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도대체 사법고시라는 공부가 얼마나 어려운건가요?
최연소 스물하나 합격생이 나오는가 하면
얼마전에는 행시에서, 재학생들 중에서 줄줄이
합격자가 나오더군요.
사시, 행시에 비하면
임용고시는 난도가 낮죠.
이 덜한 시험에서 맥을 못 추는 제 자신에게 조금
실망스럽습다.
사시라는 시험이 어느 정도로 어려운 건가요?
도무지 실감이 나질 않습니다.
1. -_-
'10.12.8 6:57 PM (122.32.xxx.68)미국 법학대학원 교수가 한국의 사시제도의 공정성과 체계성에 대해
'잠깐' 알아보고 리서치하고 발표한게 있다네요..
전세계적으로 한국 사시는 난이도와 법적 체계성에서
거의 최고수준이라고 보면 된다고 했답니다
사시 패스자들이 두뇌면에서는 최고라고 봅니다.2. ㅇ
'10.12.8 7:01 PM (125.129.xxx.102)제가 합격자는 아니고 2년정도 준비하다 포기한 입장인데요, 내용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너무나도 진부하고 따분한 내용들로 가득찬 양의 책을 거의 외워야 하는 점이 어려웠어요. 학창시절
3. 요즘
'10.12.8 7:02 PM (183.100.xxx.68)사시 천명 시대인데도 어렵다고 하는데
예전 육십명 남짓 뽑을때 노무현 대통령님이 유일하게 상고졸로 독학으로 합격하셨으니....
공부로도 대단하신 분인 것 같아요.4. ㅇ님
'10.12.8 7:08 PM (124.49.xxx.141)암기에 강한 친구들이 유리한 건 맞는데, 그건 객관식인 1차때나 해당되는 말이구요.
2차시험은 케이스를 풀어야 되기 때문에
암기력은 기본에다가 사고력과 논리력, 순발력, 글발이 총동원되어야 가능한 시험이에요.
물론 운발도 매우 중요. ^^5. ^^
'10.12.8 7:34 PM (211.173.xxx.116)열심히 하면 또 학벌에 상관없이 되는사람은 되더라고요,,
그러니,,학벌 넘 신경쓰지말고하는것도6. ^-^
'10.12.8 7:46 PM (112.159.xxx.63)그래도 사시는 매년 일정인원(1000명)을 뽑아주니 변수가 적은데, 임용은 해마다 선발인원이 다르니 어떤 해에는 "저런 애도 되네"했다가 요즘은 종종 "저런 애가 안되면 어떤 애가 되는 거야?"란 생각이 들게 하죠.
7. ....
'10.12.8 7:55 PM (114.206.xxx.134)사시와 임용.. 비교불가 시험이겠지요?
모든 학문이 기본적으로 암기할건 해야겠지만 사시는 일단 그 방대한 양에다가
기본암기 사고력과 법해석력.. 어렵고도 어려운 시험이겠지요...8. 지나다
'10.12.8 8:00 PM (125.188.xxx.44)대입공부량보다 10배 이상 많아요.1차만 해도요.글구 무조건 암기력만 보는 시험 아니더군요.이해해야 암기도 가능하고 종합적 통찰력이 요구되어 정말 어려워요.
9. ...
'10.12.8 8:29 PM (221.138.xxx.230)서점에서 심심하길래 민법책(기본서)를 한번 들여다 보니 페이지 수가 무려
2300페이지 되는 것도 있고 3000페이지 넘는 것도 있더군요.
책값도 60000만원이 훌쩍 넘고 .. 보기만 해도 기가 질려요.
이런 민법책을 50번~100번씩 읽는다지요. 보통..
그런데 이번 사시 최연소는 이 민법 기본서를 달랑 한번 읽었대요.
그리고 나서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했대요.
이런 공부 요령은 엄청난 행운이 따라줘야 성공하고요.
일반적인 경우는 엉덩이대로 간대요.
엉덩이를 의장에 붙이고 있는 시간수에 비례한다는 것이죠.10. ...
'10.12.8 8:32 PM (221.138.xxx.230)이렇게 어렵다보니 나이가 젊을수록 유리하죠.
올해 사시 2차 합격자에서도 만 35세 이상인 사람이 합격한 비율이 겨우 7% 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