당할 가능성이 농후한게 사실입니다...

이부분도 두뇌집단들이 연구해보면 눈에 보일겁니다 !!!  >>>

 

첫째, 투자자는 국가를 제소하지만 그 거꾸로는 불가능합니다.


둘째, 어디서 재판을 하는 게 아니라 투자자측, 국가측, 중재측, 이렇게 국제변호사 세 명이 모여 합의를 봅니다.
그 합의는 현실적으로 투자자측에 유리하게 진행될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투자자는 실질적으로 손해를 본 것이 아니라, "앞으로 무엇무엇을 해야 되는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어떤 제도가 우리를 방해하고 있다, 그것을 풀어달라"는 이유만으로도
상대 국가를 제소할 수 있습니다.

미쿡식 FTA의 투자자-국가 직접 제소제 악용 사례들

1)1997년 민영화된 볼리비아의 상수도를 미쿡 ‘베텔’사가 경영하기 시작하면서 수도요금이 최저임금의 3분의 1 수준으로 올랐다. 그래서 가난한 볼리비아 국민들은 빗물을 받아먹는 기계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런데 황당하게도 베텔은 볼리비아 정부를 압박하여 ‘하늘의 수도꼭지’까지 잠그려 하였고, 이에 항의한 국민들은 거센 데모를 벌였다.
정부는 계엄령까지 내렸으나 시위대가 사망하는 지경에 이르자 결국 2001년 도로 상수도를 공영화했다. 그러나 베텔이 볼리비아 정부를 제소하면서 제2의 사태가 시작된다. 미쿡과 볼리비아는 FTA나 BIT를 맺지 않았는데 어떻게 ISD가 가능했을까?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베텔은 볼리비아와 BIT를 맺은 네덜란드에 ‘껍데기 회사’를 두고 있었고, 네덜란드라는 거점을 통해 ISD를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2)멕시코의 한 지방정부가 환경파괴와 환자급증을 이유로 쓰레기매립장을 폐쇄했을 때, 운영회사이던 미쿡의 매탈클래드사가 ISD를 통해 멕시코법률과 환경보호의 책무를 무력화시켰다.

 

미쿡 투자자는 한국 정부가 보호하거나 관장하고 있는 영역과 충돌할 때 이를 불공정경쟁으로 규정하고
상대 국가의 멱살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때 한국 정부가 소송에 응하지 않고 택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죠.



1) 해당 부문을 정리하거나
2) 자신을 제소한 민간 회사에게도 똑같은 지원을 하거나,
3) 아예 그 사업을 민영화하는 것.
자연히 공공성과 복지가 크게 훼손될 수밖에 없죠.
원래 복지가 미비한 한국으로서는 재앙에 가까운 일입니다.

 

 “소송에서 이기면 되지 않을까?”하는 질문이 나올 법도 합니다.
그러나 ISD는 초국적 자본의 이익이 관철되는 냉혹한 공간에서 이뤄집니다.

기적적으로 이기더라도 피해는 있습니다.  소송비용이 크거든요.
혹자는 1990년대 이래 소송 건수는 얼마 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2000년이 지나서 건수가 급증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알려져 있는 소송건수는 260여건이나 이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도 주목해야하죠.
원칙상 분쟁 상황은 비공개가 보장되니까요.

전례를 뒤져보면 대개 판정액(배상액)은 1~3억불의 수준이고요. 한 외국 투자사가 러시아 정부에
330억불을 청구한 적도 있습니다.
경제평론가 정태인 씨는 한국 정부의 피해규모에 대해 최대배상액은 33조원이며,
ISD 때문에 GDP가 1% 하락하리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한미FTA 찬성측은 ‘환경’이나 ‘부동산’에 관한 사안은 제외된다고 변명했으나 
투자자를 ‘내국민대우’하게 되는 한, 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환경, 부동산 부문에서 정부를 제소할 가능성은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금일,민주당의 모의원이 ISD만 여당이 양보하면, FTA를 타결짓자고 얘기 하나보다....

그런식으로 이야기하면, 서로 짜고치는 고스톱이라고 사람들은 말할것이다!

