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9급 공무원 공부할까?
하늘에서 별따기라는 것 잘 알고요,
영어공부 오래전 일이라 막막하고요,국어도,국사도...다 마찬가지...ㅠ.ㅠ(행정은 아무것도 모름)
그냥 도전해 볼까 합니다!
근데 교육직은 컴활1급 자격증이 있으면 가산점이 1점 붙는다더군요
그것도 굉장히 힘든 거 맞죠?
고시촌에서 몇년씩 공부하고,머리 좋은 사람들도 되기 힘든 것을
아짐이공부 이제 시작해볼까하면 비웃는 사람도 많겠지요?
(나도 스스로 코웃음 날 지경)
9급 공부해보신 분들이나 합격해서 일하시는 분들 조언 듣고 싶어요
1. 아..
'10.10.9 10:02 AM (114.201.xxx.55)제가 현직 공무원인데요..몇가지 조언을 드리자면...
공무원 9급셤은 영어빼고는 기초가 전혀없어도(백지상태) 에서도 몇개월만 파면 합격권 점수로 충분히 따라 잡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격증 가산점은 필수 입니다..0.5점차로 당락이 결정되기 때문에...가산점이 없으면..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하는게 아니고..나만 더 뒤에서 출발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참고로 가산점을 위한 자격취득으로 컴활은 비추입니다..난이도에 비해 취득하기가 만만치 않습니다..차라리 정보관련 기사, 산업기사가 더 수월합니다..
저 수험생활 시절에는 "사무자동화산업기사"가 그나마 젤 수월한 필수 가산점 자격증(3점) 이었는데..지금은 가산점수가 변경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쟁률은 100:1 이라도 허수가 많아서 겁먹을꺼 없습니다..실제 합격권 점수로 공부한사람은 얼마 안됩니다...즉 실질경쟁률 10:1 정도라면...나와 실력이 같은 10명중에 내가 붙어야 한다는게 정말 어려운거죠...이경우는 너도나도 모르는 황당문제를 찍어서 누가 맞추느냐의 싸움이 되는경우가 많습니다..2. ++
'10.10.9 10:16 AM (125.191.xxx.63)조언 고맙습니당~
근데 머리가 좋으신가 봐요,말씀하신걸로 봐선 빨리 합격하신 듯...
일반행정직도 자격증가산점이 있는 건가요;;
제 현 상태에서는 기본과목공부만도 빠듯한데,
같이 공부해야 할 지...3. 음..
'10.10.9 10:44 AM (125.132.xxx.226)기초가 너무 없으면 조금 힘들게 공부 하실꺼 같긴한데.. 그래도 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으면 붙을 시험이예요.. 다만 9급은 나이가 너무 많다면 면접에서 조금 불리 할 수 있어요~ 작년인가 재작년에 신문에서 보니깐 9급은 이왕이면 좀 젊은 사람 뽑는 경향이 있다고 본거 같은데.. 그래도 실력만 있다면 나이는 크게 문제 될 건 없을듯해요~
윗분 말대로 시험이 허수가 좀 있지만... 합격 컷트라인 평균도 점점 올라가고 요즘 서울에 괜찮은학교 대학생들도 휴학해서 1~2년은 기본으로 잡고 공부하기 때문에 그만큼 열심히 한다는 각오로 하시면 좋은 결과 있을꺼예요~ 꾸준히 하루에 8시간 이상씩 공부하시고 자격증도 미리 따 놓으세요.. 행정직도 자격증가산점 있어요~~4. 헐...
'10.10.9 10:55 AM (122.128.xxx.7)저도 현직 공무원인데요.
공무원 9급 시험은 예전엔 영어만 수준이되면 1년안에 합격가능했지만...
갈수록 국어, 행정법 에서 난도 수준이 높아지고 있어요.
영어가 합격을 좌우하는 비중이 줄고 있어요.
교행이라면 영어, 행정법 특히 완벽해야해요. 교육학은 서울교행에서 임용수준급 난도이구요.
가산점 3점은 필수입니다. (제가 1점차로 함 떨어져봐서.. 1점 완전... ㅠ.ㅠ)
그리고 100:1 이라도 허수가 존재해도
실제 합격생들 80% 이상이 인서울대학과 지방 유명국립대 출신이었어요.
고졸 출신은 전무했구요.
저랑 면접스터디 같이 한 사람들 중대, 홍대, 동국대, 성신여대, 부산대 출신 이었구요..
이정도 수준의 대학졸업자도 우루루 9급 준비하는 세상입니다. ㅠ.ㅠ
이정도 수준의 젊은 졸업자들도 엄청 지원하는 마당에...
'그냥 지원해볼까합니다" ---> 이말은 돈과 시간 낭비임을 알려드려요.5. 봉사
'10.10.9 11:00 AM (116.41.xxx.180)점수도 비중이 있나요..
있다면 몇점부터 인가요..6. 가산점
'10.10.9 12:30 PM (125.191.xxx.34)줄어든다고 알고 있습니다.
0,5점인가 그렇다네요.(확실치 않으니 확인해 보세요)
1년 이내에 승부를 보실거라면 가산점 따지 않는 것 추천드려요.
서울교행 교육학이 임고 수준이라니;;;;;;;;;;;;;;;;;;;;;;;
실제로 임고생들은 교행의 교육학의 경우 목차만 읽어봐도 된다고 합니다. 그럴정도로 임고생들(공부 좀 한)에겐 완전히 쉽죠.
저도 임고도 했고 교행도 했는데 실제로 임고에서는 17점 이상(20점 만점에서)이면 정말 잘 본 거고 만점은 기대하기 어려운 점수이지만 교행 문제는 정말 실수 아니고서는 다 맞습니다.
그것도 10분 안에요.7. ,,
'10.10.9 12:45 PM (210.180.xxx.130)컴퓨터 자격증 점수 2011년부터 줄어드는거 맞아요.
워낙 기본으로 취득하니...
기본적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엉덩이.. 머리로 하는 공부 아니에요.
특출나게 똑똑하다는 친구들 금방 결과 안 나서 포기하곤 했지만, 우직하게 공부한 친구는 기간의 차이가 있을뿐 전원 5,7,9급 합격했어요. 밑빠진 항아리처럼 물 콸콸 붓고 시험치고, 떨어지면 또 물 콸콸 붓는 시험이에요. 그게 안 되고 학교공부하듯 자기 페이스대로 진도만 천천히 나가는 사람은 장수생 되기 십상이구요. 가장 빨리 붙었던 친구는, 시력 상할대로 상하고, 잠도 거의 하루걸러 자다시피 하고, 집에가는 버스, 가로등 불빛에서도 책을 봤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