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제사비용 얼마드리면 될까요..?
9월중순에도 추석이 있어서 아예 합쳐서 드리고 싶은데
얼마가 적당할까요..?
1년에 명절 2번, 제사 1번이 있어서 그때그때 제사비용을 드리는데
명절때는 따로 10만원정도 과일포함 선물을 드리기도 하는데
저희도 넉넉한 편이 아니어서 이전까지는 15만원정도 제사비용 드렸거든요
제사때는 형님네식구(시어머님포함) 5명 울집식구 4명 이렇고
추석에는 손님도 5명이내로 잘 오시지 않더라구요...
음식은 단촐하게 하는 편이고 물가가 많이 올랐는데
합쳐서 40만원 보내드리면 될까요..?
사정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82님들은 제사비용같은거 얼마쯤 드리나요..?
1. ...
'10.9.3 12:12 PM (61.74.xxx.63)저랑 같은 고민중이시네요. 저희도 명절 2번 제사 1번인데 저는 어머니한테 드리거든요.
이제까지는 20만원씩 드렸고 과일이나 고기 등의 다른 준비는 일절 안 했구요.
요즘 하도 물가도 오른데다가 이번에 태풍때문에 제수용품값이 장난 아닐거라는 뉴스 보니까 이번부터 30씩 드려야 하나 아님 그냥 하던데로 해야 하나 생각중이에요.2. .
'10.9.3 12:27 PM (211.115.xxx.210)저희는 명절 2번 제사 4번인데 명절때는 20만원씩, 제사때는 10만원씩 드립니다.
거기에 매달 용돈 50만원까지 드리기 때문에 물가따라 올려드리긴 힘드네요.3. 제사
'10.9.3 12:49 PM (219.241.xxx.136)제사 아니고 추도예배를 드려 저녁만 간단히 먹을 경우는
얼마나 드려야 할까요? 저도 궁금하네요.4. 점두개님
'10.9.3 1:08 PM (125.180.xxx.29)얼굴두꺼운대회1등은 우리형님이네요
점두개님 동서는 한참 밀립니다
우리형님 교회다닌다고 제사못지낸다고 부모님살아생전에 반란을 일으켜서 차남인 우리집에 왔는데(부모님이 뒤로 넘어가서 저희가 안받을수없었어요)
사실 그충격으로 연세가 많긴했지만...시아버지 그해에 돌아가셨어요
부모님 살아생전에는 빈손으로 제사지낸후 점심때와서 밥먹고가고 (자기네가 제사없애려고했는데 동생이 자기말안듣고 부모님말 들었다는 항의였지요)
부모님돌아가신후 제사때 돈은커녕 전화도 안하고 남처럼 산답니다
지금은 미국이민을가서 그꼴안보는것만으로도 살것 같더군요
점두개님 동서보다 더 막강하지요?5. 제사비용
'10.9.3 1:13 PM (175.112.xxx.36)보통 40만원정도 듭니다 수요일이 제사였어요 저희도 손님 많아야 10명(우리가족 포함) ..반정도는 부담하셔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저흰 단한푼도 보태는 형제가 없어서 원글님 고운 마음씨가 참이뻐 보입니다..
6. w
'10.9.3 1:23 PM (124.54.xxx.18)저는 남편 혼자 외동인데 제사 때 시어머니께 10만원 드립니다.
넘 작나요? 제사비용 40이라니 후덜덜..
시고모님 오셔서 10만원 드리는데 솔직히 부담입니다.
시고모님 용돈 안 드렸다고 시어머니한테 한번 혼난 적 있거든요.결국 20만원.
친정엄마가 제사비용 꼭 챙겨드리라 당부하셔서 결혼하고 드리는데,
정작 울 엄마는 새언니한테 안 받던데요.언니도 주는지 모르던데..
제가 나서서 말하려다 말아요.멀어서 명절 빼곤 제사때 오기도 힘드니깐.
문제는 제 남동생이 결혼하고 나면 이게 어찌 될 것인지(형님은 안 하는데 동서가 왜..라고
나오면 난감) 조금 걱정 되긴 합니다.저야 모르는 척 하는게 답이지만요.7. 40
'10.9.3 1:42 PM (211.115.xxx.210)윗님, 원글님이 말씀하신 40은 명절 2번에 제사 1번을 합해서 40만원 드리겠다는 뜻인것 같은데요...
8. 근데
'10.9.3 2:13 PM (175.119.xxx.185)음식을 단촐하게 하든, 식구가 몇명 안되든
그게 문제가 아니구요
제사나 명절차례상 준비하는 자체가 큰일이지요.
그리고 내집에서 손님을 치러야 하는 자체가요..
장보고, 썰고 볶고 닦고
그런 행위들이 얼마나 힘들고 복잡한가를 생각해야지
단순히 장보는데 얼마 들겠다,,, 이런 계산은 아니라고 봐요.
입장 바꿔서 동서가 내가 주는만큼의 비용을 나에게 주면
내가 그일 다하겠다,,, 이런 생각이 든다면 그만큼의 비용을 주면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생각한거 보다 10만원이라도 더 드리면 좋을거 같아요.
사실, 돈만 주는게 가장 쉬운거잖아요.9. 부럽다
'10.9.3 6:11 PM (125.186.xxx.6)이런 동서 갖고 싶네요.
우리 동서 결혼 15년 됐는데 일절 돈 없습니다.
제사때는 전만 붙여오고 끝...
(전도 상에 놓을 만큼 딸랑 3종류.장보고 나머지 음식은 몽땅 내가...)
명절때는 사과, 배 한 상자씩 사오면 끝...
그러면서 남은 과일도 다시 가져가고 싶은 티를 마구 내요 ㅋㅋ10. 왕
'10.9.3 8:12 PM (123.199.xxx.178)이런글볼때마다...화나요....!!큰며느리입장에서요
시동생,동서나머지 친척들도 다~~뭐돈주는데...이런생각합니다.
저도 결혼하고 제사 2번지냈는데 단순히 장보는비용만(최대한 간단하게한다고해서한게)30만원정도 들었어요. 나머지 양념이니 집에 있었던 재료들 이런건 생각도 안하고...
덥고 추은데 무거운 장바구니들고...생선이나 해산물들은 냄새까지...
장보고 재료손질까지 다해놓고.....
또 집에 손님오기전에 이불빨래부터 시작해서 집안청소 하는일
아무리 다른식구들이 도와준다고 해도 가고 나서 그릇정리며 이불빨래며......
또청소.....
단순히 장보는데 얼마드니깐 얼마드린다.....이런단순한 생각은 안하셨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