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괜히 패딩 고민 & 재취업고민 (일기같은 글이 됐어요)

고민중 조회수 : 2,115
작성일 : 2011-10-20 13:22:42
쓰다보니.. 일기같은 글이 됐어요.
싫으신 분은 패스해주세요.

요즘, 괜히 패딩 고민 하고 있어요.

저는 애들이 6살, 4살 둘인데, 둘째는 아직 데리고 있고요.
내년에도 안보낼 가능성이 크네요. 생일이 늦어서 아직 세돌이 안됐거든요.
그리고 둘 보내자니 100만원인데 (엄청 특별한 데 보내는 것도 아닌데 그러네요) 부담스럽고요.

아이들 출산과 육아로, 그동안 제대로 된 옷을 사 입지 않고 살다가
올 여름부터 원피스도 사고 (입고 나갈 데도 없어서 두번 입었네요)
목걸이도 사고 (원래 악세사리 안좋아해서 결혼예물도 없어요.. 달랑 커플링 하나뿐)
그러고 있는 중이에요.

얼마전부터 요즘 입기 시작할 옷 또는 한겨울 패딩 하나 살까 싶어서
왔다갔다 하면서 한번씩 입어보고 있는데..

1. 아울렛에서 좀 비싼 브랜드의 오리털패딩 - 옷은 좋아보이고 입었을 때 마음에 들었으나 가격이 조금 비쌈 26만원
2. 아울렛에서 좀 저렴한 패딩 - 5만원짜리 10만원짜리 많이 있더군요. 썩 맘에 들지는 않았어요
3. 인터넷쇼핑몰 제품 - 14만원, 괜찮아보이기는 하는데, 직접 보는 게 아니라 한달째 들여다보며 고민고민

지금 이러고 있습니다.

물론 그 패딩이 꼭 필요한 건 아니에요. 
하지만 괜히 뭐 좀 사고 싶을 때가 있잖아요.
저는 그게 한 3년 주기로 오는 것 같더라구요. 
첫째 좀 키웠을 때 한번, 그리고 둘째 좀 키우니 지금 또 한번.
나중엔 어찌될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아이들 좀 크면 다시 일해야 할 것 같은데, 제가 지금 34살이거든요.
학교 때 공부는 잘했지만, 그래봤자 지금에 와서는 아무데도 쓸 데가 없고
어른들이 선생님해라, 약대가라, 할 때 그 말이 무슨 뜻이었는지 이제 절절히 알겠네요.

뭔가 재취업 내지는 일을 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야 할 때 인 것 같은데..
마음이 답답해요.
그런데 돌이켜보면 1년전에 이거 할까 말까 고민했던 일, 그걸 제가 지금도 고민하고 있더군요.
하고싶은 일이 있으면 그게 당장 돈이 되지는 않더라도, 시간을 쪼개고 부지런을 떨어서 해야하는 거였구나,
깨달았어요.
그래서 지금부터는 그러려고요.

다행히도 1년동안 어학 공부는 열심히 했는데 (나름 열심히 했지만, 애들 딸려서.. 혼자일 때 보다는 부족하지요만은)
스스로 대견해요.
이제 어학 시험 준비하고 차근차근 저를 좀 갈고 닦으려고요.

그런 의미에서.. 외모에도 투자하는 거라고 스스로에게 주문 걸며... 저는 다시 패딩 고민~

사족, 얼마전 아이가 아파서 입원했었어요.
재작년 신종플루 유행일 때 어린이집이 갑자기 일주일씩 휴원하는 사태를 보며
내가 전업이니 그나마 괜찮지만, 일하면 어쩔까 싶었는데..
이번에 또 그 생각이 들며, 재취업 의지가 좀 꺾이긴 했어요.
"나"와 "아이"의 행복 사이에 적당한 지점을 찾기가 참 어렵습니다.
<집에 있는 엄마>라고 해서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있는 것 아니고
<일 하는 엄마> 역시 치열하게 사는 것을, 많이 느끼는 요즘입니다.
IP : 112.154.xxx.7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0.20 1:31 PM (118.32.xxx.104)

    물론 돈을 많이 벌면 좋겠지만..
    전업주부로 살림하면서도 '자신'에 대한 생각은 늘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꼭 거창한 전문직이나, 당장은 따박따박 월급이 들어오는 일이 아니더라도
    훗날, 나를 위한 준비는 해야 할거 같아요.
    그게 바로 노후 준비이기도 하구요.
    1몇억 모으기 같은 거창한게 아니구요.

