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스크랩] 스물 여섯, 대학생의 눈으로 본 이번 서울시장 선거.|

ㅠ.ㅠ 조회수 : 2,314
작성일 : 2011-10-27 06:24:10

  서울 시 모든 개표가 종료되었습니다.

  최종 득표율 박원순 후보 53.4% 대 나경원 후보 46.2%.

  약 30여 만 표의 차이로, 박원순 후보가 승리했습니다.


  이번 선거는, 단순한 여당과 야당의 싸움이 아니었습니다.

  단순한 자본주의를 넘어서서, 다른 모든 가치를 압도하고 있었던 ‘물질’이라는 개념과
  눈에 보이지 않는, 수치화할 수 없고 계량화 할 수 없는 ‘가치’라는 개념의,
  그 두 가지의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된 프레임간의 대결.

 

  패러다임 시프트로써의 선거였습니다.

 


  지금까지의 프레임. 당장 움켜쥐지 않으면 의미를 잃어버리는 물질. 그리고 그것을 위한 경쟁.

  스펙을 갖추지 않으면(갖추려 노력하지도 않으면) ‘시대에 뒤떨어지는 것’이 되었고,

  학벌과 연이라는 공정하지 않은 경쟁 룰마저도 ‘빽도 능력’이라는 무한경쟁의 논리 속에 합리화되었습니다. 무슨 생각을 하던, 어떤 철학을 가지던, 많이 가지는 것이 제 1의 목표가 되어왔습니다.

 

  이러한 프레임은, 당장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경제적 불안함 속에서 매우 큰 매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희망이니, 정의니 민주주의를 말하는 것은, 허황된 꿈을 말하는 것만큼이나 ‘부질없는’ 것이 되었습니다. ‘그런 걸’ 얘기할 시간에, ‘남들 다 하고 있는’ 스펙을 하나라도 더 만드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야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고, 앞으로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되었습니다. 그것이야말로 한 치 앞도 볼 수 없는 미래 앞에서 삶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최선의 길이었습니다.

 

  이 프레임 안에서, ‘사람’은 없었습니다. 도태되는 개인은, 처한 상황과 상관없이 게으른 것이 되었고 시대에 뒤처지는 것이 되었습니다. 주체로 출발했던 개인은, 수치화할 수 있는 스펙 앞에서 재단되고, 값이 매겨지는 객체가 되었습니다.

 


  바로 이 프레임의 논리 속에서는, 변화는 불가능했습니다.
  이러한 프레임을 내면화 한 상태로는, 변화는 불가능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렇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이야기해야 했습니다.

 

 


  민주주의, 정의...
  이것들을 한 음절 한 음절 발음할 때, 어떤 기분이 드십니까?

 

 

  솔직히 말씀드립니다. 저는 떨림을 느낍니다. 먹먹함을 느낍니다. 울컥하는 무엇과 함께, 벅차오르는 무언가를 느낍니다.

제가 잘났다는 말을 하자는 게 아닙니다. 이건 오히려,

 

  비정상입니다.

 

 

  1+1은 2라는 명제 앞에서 우리는 어떠한 의문이나 감동을 느끼지 않습니다. 너무나도 당연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당연함이 당연하지 않게 된 사회. 비상식적인 사회 속에서, 상식이 오히려 비상식이 되었습니다. 상식은, 상식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바로 이 상식을, 상식적으로 말하는 것으로, 이번 선거는 시작되었습니다.
  상식을 상식으로써 있게 하기 위해. 정의를 외칠 때, 벅차오르는 무언가를 느끼지 않고 너무나 당연해서 별다른 감정마저 느껴지지 않게 하기 위해.

  그래서, 너무나도 당연한 얘기를, 당연하게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 첫 한 걸음이, 지금 내딛어졌습니다.

 

 

  물론, 모든 것이 한꺼번에 변화하긴 어려울 것입니다. 기득 프레임을 선점하고 있는 자본권력 앞에서, 조중동을 필두로 한 언론권력 앞에서, 상식은 무력했었습니다.

  심지어 대통령마저도 그 프레임을 내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끌어내려지고 죽임을 당했던 사실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서울 시장 한명 바뀐 것만 가지고서는 큰 변화가 없으리라는 예측이 오히려 현실과 가까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지난 4년여 기간을 거치며 이젠 알게 되었습니다.
  사회적 패러다임은 시민의 의식을 바탕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시민 하나하나의 의식이 사회를 구성한다는 것을.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 시민들, 객체가 아닌 주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는 시민들이, 상식을, 가치를 얘기해야 한다는 것을.

 

 

  그게 상식이 될 때, 저같은 놈이 ‘당연한 것을 새삼스럽게 떠드는 비정상’이 될 것입니다. 그런 날은, 우리도 알아차리지 못 한 사이에 우리 곁으로 와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진심으로 그 날이 오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 변화는, 이제 시작되었습니다.

 


  서울 시민 여러분,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서울 시민 여러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02년 대선 정국 당시, 고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민주당 대선 후보 수락 연설> 일부분을 수록하는 것으로, 제 글을 마치겠습니다.


  『조선 건국이래로 600년 동안 우리는 권력에 맞서서 권력을 한번도 바꿔보지 못했다.
  비록 그것이 정의라 할지라도, 비록 그것이 진리라 할지라도, 권력이 싫어하는 말을 했던 사람은, 또는 진리를 내세워서 권력에 저항했던 사람은 전부 죽임을 당했다.
  그 자손들까지 멸문지화를 당했다. 패가망신했다.

 

  600년 동안 한국에서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권력에 줄을 서서 손바닥을 비비고 머리를 조아려야 했다.

