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너무 경우 바른 것도 정 없어 보이나요?

성격 조회수 : 2,155
작성일 : 2017-04-28 04:24:12
객관적으로 판단했을 때
어? 이건 아닌 거 같은데? 라고 생각하는 걸
꼭 짚고 넘어가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
대충 넘어가는 법이 없는 성격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이런 것도 남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경우에 속하나요?
IP : 110.70.xxx.184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4.28 4:37 AM (70.187.xxx.7)

  • 2. yes
    '17.4.28 4:41 AM (38.75.xxx.87)

    네. 말하는 내용이 옳다고 해서 방식이 나쁜데도 옳은건 아니죠. 상대방을 생각해서 말해야지 꼭 짚고 넘어가려는 의지는 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면 배려가 없는 경우에 속한다고 봅니다.

  • 3. ..
    '17.4.28 5:07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짚고 가면
    상대가 긴장하게 되죠.
    긴장하면 관계가 편할 리 없으니, 좋을 때도 편하게 대하지 못해요.

    예를 들어 엄한 엄마, 엄한 아빠, 엄한 큰아빠의 부작용이 이거죠.
    엄한 것은 교육에 필요할 지 몰라도요. 관계에서는 좋지 않죠.
    사람은 상대에게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때, 그때 부득불 듣게 되는 나에 대한 지적도 받아들일 수 있죠.
    껀껀이 지적 받는다면 그건 내가 상대에게 받아들이지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하죠.
    부모, 형제가 아닌데 어떻게 상대를 받아들이나 하지만,
    부모, 형제가 아니라도 상대의 스타일은 장담점 모두 인정되어야 해요.
    게으르구나, 더럽구나, 약속을 안 지키는구나.
    이 중에서 내가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해서는 웃으면서도 지적보다는 시정요청식으로 긍정적인 단어를 활용해서 짚고 넘어가고.
    부정적인 단어가 필한 것들에는 눈을 감는 게 좋죠.

  • 4. ..
    '17.4.28 5:08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짚고 가면
    상대가 긴장하게 되죠.
    긴장하면 관계가 편할 리 없으니, 좋을 때도 편하게 대하지 못해요.

    예를 들어 엄한 엄마, 엄한 아빠, 엄한 큰아빠의 부작용이 이거죠.
    엄한 것은 교육에 필요할 지 몰라도요. 관계에서는 좋지 않죠.
    사람은 상대에게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때, 그때 부득불 듣게 되는 나에 대한 지적도 받아들일 수 있죠.
    껀껀이 지적 받는다면 그건 내가 상대에게 받아들이지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하죠.
    부모, 형제가 아닌데 어떻게 상대를 받아들이나 하지만,
    부모, 형제가 아니라도 상대의 스타일은 장담점 모두 인정되어야 해요.
    게으르구나, 더럽구나, 약속을 안 지키는구나.
    이 중에서 내가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해서는 웃으면서도 지적보다는 시정요청식으로 긍정적인 단어를 활용해서 짚고 넘어가고.
    그 외에 부정적인 단어가 필한 것들에는 눈을 감는 게 좋죠.
    뭐든 짚고 넘어가려고 하면, 사람들이 옆에 안 오려고 하죠.

  • 5. ..
    '17.4.28 5:09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짚고 가면
    상대가 긴장하게 되죠.
    긴장하면 관계가 편할 리 없으니, 좋을 때도 편하게 대하지 못해요.

    예를 들어 엄한 엄마, 엄한 아빠, 엄한 큰아빠의 부작용이 이거죠.
    엄한 것은 교육에 필요할 지 몰라도요. 관계에서는 좋지 않죠.
    사람은 상대에게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때, 그때 부득불 듣게 되는 나에 대한 지적도 받아들일 수 있죠.
    껀껀이 지적 받는다면 그건 내가 상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하죠.
    부모, 형제가 아닌데 어떻게 상대를 받아들이나 하지만,
    부모, 형제가 아니라도 상대의 스타일은 장담점 모두 인정되어야 해요.
    게으르구나, 더럽구나, 약속을 안 지키는구나.
    이 중에서 내가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해서는 웃으면서도 지적보다는 시정요청식으로 긍정적인 단어를 활용해서 짚고 넘어가고.
    그 외에 부정적인 단어가 필한 것들에는 눈을 감는 게 좋죠.
    뭐든 짚고 넘어가려고 하면, 사람들이 옆에 안 오려고 하죠.

