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초등6학년 리터너 수학 어떻게 해야 하나요.

수학선생님께 조회수 : 611
작성일 : 2010-10-20 10:29:27
3학년 2학기에 나갔다가 2달 전 미국에서 돌아왔어요.돌아오자마자 중학선행과 6학년2학기 과외를 하고 있고 학습지도 하고요

차라리 국어는 잘하는데 수학은 정말 어찌해야 할 지

기본연산실수,문제를 이해 못하기도 하고

그냥 6학년 2학기 기본 심화정도는 90%정도 풀어내는데

중1선행은 힘들어하구요.

아이가 갈 중학교가 수학이 어렵기로 유명합니다.우열반이 있고 평균이 40-50점 정도

어떻게 해야 빨리 수학을 자리잡을까요?

아이는 돌아가고 싶어하지만

저는 한국아이 우리나라에서 키우고 싶은데 같은 학년 아이들이 너무 선행하고 있으니 갈 학원도 없네요.

남편 직장때문에 나갔다 왔는데 정말 미친 짓한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다 듭니다.

이제 다시 가면 기러기로 아이만 데리고 가야 하는데

어떻게 하면 한국학교에 적응할 수 있을까요?

영어 영어 하지만 수학이 안돼면 영어 잘하는 거 아무 소용없다는 말이 절실합니다.

아이가 돌아오기 전에는 전과목A였는데

갑자기 중간고사 점수에 놀라고 당황해하네요.







IP : 116.124.xxx.13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10.20 10:46 AM (59.31.xxx.176)

    윗분말씀처럼 기다려보심이..
    저흰 5년만에 귀국한 가정입니다. 큰아이가 중1이네요.
    올 2학기에 편입을 했구요.
    초등학교 성적에 너무 연연해 하지 마시구요..
    길게 생각하셔서 선행에 신경쓰기보다 아이의 수학 사고력 키우는것에 신경을 쓰세요.
    저희 아이 아직까지 학원 전혀 다니질 않고 외국에서 하던데로 지금까진 집에서 심화부분까지 공부를 하고 있어요. 어디에 있더라도 중심만 잃지 마세요...
    저도 고민을 할 당시에 이곳의 많은 분들이 하셨던 말씀 중에 잘하는 아이는 어디에 있던지 자기자리를 잘 찾는다라고요..
    저희 아이학교도 수학시험 상당히 어렵게 낸다고 하는데 그래도 90점 넘었습니다.
    원글님께서도 느긋하게 (힘드시겠지만)꾸준히 하던데로 진행하시면 좋은 결과 있으실겁니다.
    국어랑 사회가 오히려 시험을 치니 생각보다 어렵더군요.
    전 국어에 더 신경쓰겠습니다.
    힘내세요.

  • 2. 공부걱정
    '10.10.20 12:46 PM (118.34.xxx.247)

    모든 귀국학생들의 최대 고민이 바로 공부관련된 거지요.
    외국에선 웬만큼 성실하게 공부하면 좋은 성적 받는 데 별 어려움이 없는데,
    몇 년 있다 귀국하면 사정이 완전히 달라지니까요.
    저희도 5년만에 중1여름에 귀국한 경우입니다.
    귀국 전 6개월에서 1년 정도 한국인 수학샘 구해서 과외하고 왔는데요.
    6학년 때는 잘 하더니 중1과정 시작하면서 어려워하더라구요.
    어려서부터 수학을 워낙 좋아하고 잘 하던 녀석이라 별로 걱정을 안 했는데
    오랜 외국학교생활에 익숙해진 탓인지 중학수학은 잘 소화해내지 못했어요.
    그래서 제가 숙제를 도와주기도 하고
    결국 선생님을 한 명 더 구해서 중1과정을 다시 한번 다른 교재로 했습니다.
    그리고 중1여름 귀국했는데, 수학 점수가 영 신통치 않더라구요.
    또래에 비해 선행은 거의 안 되어있고, 심화도 부족하다보니 당연한 결과였다고 봅니다.
    당시 같은 학년 아이들의 수학실력이 쟁쟁했고
    수학올림피아드 금상도 두 명이나 나왔을 정도로
    이 학교 같은 학년 아이들 수준이 대단했어요.
    올림피아드 실적 전국6위였다고 들었습니다.
    이렇게 잘하는 친구들 속에서 같이 경쟁하다보니
    차츰 실력이 쑥쑥 늘어서 가장 잘하는 과목이 되었습니다.
    현재 고3이고, 수학은 전교 탑입니다.
    귀국 직전과 직후, 수학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문제의 핵심을 잘 파악하지 못하는 거였어요.
    심화문제의 경우 한국어로 된 문제를 잘 이해하지 못했던 거죠.
    이 문제는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학습량이 늘면서 해결되었어요.

