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직장맘들~ 아이둘 키우려면 순수한 양육비용 얼마나 들어가세요?

아이둘 조회수 : 978
작성일 : 2010-12-22 11:42:50
뱃속에 둘째가 있어요.. 첫째는 이제 20개월이구요.

맞벌이 중인데~~ 저희 신랑이 그렇게 못 벌어오는 건 아닌 거 같은데.
솔직히 아이 하나 키우면서 살기도 어려운데, 둘째까지 키우려면 어찌해야 할 지 난감해서요

어젯밤에 신랑이랑 누워서 걱정만 하다가... 진짜 다른 사람들은 아이 둘셋씩 어떻게 키우지 하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궁금해서 여쭤봐요.

저같은 경우는 지금 첫째는 출퇴근 이모님이 봐 주시구 계시거던요~ 월 140 드리구요
솔직히 아이 없을때보다 저 지출이 당장 생기기 아가 낳고부터 저축은 거의 못 하고 있어요
아이한테 들어가는 먹이고/입히는 것도 만만치 않구요 (네... 아껴서 쓰고 있는 건 아니예요)

아이 낳기 전에는 따로 저축 200정도씩 하고, (저축 외에 저축성 보험/연금 요런 게 100이상 들어가요)
살았는데... 지금은 몇백만원 통장 잔고만 겨우 유지하는 수준이네요.
남편이랑 둘이 맞벌히해서 월 들어오는 돈은 세금빼고 한 700만원 좀 넘어요.
(성과급 이런 건 언제 들어올지 모르니 제끼고)

이제 둘째 태어나면 당장 출퇴근도 아닌 입주 이모님 들여야 하고(최소 170 정도는 하겠죠),
첫째 아이 놀이학교라도 보내려면 월 80은 잡아야 하고, (어린이집은 자리가 없어요.. 너무 어리기도 하고)

250은 나가야 하는 건데..여기에 둘 입히고 먹이려면~~정말 앞이 캄캄하네요.

다른 분들은 진짜 어떻게 회사 다니면서 둘을 키우시는지 정말 궁금해요.
친정/시댁에서 도움 주시는 경우면 정말 좋겠지만,
전 두쪽 다 지방이라... 것도 쉽지 않아요.

시부모님보고 올라오셔서 같이 살자고 하기도 싫구요.
시어머님이 둘 봐주시기도 어렵고, 첫째 어디 보내고, 출퇴근 아줌마 쓰고, 시부모님 생활비 들어가면
뭐 그게그거일 거 같은데~ (물론 아이들 믿고 맡길 수 있는 분이 계시다는 점은 안심이나)
시부모님 눈치 봐야 되고....

친정은 아직 아빠가 일하셔서 아기를 보내야 하는데,
첫째를 보낼수도 없고, 둘째를 보낸다고 하면 친정 엄마한테 사례 + 매주/격주 내려가야 하는 교통비
거기에 친정엄마한테 갓난쟁이 맡긴 미안함.... 등등

어쨌든 혼자 해결하는 게 가장 좋을 거 같아서요.
IP : 116.120.xxx.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10.12.22 12:25 PM (180.70.xxx.27)

    다 그렇게 키우는데요.
    또 크면 유치원이다 학원이다 해서 시터비용 다 들어가요.
    벌어서 그냥 다 애들한테 그게 맞아요 ㅠㅠ

  • 2. 무답
    '10.12.22 12:25 PM (112.118.xxx.99)

    그게 어쩔 수 없이 엄마버는 분량은 온통 아이들에게로 가죠. 나중에 좀 크면 도우미아주머니비용 나가는 이상으로 교육비 나가구요. 둘이라면 이래저래 그 비용은 꾸준히 나간다고 보심이 맞을거 같네요. 실력 더 쌓으시고 빨리 진급하시고 해서 월급 많이 오르시길....

  • 3. .
    '10.12.22 12:26 PM (211.246.xxx.200)

    놀이학교말고 어린이집보내면 30~40만원선에서 큰애 해결됨.