  • 6. ..
    '17.4.28 5:12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짚고 가면
    상대가 긴장하게 되죠.
    긴장하면 관계가 편할 리 없으니, 좋을 때도 편하게 대하지 못해요.

    예를 들어 엄한 엄마, 엄한 아빠, 형제많은 집 엄한 큰오빠의 부작용이 이거죠.
    엄한 것은 교육에 필요할 지 몰라도요. 관계에서는 좋지 않죠.
    사람은 상대에게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때, 그때 부득불 듣게 되는 나에 대한 지적도 받아들일 수 있죠.
    껀껀이 지적 받는다면 그건 내가 상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하죠.
    부모, 형제가 아닌데 어떻게 상대를 받아들이나 하지만,
    부모, 형제가 아니라도 상대의 스타일은 장담점 모두 인정되어야 해요.
    게으르구나, 더럽구나, 약속을 안 지키는구나.
    이 중에서 내가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해서는 웃으면서도 지적보다는 시정요청식으로 긍정적인 단어를 활용해서 짚고 넘어가고.
    그 외에 부정적인 단어가 필한 것들에는 눈을 감는 게 좋죠.
    뭐든 짚고 넘어가려고 하면, 사람들이 옆에 안 오려고 하죠.

  • 7. ..
    '17.4.28 5:13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짚고 가면
    상대가 긴장하게 되죠.
    긴장하면 관계가 편할 리 없으니, 좋을 때도 편하게 대하지 못해요.

    예를 들어 엄한 엄마, 엄한 아빠, 형제많은 집 엄한 큰오빠의 부작용이 이거죠.
    엄한 것은 교육에 필요할 지 몰라도요. 관계에서는 좋지 않죠.
    사람은 상대에게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때, 그때 부득불 듣게 되는 나에 대한 지적도 받아들일 수 있죠.
    껀껀이 지적 받는다면 그건 내가 상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하죠.
    부모, 형제가 아닌데 어떻게 상대를 받아들이나 하지만,
    부모, 형제가 아니라도 상대의 스타일은 장담점 모두 인정되어야 해요.
    게으르구나, 더럽구나, 약속을 안 지키는구나.
    이 중에서 내가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해서는 웃으면서도 지적보다는 시정요청식으로 긍정적인 단어를 활용해서 짚고 넘어가고.
    그 외에 부정적인 단어가 필한 것들에는 눈을 감는 게 좋죠.
    뭐든 짚고 넘어가려고 하면, 사람들이 옆에 안 오려고 하죠.
    배움은 상대가 남의 장점을 보고 서서히 배워가는 게 자연스러워요. 그때까지 기다려주는 거죠.

  • 8. 나와 남
    '17.4.28 6:02 AM (210.183.xxx.241)

    내가 남들에게 경우바르게 행동하는 건 좋아요.
    매우 바람직하고
    그 사람이 온화한 성격이라면 정 많고 경우바른 훌륭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남들의 행동을 일일이 지적하는 건 불편하죠.
    사실 다른 사람들에게 지적을 많이 하는 사람치고
    자기일을 똑바로 하는 사람이 별로 없기도 하구요.

  • 9. 저기
    '17.4.28 6:11 AM (58.233.xxx.90)

    경우 바르다는 건, 예의와 매너를 칼같이 지키는 사람에게 쓰는 말이지요. 칭찬입니다.
    원문에 쓰신 건
    경우를 너무 따진다, 깐깐하게 군다, 이 정도가 맞습니다. 지적이 심하다는 평도 가능하겠네요. 매너와 범절의 문제가 아니라 성격 문젤 써 놓으셨어요.