왜냐면,.....아래에 열거한 독소조항들도 나라를 뒤흔들 경천동지 할 메카톤급 불평등조약이기 때문이다..

모든 독소조항을 철폐해야지, ISD조항만 삭제한다는 발상은 말도되지 않는다!!!  

 

*. 서비스 비설립권 인정 
상대국가에서 사업장을 설립하지 않고도 영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조항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내에

설립되지 않은 회사를 국내법으로 처벌할 수 있는 법이 없다.

따라서 서비스 비설립권 조항으로 인해 한국 정부는 이들 기업들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거나 불법사실을

처벌할 수 없게 된다.


*. 공기업 완전민영화 & 외국인 소유 지분 제한 철폐 
한국의 공적이며 독점적인 공기업을 미국의 거대한 투기자본들에게 맛좋고 수월한 사냥감으로 던져주는 조항이다.


*. 금융 및 자본시장의 완전 개방 

현재도 그렇지만 앞으로 더욱 더 한국금융시장이 국제투기자본의 놀이터가 되게 하는 조항이다.


IP : 112.151.xxx.112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국회의원은
    '11.10.29 8:15 PM (121.138.xxx.172)

    왜 나라팔아먹는일에 찬성하는지 그들의 머리속을 들어가보고싶다
    국민을 뭘로 아는지
    역사앞에 부끄럽지도 않는지
    멍청하진않을텐데 무슨 욕심으로 저런 일에 찬성하는지 정말 모르겠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211 시간당 알바 한다고 했더니..남푠왈 3 2011/11/07 2,268
35210 코스트코 거위털이불 사면 커버는 따로파나요? 코슷 2011/11/07 2,590
35209 아파트 3억 매매에 1억 대출 무모하겠지요? 12 집값 2011/11/07 4,837
35208 가카헌정달력 5 딴지 2011/11/07 1,730
35207 알로에 베라 농축액(정제)...몸이 찬 사람에겐 안 좋죠? 1 알로에 2011/11/07 2,125
35206 군살없이 살고파 운동만이 살.. 2011/11/07 1,447
35205 나꼼수27회 개인서버 입니다. 토랜토 사용법 잘 모르시는분들만... 5 스트뤠쓰 2011/11/07 2,133
35204 나꼼수 27회 미디어파이어 링크 7 밝은태양 2011/11/07 1,673
35203 코스트코 사누끼 우동 8 아쉬워요 2011/11/07 6,952
35202 오늘처럼 다운 안되긴 처음 ㅠㅠㅠㅠㅠ 11 호호홋 2011/11/07 1,946
35201 달릴까 정봉주 2011/11/07 1,609
35200 김문수, 박원순에 전화해 “버스요금 올려야 한다” 3 세우실 2011/11/07 1,985
35199 동네 이불가게에서 본 자수이불에 홀딱,, 4 이불 2011/11/07 5,160
35198 대봉 어디에서 사셨어요?? *^^* 2011/11/07 1,128
35197 인도영화 '세얼간이' 다운 받을 수 있는 곳 없을까요? 4 .. 2011/11/07 2,890
35196 ㅋ 막상 나꼼 다운 받을려니 왜케 망설여지나 ㅋㅋㅋ 7 참맛 2011/11/07 2,052
35195 나꼼수 토렌트 마그넷주소 5 밝은태양 2011/11/07 2,244
35194 국민의 건강과 연관되는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의 인터뷰.. 광팔아 2011/11/07 1,208
35193 나꼼수 직빵으로듣기 6 밝은태양 2011/11/07 2,130
35192 꽤 살집이 잡히는 몸매..; 10 나는 뚱뚱이.. 2011/11/07 3,304
35191 캐나다 살다 방문한 친구, 선물로 뭐 해줄까요? 4 .. 2011/11/07 1,396
35190 나꼼수 다운됩니다. 3 .. 2011/11/07 1,601
35189 아이튠즈 나꼼수 27회 올라왔어요 (냉무) 분홍하마 2011/11/07 1,416
35188 나꼼수 받으신 분들 마그넷 주소 플리즈~~~~ 2011/11/07 1,207
35187 또 괴담유포? 레인보우 2011/11/07 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