  • 4. 통통곰
    '10.12.22 12:50 PM (112.223.xxx.51)

    조선족 입주 도우미분 150. 큰애 어린이집 30 별도.
    내년이면 작은 놈 어린이집도 30-40 지출 계획입니다.

  • 5. 케바케
    '10.12.22 12:59 PM (116.41.xxx.232)

    전 41개월 큰아이어린이집 비용 36만원정도..작은애는 돌쟁이라 친정부모님이 봐주시고 해서 100만원드리고..기타 한솔 월간으로 오는 책+선생님방문이 6만원정도..돌쟁이 기저귀+분유해서 십만원정도(분유는 거의 안먹는지라) 옷,장난감,책등이 월평균 10만원정도(사실은 거의 선물로 해결해서 제가 직접 쓰는 비용은 적은 편)..기타비용 20만원정도..아이들이 있으니까 식비도 많이 들어가는데 그건 포함 안시켰네요..(아이들때문에 먹는 것도 이왕이면 국내산..이런걸로 조금 신경써서 먹여서 식비도 만만치 않더라구요..)
    그래도 전 적게 들어가는 편인 듯..

  • 6. ...
    '10.12.22 1:26 PM (211.176.xxx.112)

    보니까 여자분이 버시는게 거의 다 들어가던데요.
    여자분이 버시는것보다 더 들어가면 여자분들이 그만 두시고요.

  • 7.
    '10.12.22 1:28 PM (121.124.xxx.37)

    입주도 아닌데 시터비가 너무 많은거 아니예요?

  • 8. 돌쟁이 하나
    '10.12.22 2:54 PM (203.248.xxx.13)

    입주 아주머니 160 (한국분, 주6일임) 애기 분유+기저귀만 월 20 잡는듯. 아주머니 식비 등 생각하면 애기한테 (교육 아무것도 없이 보육에만) 월 200정도. 애기 옷, 병원비(예방주사 등), 장난감 등은 별도. 짐보리 한프로그램 다니는데 이것도 별도. (짐보리도 곧 2개 프로그램으로 추가 예정). 현재 제가 버는 돈에서 이렇게 애기한테 순수 들어가는 돈 빼고 대충 200정도 남는데요, 직장다닌다고 밥사먹고 교통비 커피값 옷값..등등 생각하면 월 100정도 남는듯 하네요. 애기 2명이면 정말 집에서 애기 키우는게 당장의 경제적으론 나을지도 모르겠어요. 애기는 하나만 낳고, 능력을 키워 연봉을 더 높이자..라고 목표하고 있고요. (그렇지만 연봉이 오를때쯤 되면 또 애기의 교육비가 들겠죠ㅠㅠ)
    그런데 원글님은 애기 하나에 출퇴근인데 140이면 진짜 비싼듯 하네요. 보통은 120, 퇴근시간이 좀 늦으면 130정도는 봤는데, 애기 하나에 140이면 그돈으로 조선족분 입주도 쓰실듯 (애기 다 데리고 자고 130에서 시작해서 두세달 후에 사람 맞으면 140정도로 올려주는듯 해요)

  • 9. 아이둘
    '10.12.22 3:08 PM (116.120.xxx.3)

    출퇴근 한국분이시고... 저두 첨에 입주 이모님 쓰다가 너무 불편해서 출퇴근시터분으로 바꿨어요. 8시반~8시반까지 12시간이라 월급 그리 많은 편은 아닌 거 같구요.
    출퇴근 시터분 구할 때 알아봤는데~ 120이면 진짜 딱 9시-6시더라구요
    아기한테도 너무 잘 하시고~ 집안 청소등도 너무 말끔하게 잘 해 주세요.
    조선족 입주는 쓰고 싶지 않은지라....한국분으로만 알아봤는데
    아기 둘 되면 한국분 입주는 구하기 어렵겠죠. ㅠ.ㅠ

    아기 둘 되면 아기 보는 게 낫다라는 생각도 해 봤는데,
    혼자서 둘 보는 건 불가능이고, 똑같이 시터 비용 들어가야 된다면
    차라리 회사 다니는 게 나을 거 같네요.