  • 10. 이건 아닌데
    '17.4.28 6:54 AM (114.203.xxx.157) - 삭제된댓글

    하는것이 님 생각이죠.
    님 생각 강요하는꼴이 경우 없는 행동하는 지인과
    뭐가 달라요

  • 11. ..
    '17.4.28 7:43 AM (1.232.xxx.67)

    할말 다하는게 경우있는건 아니죠

  • 12. 그건
    '17.4.28 8:15 AM (58.229.xxx.81) - 삭제된댓글

    경우바른게 아니라 성격 안좋은거 ㅎ

  • 13. 마음이 답답합니다
    '17.4.28 9:04 AM (39.118.xxx.59) - 삭제된댓글

    제가 경우 따지면서 맨날 훈수두는 시누이들 겪으면서
    여러가지 정신질환과 심장이 쿵쾅 뛰는 증상으로 오랜기간 고생했어요

    그 경우라는게 완전 고무줄이더라고요
    사람이다 보니 완전히 객관적으로 안되요
    결국 경우 따지는 본인은 나는 이래서 못하고 저래서 못하는거고
    상대방은 그럼에도 해야되는 거더라고요
    본인 마음이 법이고 기준입니다.
    그리고 나중에 상황이 바뀌면 더 심하게 행동하던데요
    결국 자기 무덤 자기가 파는거고요,
    그냥 스스로 경우바른 사람이 되고자 단도리 하면 됩니다.
    남 훈수 두느라 자신의 문제는 돌아보지도 못해요
    인간에 대한, 교육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사람이죠
    사람은 쉽게 바뀌지도 않거니와, 우연히 바뀐다고 해도 그 훈수두는 입으로 바뀌는게 아니라
    의도되지 않은 상대방의 뒷모습을 보고 배우는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1918 경주 여행코스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4 .. 2017/04/30 1,608
681917 사드 설치할 때 우는 할머니를 찍으며 웃는 미군 19 ... 2017/04/30 3,125
681916 앞으로는 대학을 전공에따라 년수를 달리 해야 하지 않을지 12 ㅗㅗ 2017/04/30 1,581
681915 '불륜 폭로한다' 낭떠러지 동반 투신..나무에 걸려 살아 2 오지랖 2017/04/30 3,221
681914 전두환 = 역적의 충원군이네요 ... 2017/04/30 684
681913 왜 가발이 가발스러운지 아시는분 있나요~? 알려드리겠습니다. 2 천안맘 2017/04/29 2,239
681912 신라가 통일한걸 보면 8 ㅇㅇ 2017/04/29 1,640
681911 국민의당은 색깔도 잘 못 선택한 것 같아요 15 ........ 2017/04/29 2,570
681910 전두환은 지금이라도 다시 감옥보내야 돼요... 25 수개표 2017/04/29 2,520
681909 기분 좋은 토요일 저녁입니다~ 3 2017/04/29 757
681908 역적 꼭 보세요..일부러 재방 안하는듯 4 .... 2017/04/29 2,105
681907 1학년 선생님들이 급식에 옥수수 나오는게 싫은 이유가 ㅋㅋ 3 dd 2017/04/29 2,514
681906 슬프네요. 저렇게 시민을 죽인 자가 대통이 되었던 시절이 15 그것이알고싶.. 2017/04/29 3,131
681905 안철수가 똑똑하긴 하네요 30 선거관망 2017/04/29 3,748
681904 사전 투표 경험담-인주 번짐 유의 9 투표완료 2017/04/29 1,413
681903 잘 되는 집은 이렇게 되는 가 봅니다 11 바다 여행 2017/04/29 13,351
681902 노총각 어머니 왈... 5 풉... 2017/04/29 3,873
681901 생활비 17 ㅇㅇ 2017/04/29 6,047
681900 (미생) 윤태호 작가 찬조연설서 눈물.. 9 뮤즈82 2017/04/29 3,114
681899 아...고2 딸 시험공부 봐주고있어요... 52 후회막급 2017/04/29 4,338
681898 역적 보시는 분들, 익화리의 봄 좋지 않나요? 4 ... 2017/04/29 1,078
681897 창문밖 길고양이 보고 펑펑 울었습니다 31 동그라미 2017/04/29 4,317
681896 서울대생들이 안 지지한다는 게 사실인가요? 30 ㅁㅁ 2017/04/29 3,758
681895 확실히 안철수 알바들 사라진거 맞죠? 36 오늘 2017/04/29 2,487
681894 미혼인데 직장서 기혼 분들과 이야기하기 힘들어요ㅠ 9 ㅇㅇ 2017/04/29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