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 같은 분 있으신지

된다!! 조회수 : 1,269
작성일 : 2011-08-30 17:29:52

저는 아침에 한번 저녁에 한번 밥을 해요.

 

전기료도 이게 더 싸게 먹힌다고 하고..

 

그것보다

 

친정에서는 엄마가 과수원을 할아버지랑 경영 하셨고 아빠는 주말부부로 직장을 다니셨죠

 

그래서 항상 아침에 밥을 엄청 많이 해놓으시면

 

학교 다녀오면..

 

그게 아침점심 거의 가고 저녁은 하실때도 있었고 아닐때도 있었던걸로 기억해요

 

근데  그 기억이 그닥 좋지 않았던 것 같아요( 힘드셨으니 당연 그럴수밖에요)

 

제가 커서도 늘상 밥을 가득 해놓으시고,

 

식은밥이 늘 남기 일쑤였어요.

 

왠지 전 그게 싫더라구요

 

결혼한지 9개월찬데.

 

밥을 하면 바로 코드를 뽑아요

 

밥 푸고,, 거의 남는 밥 없이 다 먹고요 아주 조금 남거나 반공기 한공기씩 남으면

 

다른 밥공기에 퍼 놓고 덮어놔요

 

남편은 그냥 밥솥 꼽아놓고 보온 해놓으면 되지

 

뭣하러 매번 밥하느냐..

 

그러는데

 

 

전 이상하게 보온에 있는 식은밥이 싫어요

 

차라리 푸고 조금 남은 밥은... 다른 밥공기에 퍼놓고 식혀놓은밥이 좋더라구요

 

이것도 정말 성격이 이상한건지.

 

그리고. 보온에 오래 두면

 

밥솥이 더러워지는것 같고.ㅎㅎ 정말 별생각 다 들어요.

 

 

 

IP : 58.226.xxx.25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라냥
    '11.8.30 5:36 PM (220.80.xxx.28)

    저도 보온된 밥 싫어요 ^^
    엄마가 보온된밥이나 찬밥줘서 그렇다기보단..
    보온된밥이 맛없어서 싫어해요.. ㅎㅎ; 그냥 식성탓이에요..
    그냥.. 좀 번거로워도 갓지은밥 먹고싶어요.
    뭐.. 또 모르죠; 나중에 저도 애낳고 지지고볶고 할땐 몇끼묵힐지도? ^^;

  • 2. ..
    '11.8.30 5:38 PM (1.225.xxx.43)

    ㅎㅎ 저도 신혼땐 남편이 하루세끼를 다 집에서 먹어서 밥을 세번씩 했어요.
    지금은 아침은 밥을 안먹고 빵이나 떡으로 먹으니 안하고
    저녁에 한번하고 남는밥은 퍼놓고 코드는 뽑아요.
    그밥은 식은대로 다음날 낮에 제가 먹든지 나중에 뎁혀 먹고요.

  • 3. 앱등이볶음
    '11.8.30 5:42 PM (182.213.xxx.27)

    밥솥에서 보온 해 놓은 밥 맛 없어요. 찰기도 사라지고.
    바로 전부 퍼 놓고 먹을 때 니혼슈 약간 떨어뜨려서 렌지에 돌리는게 훨씬 맛있잖아요.

  • 4. 님땜에 로긴
    '11.8.30 5:49 PM (110.14.xxx.164)

    저도 바로 한밥이 좋아서 거의매번 해요
    남아도 보온안하고. 코드빼고 두었다가 렌지에 데우거나 그냥 먹어요
    한솥 가득해서 두고 먹는다는 사람은 이해가 안가더군요 밥 하는게 어려운거 아닌데 바로 해서 맛있게 먹지 싶어서요

  • 5. ..
    '11.8.30 6:44 PM (61.78.xxx.51)

    저도 갓지은 밥 좋아하는데

    우리집 남편과 애들은 눈뜨자 마자 밥을 먹어야 해서
    새벽 2시에 밥해놓고 자요.
    그걸로 하루종일 먹어요.

    밥이든 반찬이든 금방해서 먹어야 맛있는데...

    언제 눈뜰지 모르는 식구들 땜에
    늘 헌 밥, 헌 반찬이에요. ㅠㅠ

  • 6. 맞는 말씀
    '11.8.30 7:01 PM (61.79.xxx.52)

    친정 아버지 말씀이, 항상 밥솥에 밥이 있어야 한다고 하셨어요.
    누가 오든 언제든 솥만 열면 밥이 있어야 한다구요.
    그래야 복이 있다구요.
    그래서 저도 항상 밥은 전기밥솥에 해서 보온으로 둡니다.
    엄마가 없어도 아이들이 라면을 끓여먹어도 밥을 먹을수 있고 일단 부재중이어도 안심이잖아요.
    배 고픈데 밥솥에 밥도 없고 찬 밥만 있다..서글플수도 있죠.