    처음에 아가 하나였을 때 입주 이모님이랑 안 맞고, 지금 출퇴근 이모 구해서 안정기(?)에 접어들었는데... 또 요런 고민이 생겨서 큰 일이예욤.

    혼자서 아기 둘 보다가 우울증 걸릴 거 같기도 하고 (돈 없고, 아가들에 치이면...)
    그냥 회사 일 열심히 해서 연봉 많이 올려받아야 할 거 같아요.

  • 10. 저도
    '10.12.23 5:25 PM (220.86.xxx.137)

    출퇴근 이모님 120만원. 둘째 놀이학교 60만원. 첫째 학원비 60만원....
    제가 이모님때문에라도 일을 못그만둡니다.
    제가 버는게 500-700을 왔다갔다하는데 ... 그래도 늘 돈이 없어요.. 엉엉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6431 20년된 양은냄비 9 식당 2010/07/06 861
556430 지앤벨 쥬서기 쓰시는분 급히 찾아요~~!! 3 지앤벨 2010/07/06 382
556429 코스트코에 체리 파나요? 7 죄송 2010/07/06 830
556428 7월 6일자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미디어오늘 만평 1 세우실 2010/07/06 185
556427 친정언니랑 크나큰 경제적차이 67 차이 2010/07/06 12,908
556426 고속도로에서 후방에 안전대 설치하기.....무서워요. 4 소심녀 2010/07/06 539
556425 KT 고객센터 근무하시는 분 계시나요? 1 tm 2010/07/06 673
556424 국제선 기내 음식물 반입되나요? 준비할게 많아요...도와주세요 20 비행기 2010/07/06 4,252
556423 나, O형이라 성격 좋을거야.... 28 나 원 참 2010/07/06 2,120
556422 급질> 남편 비자금 2 비자금까지 2010/07/06 507
556421 남편한테 감동했었는데..... 12 남편이 2010/07/06 1,828
556420 방자전 혼자 보러가도 괜찮을까요? 6 수지댁 2010/07/06 1,008
556419 태국 국제학교 영어캠프(초등) 보내보신분들... 어떠셨나요? 1 영어캠프 2010/07/06 575
556418 어제, 신내리는 꿈을 꿨는데.. 4 접신 2010/07/06 1,280
556417 이근행 MBC 노조위원장 영장 기각 7 세우실 2010/07/06 509
556416 세자매 보시는 분들,,, 7 캐막장 2010/07/06 916
556415 기내에 액체류 얼마나 갖고 탈 수 있나요? 12 공항 2010/07/06 1,069
556414 치과의사에게 사과받았어요.... 30 다시 안 무.. 2010/07/06 6,636
556413 화장쌀 뽀샵빨에 속지 맙시다 2 dove e.. 2010/07/06 933
556412 기초 부족한 아이가 분당 수학학원중에 갈곳이 있을까요? 10 중3수학 2010/07/06 1,545
556411 문의-고급빌라 vs 아파트 6 이사 2010/07/06 1,801
556410 엄마가 울었어요 ㅠ 10 어쩌죠?? 2010/07/06 2,062
556409 고마운 새언니께 무슨 선물이 좋을까요? 3 시누이 2010/07/06 613
556408 예전에 비슷한 경우를 쓴 글을 보았는데 섭섭 2010/07/06 219
556407 사슴벌레 원래 이런가요? 2 빠삐용 2010/07/06 473
556406 통신사연체하면 어떻게되나요?? 1 통신사연체 2010/07/06 400
556405 강아지 사료중에... 7 궁금 2010/07/06 530
556404 정수기 렌탈해서 쓰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4 궁금.. 2010/07/06 403
556403 제가 수신차단 되었다는걸 알게되었어요. 5 . 2010/07/06 1,989
556402 신입사원인데, 7개월동안 천만원 정도 모았으면 어떤건가요? 9 .. 2010/07/06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