    원글님 아이는 이제 귀국한 지 두 달밖에 안 되었으니
    너무 조급해마시고 여유를 갖고 기다려주세요.
    그리고 항상 아이가 수학에서 무엇이 문제인지 정확하게
    과외선생님께 알려달라고 하세요.
    그러면 선생님도 더 신경써서 봐주실겁니다.
    수학은 정말 꾸준하게 열심히, 그러면서도 지치지 않게 오래 해야 하는 과목이니
    아이에 맞게 잘 대처하셔야 합니다.
    문과든 이과든 대입은 수학이 결정하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중학교까지 잘하다 고등학교 가서 수학 때문에 무너지는 아이들 많이 봤거든요.
    수학공부는 장기전이다 생각하시고
    현재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부터 체크하시는 게 좋겠네요.
    힘내시구요.
    아이가 자신감 잃지 않고 잘 할 수 있도록 격려 많이 해주세요.

  • 3. 고맙습니다.
    '10.10.20 2:07 PM (116.124.xxx.135)

    좋은글들 ,따듯한 위로와 격려의 말씀 고맙습니다.
    저도 힘내고 좋은 엄마가 되도록 노력할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6911 주부들의 부업.. 재테크 재테크 2010/03/06 604
526910 빙초산으로 점빼시분 있나요? 11 빙초산으로 2010/03/06 1,561
526909 방과후 수업??? 수업 2010/03/06 322
526908 링귀니와 페투치네 면 굵기 좀 알려주세요. 8 파스타 2010/03/06 957
526907 cp비누 유통기한 늘리는 법 좀 알려주세요 5 궁금 2010/03/06 839
526906 고학년 영어숙제,학교공부,학원가기 등 시간이 너무 없지 않나요? 5 제가먼저지쳐.. 2010/03/06 959
526905 저도 교사입장에서 제 경험담 씁니다.학부모님들께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13 교사 2010/03/06 2,538
526904 토스영어숙제 궁금해 2010/03/06 530
526903 블랙베리폰, 해외에서 산 거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2 스마트폰 2010/03/06 1,730
526902 새우 삶은 물로 무슨 국을 끓이면 맛있나요? 4 알려주세요 2010/03/06 942
526901 친정 이사할때 뭘해주시나요? 3 도와주세요... 2010/03/06 491
526900 옹기수반에 열대어키우는법 알려주세요~^^ 6 궁금 2010/03/06 1,494
526899 판매점에서 휴대폰을 구입했는데 불쾌해서요... 2 친구 2010/03/06 497
526898 `민들레가족` 이드라마 은근히 재밌네요~~ 14 ^^ 2010/03/06 1,994
526897 삼청동 가게들 몇시쯤 오픈하나요? 2 궁금 2010/03/06 521
526896 영어해석좀 도와주세요 2 헬프미 2010/03/06 330
526895 현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이 몇%인지 궁금해요~ 1 궁금 2010/03/06 445
526894 죄송>82에 다음주중 이천->가락시장행 트럭 계실까요? 애플 2010/03/06 340
526893 미국서 사온 약이요. 6 나는나 2010/03/06 638
526892 쌍둥맘님들...알려주세요..ㅠ 4 엄마그리고여.. 2010/03/06 475
526891 꼭! 덧글 좀) 초등학교 4학년 올라가는 아이들 영어 수준이 어떤가요? 11 궁금해요 2010/03/06 1,615
526890 좌식의자 2 엄마 2010/03/06 313
526889 틴틴파이브의 청춘 가사가 공감.. 2 틴틴파이브 2010/03/06 572
526888 중학교 반장..엄마 힘든가요? 3 에고 2010/03/06 1,844
526887 한학년 낮춰 공부시키니 이해를 참 잘하네요 6 수학공부 2010/03/06 1,066
526886 진단평가? 4 초등맘 2010/03/06 528
526885 직장보다 영업일이 수입이 나은가요. 아래글 읽고 어떤 영업하.. 2010/03/06 247
526884 특기적성이요~ 3 초등 저학년.. 2010/03/06 270
526883 수 밖에? 수밖에? 28 물음이 2010/03/06 2,152
526882 주변에 뻥 잘치는 사람있으신가요? 9 괴로워요 2010/03/06 1,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