  • 7. 살림꾼
    '11.8.30 7:09 PM (119.69.xxx.206)

    정말이지 살림꾼이네요.

    구찮아도 그 때 그 때 지어서 고소한 밥 먹는게

    헐씬 좋지요...님은 칭찬받을 사람인데...간큰 남편이군요.

  • 8. 저두요
    '11.8.30 10:12 PM (124.61.xxx.39)

    보온해둔 밥은 싫어요. 저도 밥 되서 보온 켜지자마자 코드 뽑아버리네요.
    귀찮아서... 한번에 많이 해서 냉동실이나 냉장고 넣어두고 데워먹는 방법이 제일 맛있더라구요. ㅡㅡ;;
    남편분이 매일 김나는 밥 먹는게 얼마나 복인지 모르시나봐요. ㅎㅎㅎ
    예전엔 어머니들이 하나같이 아침저녁으로 새밥을 지으셨던거 같은데... 참 대단하셨다는.

  • 9. 내이름은룰라
    '11.8.30 10:14 PM (124.54.xxx.38)

    이글이 낚시가 아니길 바라며^^

    원글님 심정 십분 이해가 가요
    그런데, 시댁쪽에선 원글님 안정적인 직업도 있고하니 어쩜 원글님 전재산 3천을 얘기한다 해도
    맘에 차지 않아 하실 수도 있어요
    모아놓은 돈이 재법 될걸로 짐작하고 은근 바라실수 있고, 친정에 도움주는걸 아신다면 결혼하고도
    둘이 같이 번다고 해봤자 친정 좋은 일 시킬거라고 탐탁치 않아 하실 수도 있을 거구요

    차라리 남친분과 함께 상의해보세요
    사정이 이러니 남친에게도 그만큼에 해당하는 것만 가지고 둘이 똑같이 시작하자고 하면 어떨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83 산후조리 보약?한약?..진맥 짚고 지어야겠죠? 1 산모 2011/09/01 2,041
4482 사진배울수 있는곳 추천바래요~ 구운양파 2011/09/01 1,224
4481 [분석]곽 교육감 수사, 이번주에 마무리하나? 1 ♡^^;; 2011/09/01 788
4480 청약저축과 주택청약종합저축은 틀린가요? 1 새댁 2011/09/01 2,057
4479 H홈쇼핑방송을 보고 보험 예약했다가.. 3 독수리오남매.. 2011/09/01 1,725
4478 덥다더니 38 오늘 2011/09/01 10,900
4477 아들이 키우기 편한건 있는거 같아요. 38 .... 2011/09/01 6,144
4476 침묵 깬 박근혜, ‘박근혜식 복지’ 당론 결정 압박 3 세우실 2011/09/01 987
4475 초등 딸 친구 카카오톡 2011/09/01 1,327
4474 2만원 내외로 괜찮은 출산선물 있을까요? 6 그냥아는사람.. 2011/09/01 2,231
4473 여자6호 지금 알았어요 ;;; 17 냐옹 2011/09/01 17,040
4472 눈가림치료 4 별아 2011/09/01 3,454
4471 ‘사람은 버리되 정책은 지키자고?’ 3 소망이 2011/09/01 798
4470 태국에서 속옷 살 때 우리나라 사이즈 수치로 사용하나요? 4 속옷 사이즈.. 2011/09/01 1,674
4469 하단에 검색란에 계속검색기능이 없어진것 같은데 어찌하나요? 1 라일락 2011/09/01 759
4468 30대 중후반 남편들 가방 어떤브랜드 사용하시나요? 10 꼬꼬맘 2011/09/01 1,650
4467 6살에 유치원 보내도 될까요?그런분 계신가요 9 애키우기힘듬.. 2011/09/01 1,829
4466 현대홈쇼핑보험상담 이게 말이 됩니까? 2 독수리오남매.. 2011/09/01 3,260
4465 중학생 학원 보통 몇시까지 가고 저녁밥은 어떻게 하나요? 5 학원 2011/09/01 2,501
4464 유산상속시 가등기된 부동산 어찌되나요? 4 ... 2011/09/01 2,931
4463 이 염색약 이름 뭐예요?? 급해요 2 복덩이엄마 2011/09/01 1,677
4462 병원 입원비와 수술비 중에서 어디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할까요? 1 보험 2011/09/01 1,101
4461 선물로 영문법원정대를 사 달라는데요. 괜찮나요 8 생일 2011/09/01 1,497
4460 '건강한 생활공간 만들기' 아름다운 나눔장터 참가(9월3일 뚝.. 지키미 2011/09/01 1,378
4459 모든 꽃들은 어디갔는가? 사랑이여 2011/09/01 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