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취직이녀 취집이냐, 사회적 활용 방안 없을까

음.. 조회수 : 201
작성일 : 2011-02-21 11:12:49
1.  상사 중에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의 중년 여성은 몇 명이나 돼?”

직장인 친구 몇 명에게 물었다. 예상대로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의 숫자가 나왔다. 이들은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 시기는 대학교에 입학하는 여학생 수가 급증한 때이기도 하다. 교육통계연구센터의 교육통계연보를 보면 전국 대학교에 입학한 여학생 수는 1970년 9523명, 1975년 1만5523명에서 1981년 4만7866명으로 크게 늘었다. 그런데 이들은 또래 남성과 같은 교육을 받았지만 이후 삶의 방식은 크게 달랐다.

흔히 중년 여성을 일반 기업에서 보기 힘든 이유로 유리천장, 조기퇴직 등을 꼽는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당시 대학을 졸업한 여성이 취직하는 것 자체가 드물었다는 것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여성은 대학을 졸업하면 직장을 갖지 않고 바로 결혼하거나, 일을 하더라도 1~2년 후 임신하고 그만두는 경우가 많았다

2.  27세도 노처녀…대학 졸업 후 전업주부로

대졸 여성이 취업을 원해도 갈 곳이 마땅치 않았다. 1980년대 들어 고학력 여성이 갑자기 늘면서 이들을 다 받아줄 만한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았다. 공장 노동자, 봉제사, 미싱사 등 육체노동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많았지만, 대졸 여성은 이를 원치 않았다. 주로 일을 하더라도 학교 교사를 하거나 간혹 대학교수가 됐다. 기자가 만난 취재원 상당수가 교사자격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은 “워낙 취업이 어려우니 교사를 꿈꾸지 않는 이도 너도나도 교사자격증을 취득했다”고 전했다.

서울대 사회학과 배은경 교수는 “직장에서 자아실현을 하고 싶은 욕망이 있는 여성들도 취업할 수 있는 기회가 워낙 적으니 좌절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대학에서 남성과 똑같은 교육을 받았지만 사회 진출 문턱은 그 높이가 확연히 달랐다”고 설명했다. 취업 대신 결혼을 택한다는 뜻의 ‘취집’이라는 말도 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3.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이 세대 여성들은 많은 교육을 받은 데다 이전 세대보다 가사노동 부담이 줄어 거의 모든 에너지를 자녀 교육에 집중한다”고 분석했다.

요즘 여학생들이 ‘알파걸’로 불리며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것도 40, 50대 엄마의 힘이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정석희 씨 역시 “나는 대학까지 졸업하고도 주부로 살고 비합리적인 관습도 견뎌냈지만, 내 딸은 나와 다른 삶을 살게 하고 싶다”며 “이런 생각을 하는 친구가 많다”고 전했다.


4.  중년 여성들은 대개 자식이 진학, 취직, 결혼 등을 통해 자기 길을 가게 되면서 정체성을 상실하는 일명 ‘빈둥지 증후군’을 앓는다. 전문가들은 특히 우리나라 주부들이 이런 증상을 더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자녀 교육에 몰두했던 에너지를 끝도 없이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쓰는 점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배 교수는 “깊이 있게 배운다기보다 문화센터를 옮겨 다니며 이것저것 배우는 것은 일종의 학원 쇼핑이자 낭비”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랜 시간 직장 경력이 단절됐지만 교육 수준이 높고 인생의 경험도 풍부한 편이다. 사회적으로 활용할 만한 방안을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IP : 152.149.xxx.166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0918 변액종신보험 해약할까요? 5 질문 2011/02/21 810
    620917 고3 이과논술 학원(부디 많은 추천 부탁드려요) 3 답답맘 2011/02/21 733
    620916 시누네 옆에 사는거 어떠세요? 19 에궁.. 2011/02/21 2,215
    620915 이젠 내집을 갖고싶어요 ㅜㅜ 15 내집갖고파 2011/02/21 2,332
    620914 위탄 5개팀 (강력스포 - 싫으신 분 클릭금지!!!!!) 18 이쯤에서.... 2011/02/21 2,507
    620913 설*수 샘플만 파는거 사도 괜찮나요? 9 샘플 2011/02/21 1,091
    620912 장염걸려 고생중인데요.. 3 ㅠㅠ 2011/02/21 460
    620911 국민 54% "살림살이 나빠졌다" 4 세우실 2011/02/21 405
    620910 욕망의 불꽃 궁금 9 궁금해요 2011/02/21 1,621
    620909 동네 새마을 금고에 돈을 조금 넣어두었는데..괜찮을까요? 2 새마을금고 2011/02/21 775
    620908 구제역 매몰지 코 찌르는 악취 … 독수리 500마리 달려들어 5 사진..끔찍.. 2011/02/21 726
    620907 ㅋㅋ진중권씨 따라한 광고 웃겨요 2011/02/21 305
    620906 저축은행에 돈 넣으신 분들 읽어보시면 좋을 기사네요. 2 부산 2011/02/21 1,345
    620905 그럼 sc스탠다드 저축은행은 어떤가요? 4 은행 2011/02/21 696
    620904 소금.. 1 소금 2011/02/21 145
    620903 아가 먹일 연근조림에 정종을 넣었어요 ㅠ.ㅠ 8 연근 2011/02/21 995
    620902 토판염이 뭔가요? 4 토판염 2011/02/21 610
    620901 욕조나 세면대 물을 내보내면 욕실(바닥)배수구에서 물이 역류해요~! 4 으아 2011/02/21 1,600
    620900 연말정산을 위해 무엇을 더 하는 게 나을까요? 4 연금?기부?.. 2011/02/21 761
    620899 저축은행이란게 뭔가요? 종금사도 해당되나요? 1 . 2011/02/21 377
    620898 의왕시쪽 입주청소 잘하는 업체 추천해 주세요~ ... 2011/02/21 99
    620897 구립 첫입학 고민이예요. 6세 남아 2011/02/21 109
    620896 맥북으로 소리바다 음악 다운받기는 가능한가요? 1 MAC2 2011/02/21 254
    620895 고슴도치 키우는분 계시죠? 9 고슴도치맘 2011/02/21 491
    620894 프라임 저축은행은 어떠한지? 6 푸르른 2011/02/21 937
    620893 화승저축은행... 저축 2011/02/21 468
    620892 먹다 남은 캘리포니아롤 처치(?) 방법..^^;; 5 하하하 2011/02/21 1,086
    620891 저는 외려 김인혜 씨에 대한 새로운 기사가 올라올수록 37 2011/02/21 6,901
    620890 2011년 2월 21일자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1 세우실 2011/02/21 94
    620889 해외여행시 400불 넘으면 세금 어떻게 내나요? 4 면세점 2011/02/21 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