    일례로 제 친구는, 아이때문에 전업주부가 되긴 했는데
    본인이 하고 싶은 일에, 아이 보면서도 2시간씩, 공부를 꼭 하더라구요.
    전공은 그쪽을 하지 않았지만, 아이 키우며 상담 관련된 공부를 꾸준히 했고
    작은 아이를 내년엔 어린이집 보낼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그땐, 주1회 관련된 자원봉사라도 하면서 실전준비를 아주아주 천천히 해 보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요.
    제가 보기엔 그쪽 일이 그친구 적성이고
    나중에 본격적으로 일할때는 많이 준비가 되어 있겠죠?

    자신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아주아주 조금씩이지만 준비하는것
    이게 정말 삶에 큰 활력소도 되고, 노후준비도 되면서
    자신을 잃지 않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당장의 생산성을 따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좀, 멀리, 내다보는 안목을 가지는 것도 필요한것 같아요.

    조금 여유가 있으시다면 '당장'에 연연하지 마시길.
    그러나, 아주 조금씩이라도 '당장'생각하시고 시작하시길..^^

    잘 되실거예요!!!

  • 2. 삶의열정
    '11.10.20 2:44 PM (221.146.xxx.1)

    우선 패딩은요 1번, 아울렛에서 비싼 브랜드의 26만원 패딩을 사는게 향후 돈을 절약할 일일거 같아요. 좋은 물건일수록, 정이 가고 마음에 드는 물건일수록 오래 입고 쓰게 되거든요.

    그리고 재취업은 윗님이 정말 좋은 말씀을 해주셨네요.

    좋은 생각 계속 가지고 계시니까 노력만 하면 잘될거 같아요.

  • 3. 원글
    '11.10.20 6:34 PM (112.154.xxx.75)

    두분, 말씀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저도 계속 공부하고, 무언가를 하면서 지내려고 해요.
    그리고 패딩은, 역시 1번이 좋겠죠...
    다음에 가서 한번 더 입어보고 결정할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976 박원순 지지 김어준 투표독려 포스터 ^^ (줌인줌아웃에 있어요).. 6 = ) 2011/10/21 3,896
28975 그러니깐 정확히 1억은 뭔가요? 14 그지패밀리 2011/10/21 4,313
28974 컴터 자판의 비닐을 사야해요. 7 12354 2011/10/21 3,315
28973 월세때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은요? 6 반 월세집 2011/10/21 3,217
28972 임신중인데 굽있는 신발 신음 안되나요? 11 ... 2011/10/21 5,731
28971 제가 박원순후보에게 더 신뢰가 가는 이유는 21 무크 2011/10/21 3,756
28970 26일 투표때문에 출장시간 좀 늦춰달랐다가 욕바가지로 먹었네요 8 사장미워 2011/10/21 3,209
28969 분노하라. 7 은석형맘 2011/10/21 3,110
28968 나경원 남편 김재호 판사 퇴직 촉구 청원에 동참해 주세요. 16 석수공 2011/10/21 4,738
28967 2MB 은 논현동 사저도 정말 꼼꼼하네요 12 추억만이 2011/10/21 3,808
28966 엄마라면...선천적 장애가 있는 아픈 딸만은 팔지 말았어야죠. 36 고냥이 2011/10/21 9,259
28965 자기가 찬성인지 반대인지도 모르는 박원순. 39 박쥐 2011/10/21 8,416
28964 제동생 오늘 부터 박원순 지지한데요 ㅋㅋ 22 ㅋㅋ 2011/10/21 5,387
28963 나경원얼굴보니깐 1억이 둥둥보여서 목소리만 들어요 14 1억짜리얼굴.. 2011/10/21 3,211
28962 나경원 토론 중인데 얼굴이 그렇게 깨끗하고 곱네요~ 22 .. 2011/10/21 5,103
28961 딴날당 알바들 보세요! 안보면 알바라고 인정안해줌! 1 Pianis.. 2011/10/21 2,499
28960 허리가 아파요.. 3 아픈이 2011/10/21 2,759
28959 우리 엄마가 그랬어요(주어 없어요) 3 Ashley.. 2011/10/21 3,598
28958 진짜 알아야 할 것 5 서울시민 2011/10/21 2,725
28957 지금 나씨가 서울시민70프로가 fta찬성 한다는데.. 29 ... 2011/10/21 3,924
28956 한미FTA 서울시민의 75%가 찬성이라고? 6 Ashley.. 2011/10/21 2,815
28955 여기가 법정이냐...어디서 ..변호사질이냐....!!!!! 7 얼쑤 2011/10/21 3,129
28954 정말 오늘만큼만은 박영선이었더라면... 6 오직 2011/10/21 4,047
28953 정신과 의사 5 .. 2011/10/21 3,828
28952 끝짱을 보자- 1억과 실비의 차이는 증여세 대상 아닌가요? 3 ... 2011/10/21 2,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