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예단비..저같은 경우 있으신가요?
결혼할 때 제가 회사다니면서 모은 4천만원으로만 결혼했어요.
넉넉치 못한 집안형편에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했구요.
천만원은 혼수하고 천만원은 예단하고
2천만원은 집사는데 보태고 그렇게 썼어요.
친정 부모님은 예식비, 식대 등 쓰셨지만
손님도 많이 오셔서 아마 축의금으로 다 해결되지 않으셨을까 하구요.
저희 시부모님이 정말 좋으신 분들이라
제가 드린 천만원 예단을 친정 부모님께 모두 다 돌려주셨어요.
결혼식 전엔 신경 못 쓰고 있다가
결혼식 후에 정신 좀 차리고 여기저기 돈 나갈 데가 많아
친정 부모님께 그 예단비 부쳐달라고 말씀드렸더니..
그거 당연히 우리가 갖는 거 아니냐.
너가 결혼할 때 우리한테 준 돈 아니냐.
급기야 나중에 부모님이 울고불고 난리가 나셨어요.
한 번 준 돈을 뺏다니 이런 불효가 어디 있냐고...
저는 한 번도 드린다는 말씀 한 적 없구요.
예단 돌려받으면 당연히 제게 돌려주실 줄 알고 있었어요.
보통 절반 정도 돌려받던데 천만원 그대로 돌려받았다면
최소한 제게 한 마디 상의라도 하셔야 되는 게 아닌가요.
어쨋든 부모님이 너무 슬퍼하셔서 딸된 도리로
결국 그 돈은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딸이 힘들게 타지에서 직장생활하면서 몇 년 간 모은 목돈을
한 마디 상의도 없이 그렇게 가지고 싶으셨는지.. ㅠㅠ
결혼할 때 부모님께 돈 달라는 소리 한 번 한 적 없고
오로지 제 힘으로만 결혼했는데
취직하고 지금까지 10년 동안 한 달도 빠짐없이
꼬박꼬박 30-40만원씩 보내드리고
남동생 대학 입학 후부터 공무원 시험 준비하는 지금까지
생활비 40-50만원도 제가 꼬박 다 내고..
저희 부모님 사랑하고 존경하지만
성인이 된 이후 유일하게 부모님께 실망했던 사건입니다.
돈이란 게 참 무섭구나 하는 생각도 하구요.
안 좋은 일을 일부러 잘 잊는 편이에요.
일종의 방어기제죠. 이 일도 결혼 이후로 새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지금 생각하니 속이 많이 상하네요.
1. 당연하지요
'10.12.7 10:03 AM (58.225.xxx.57)돈에 대한 욕심이 아니라 ..........서운한 마음이지요 !!!!!!
가까운 특히 가족이고 또 부모일수록 서운한 마음은 아~~주 크지요2. ??
'10.12.7 10:04 AM (121.160.xxx.196)예단은 님이 시댁에 전달했을테네
시댁에서는 친정부모님께 직접 그 돈을 돌려드렸나봐요?
님이 중간에 받으셨으면 님이 그냥 가지면 되는거 아니었나요?3. ^^
'10.12.7 10:08 AM (112.172.xxx.99)힘든 일이었으리라 생각되요
남편에게 말 못하는 나만의 아픔 이런것
저도 친정 하면 뭔가 늘 아쉼이 있어요
그러려니 넘어가면 될것인데
그게 아니더라구요
늘 남동생만 생각하는 엄마
저도 그렇답니다4. 어휴~
'10.12.7 10:18 AM (220.76.xxx.58)정말 속상하셨겠어요. 제 3자가 봐도 원글님 부모님께서 너무 하셨다는 생각이 드네요.
5. 음..
'10.12.7 10:40 AM (220.72.xxx.8)그 돌려진 예단비가 오가는 시간차이에서 감정이 상하신듯해요..
부모님입장에선...님께서 돌려받은 예단비를 부모님께 드렸다면..우리에게 줬다고 생각하실수도.
님 입장에선..원글대로 충분히 이해가 되고요..
저도..제가 다 벌어서 결혼준비하고, 남은 돈(2천만원)은 다 친정에 드리고 온 사람인데요..
부모님이나 원글님이나..서로걸 뺏고자하는 마음이 아니였고,
단순한 오해로 시작된 감정싸움이니..
깊게 생각하지 마시고, 부모님이 그 돈에 대해서 힘들어하시면, 그냥 드리고 오심이..
좋을듯해요..
원글님 심정도 충분히 마음으로 이해됩니다..
하지만 편하게 좋게 드리고 오셔도 아깝지 않을분들이시니..
좋게 생각하시길..그리고 결혼하셔서 행복하시길 바래요^^6. 제이미
'10.12.7 10:47 AM (121.131.xxx.130)원글입니다.
예단을 제가 직접 드리면 이상하잖아요. ^^;
친정 부모님이 주시는 것으로 하려고 친정 부모님을 통해서 시부모님께 전달해 드렸구요.
당연히 시부모님은 다시 친정 부모님께 돌려주신 거구요.