 

  그저 밥이나 먹고 살고 싶으면 세상에서 어떤 부정이 있어도,
  어떤 불의가 눈앞에 벌어지고 있어도 강자가 부당하게 약자를 짓밟고 있어도 모른척하고 고개숙이고 외면했어야 했다
.

 

  눈감고 귀를 막고 비굴한 삶을 사는 사람만이,
  목숨을 부지하면서 밥이라도 먹고 살 수 있었던.
  우리 600년의 역사.

 

 

  제 어머니가 제게 남겨주었던 제 가훈은 ‘야 이놈아 모난 돌이 정맞는다. 계란으로 바위치기다. 바람부는 대로 물결치는 대로 눈치 보면서 살아라’

  80년대 시위하다가 감옥간 우리의 정의롭고 혈기넘치는 우리의 정의롭고 혈기넘치는 젊은 아이들에게 그 어머니들이 간곡히 간곡히 타일렀던 그들의 가훈역시 ‘야 이놈아 계란으로 바위치기다. 그만둬라. 너는 뒤로 빠져라’
  이 비겁한 교훈을 가르쳐야 했던 우리 600년의 역사,

 

 

이 역사를 청산해야 합니다.

 

 

  권력에 맞서서 당당하게 권력을 한번 쟁취하는 우리의 역사가 이루어져야 만이 이제 비로소 우리의 젊은이들이 떳떳하게 정의를 이야기할 수 있고, 떳떳하게 불의에 맞설 수 있는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낼 수 있다.』

IP : 175.119.xxx.18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고 싶어요
    '11.10.27 6:46 AM (122.32.xxx.212)

    우리의 영원한 대통령님....꼭 지켜봐주세요 우리가 이루어 낼 수 있도록..우리의 아이들에게 자랑스런 부모가 될 수 있도록...꼬옥....

  • 2. 방답32
    '11.10.27 7:11 AM (112.164.xxx.13)

    이제 시작입니다.
    지방 단체장 선거에서 보듯 젊은이들이 외면하는 선거는 그렇게 절망스럽습니다.
    모든 분야에서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단 정치가 정직해야 합니다.
    선거 기간중 드러난 나경원남편의 직권남용도, 사학비리도 모두 제대로 조사가 이루어져야하고
    대통령의 사저에 대한 의혹도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명이 필요합니다.
    불법이라면 응당한 대가를 받아야하구요.
    공정한 사회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흘러내려애 합니다. 그런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선거가 기본입니다.
    이제 국민이 깨어나야합니다.

  • 3. ...
    '11.10.27 8:14 AM (121.164.xxx.26)

    글 쓰신 분 같은 분들 때문에..
    이 사회가 암담하다가도 그나마 작은 희망을 기대해보는 이유입니다..

  • 4. 정말
    '11.10.27 8:28 AM (211.246.xxx.240)

    자랑스러운 젊은이네요 아침부터 가슴이 먹먹합니다

  • 5. 아 이부분 감동요
    '11.10.27 11:13 AM (211.207.xxx.10)

    이러한 프레임을 내면화 한 상태로는, 변화는 불가능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렇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이야기해야 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232 오늘 게시판 이상해요 22 모지? 2011/11/04 2,153
34231 FTA시위 또 물대포 쐈네요!! 4 리민 2011/11/04 1,505
34230 "에리카김, 왜 오산 미군비행장 통해 입국?" 3 mb아킬레스.. 2011/11/04 2,590
34229 걸레를 세면대에 빤다는 베스트글보고.. 15 .. 2011/11/04 4,036
34228 소고기 장조림 하려는데 찬물에 넣고 끓이나요? 12 장조림 2011/11/04 3,333
34227 인상깊었던 성공서적 추천해주세요. 6 독서 2011/11/04 1,614
34226 진보정당들은 큰 착각을 하고 있음. 9 시민만세 2011/11/04 1,844
34225 저 동네에 홈플생겨서 취직하려는데 붙을까요? 7 딸부자엄마 2011/11/04 2,582
34224 오늘 집회 국회앞인가요 국민은행 앞인가요? 2 ... 2011/11/04 1,129
34223 부자신문들 강남에서 방사능 검출돼도 이랬을까? cmdm 2011/11/04 1,236
34222 아이폰 어플에 촛불 앱 있네요. 1 꺼지지 않는.. 2011/11/04 1,388
34221 올케의 한마디,, 25 케잌 2011/11/04 6,862
34220 이상득 의원실에 전화햇어요.. 6 fta폐기 2011/11/04 2,159
34219 게시판 이용에 대하여 14 보고파 2011/11/04 1,326
34218 레이저,듀오필름중 어떤것? 티눈 2011/11/04 3,942
34217 일본에서 보는 한미FTA추이.. 5 듣보잡 2011/11/04 1,538
34216 시립대 반값등록금 큰 이슈 아닌가요? 1 yjsdm 2011/11/04 1,369
34215 민심이 끓어오르고 있는 것 같아요. 10 민심 2011/11/04 3,795
34214 FTA 반대 전화할 곳들이에요-복사권장 2 반지 2011/11/04 1,206
34213 절에 다니려고 하는데 무턱대고 가도 되나요? 10 수양 2011/11/04 7,946
34212 이 글 출처가 어디인지 아시는분~ 4 .. 2011/11/04 1,380
34211 아.......숙제 합시다 부활 해야되나여? 3 .. 2011/11/04 1,244
34210 부모유산 10억과 월수 천중에 어떤게 나으신지요 22 재산 2011/11/04 6,964
34209 헬렌 카민스키 구매대행 사이트 알려주세요~ winy 2011/11/04 1,516
34208 그러니까 집회에 많이 많이 나와 주세요. 16 분당 아줌마.. 2011/11/04 1,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