친정 부모님은 거기서 스탑.. 저는 그 돈을 다시 돌려받지 못한 거랍니다.
벌써 5년도 넘은 오래된 얘기입니다.^^ 정말 다 잊고 있었는데
갑자기 생각이 났어요. 우리 부모님이 왜 그러셨을까 믿기지 않기도 하고...
아마 남동생 대학 등록금으로 쓰셨을 거에요. 목돈 들어가는 데가 거기라
29살에 아직도 공부하고 제가 혼자 뒷바라지해야 하는 남동생도 원망스럽고...
이번 주말에 부모님 결혼 기념일이라 태국 커플 맛사지 받게 해 드리려고 했는데
갑자기 그 일이 생각나서 열심히 준비하던 제 맘이 차갑게 식어버리네요..
그래도 다시 잊어버리고 변함없는 마음으로 부모님 대해야겠죠.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82에 풀어내고 나니 마음이 좀 편해졌어요. ^^7. ㅎㅎ
'10.12.7 10:48 AM (183.98.xxx.9)윗님 같은글이 등록안되던데...이상하네요.
참 아이러니한게 딸은 부모님 측은지심에 한푼이라도 아껴서 생각해드리면
남동생에겐 당하면서도 그래도 아들이더군요.
맹목적인 효도가 제일인지..부모 자식간이라고하나 어느정도 서로
생각하는 맘이 따라줘야 돈 드려도 뿌듯하지요.
딸 결혼시키면서 천만원 부모님이 내신것도 아니고
너가 결혼할 때 우리한테 준 돈 아니냐.
부모님이 울고불고 난리가 나셨어요--황당하네요!
님이 지금 생활도 못하는 처지면 부모님께선 과연?
지금 백만원정도는 친정에 들어가는군요. 님이 넉넉하시다면 모를까?
부모님 하시는 스탈로 봐선 어려워보여도 사실요량 나름 하시는 분들입니다.
남동생 그정도면 진작부터 스스로 벌어서 공부할 수 있어야하지 않나요?
그만하면 할만큼 하셨네요. 이왕 주던거..시험합격과 함께 그만 끝내세요.
남자형제 결혼해서 누나고 여동생 챙기는거 주변에서 본적 없는듯!
딸 결혼하는데 나름 성의표현도 못하고 돌아오는 예단비는 딸이 어렵게 모은
돈인거 알면서 당연히 가져가야된다는 생각갖는 분 계시다니
딸이 그냥 쓰시라고 드렸다면 몰라도... ㅏ ㅓ가 다른경우네요.
엄마는 집사는데 보태거나 비자금으로 니 갖고 있으라고 하고
딸은 그냥 엄마 쓰시라고 서로 하면 보기 좋은 모습이죠.
그래도 시부모님들이 넘 좋으신 분들이라니 넘 다행입니다8. 음..
'10.12.7 10:52 AM (220.72.xxx.8)결혼하신분이고, 예전일이시군요..
그리고 친정부모님께 직접 돈이 왔고요...
서운하셨겠어요..많이...
마음도 다치셨겠고요..
근데 친정부모님도..당신들을 위해서..그 돈을 탐(?)내신건 아니니
지금처럼 변함없이 대하시는게 좋을듯 싶어요..
참..저랑 비슷한 환경이시네요 ^^
그래도 우리 부모님은 건강하셔서, 병원신세 안지는걸로 전 많이 위로하고
산답니다^^9. ........
'10.12.7 11:09 AM (211.234.xxx.226)정말 너무너무 심하신 부모님이네요
솔직히 주는 자식 따로고, 받는 자식 따로인 법이랍니다
남동생 장가 갔나요? 아마 남동생에겐 퍼주실 겁니다.
그리고 딸이 벌어 돈 갖다주는거 아니랬어요
한국의 부모들은 딸은 용돈삼아 직장 생활하고
시집가면 어차피 남 가정위해 헌신하기 때문에
미혼때 효도하고 돈 주는걸 당연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고 하잖아요.
아들은 평생 부모 그늘이 되줄 것이므로
돈을 오히려 갖다 줘야 한다고 생각하고..
원글님이 부모님을 그리 만든 경향도 있지요
저희집도 보니 벌어다주는 자식은 당연히 그런걸로 알고
퍼다 쓰는 자식은 더 못줘서 안달입니다
부모 자식도 어디까지나 사람 관계에요.10. 헉~ 너무한데요
'10.12.7 11:29 AM (125.187.xxx.71)와우~~~ 부모님 너무 하셨네요. 어떻게 그러실수가....
원글님 정말... 너무너무 마음상하셨겠어요
하유~~~ 아들을 아직도 중히 여기시는 부모님이 계시더라구요
전... 첫딸은 밑천이다라던가? 모... 첫딸은 생활에 도움이된다는 식의 말이 있죠?
옛말이 이래서 새겼나봐요
아휴~~~ 원글님 하실만큼 하셨으니 이제 님부모님께 적당히 하세요
아들한테 효도받으라고 하세요
너무 과하게 효도하지 마시고.. 적당히 하시길 바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