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칠순.....다들 어떻게 하시;고, 예산 얼마나 하셨나요?

에효 조회수 : 1,708
작성일 : 2010-08-28 09:15:37
칠순계획으로 형제계를 하지고 해서 (제 아이디어...목돈이 다들 부담스럽잖아요.) 월 5만원씩 모았습니다. 5남매
니까 1달이면 25만원씩 모은게 다음주 칠순하려는데, 800만원이 모였답니다.(돈관리는 둘째시누)
원래 잔치하시고 싶으시다던 시모께서 몸도 안좋고 그러시다면서 잔치같은거 안한다고 여행도 안가신다고하십니다.
대신 추석끝나고 건강검진 하신다고 하셔요..( 작년에 저희 신랑회사에서 저 받으라는 건강검진을 어머님받으시게 해드렸는데, 별로 맘에 안들어하신거같아요...한 50만원 정도 비용이 드는건데도...아주 고급사양의 건강검진을 하실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큰동서가 모은 돈에서 500정도는 드리고, 나머지로 건강검진해드리고, 식당에서 가족끼리 식사하고 가까은 펜션에 가서 가족끼리 시간을 보내자고 그래서 좋다고 했는데, 어머님이 펜션에 가서 자는것도 싫다고 해서 어찌할까 하고 있었는데요.

큰시누는 1000원맞춰드리자고, 둘재는 500드리고 나머지로 건강검진시켜드리자고, 막내는 모여진 800다 드리고 그 돈에서 건강검진을 하시게 하지고 하더니, 다시 1000원을 맞춰드리자고 하네요.

근데, 시누들이 1000만원을 맞춰드리자고 (n/1)하는데, 막내시누네는 형편이 어려우니 빼주고  n/1하고, 가족식사도 하고 펜션도 가자고 그 비용은 아들둘이 다 내면 좋겠다고 합니다.

1000만원을 맞춰서 용돈을로 드릴려면 n/1한 50만원에 펜션비랑 식사비는 큰동서랑 2/1(얼마나 나올지...)
하면 목돈드는거 부담스러워서 계한게 의미가 없어지네요...
1000원맞추는것도 식사비, 펜션비도 n/1하지면 며느리가 너무 하는건가요?
아무리 생각해도 용돈을 칠순에 1000원이나 하는게 너무 크게하는거 같은데 아닌가요?
올해부터 월급도 50만원정도 줄어서 다달이 마이너스가계부인데요...부담되네요.
식구수가애들까지 다하면 23명입니다.펜션은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용돈을 얼마를 드리는게 보통의 경우인가요?
IP : 219.248.xxx.20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흰
    '10.8.28 9:29 AM (121.153.xxx.208)

    저희는 아버지칠순때 아버지형제만모시고 밥한기했고요.
    4형제가 일철만원만들어 통장에 넣어드렸어요,
    부모가 수입도없고 언제 큰돈해드리겠어요.
    부모가 수입이있으면 그냥 800에서 해결해도좋을듯요.

  • 2. 저희는
    '10.8.28 9:33 AM (221.138.xxx.105)

    팬션가서 하루 자고요..
    엄마 아버지는 옷가방만 간단히 들고오시고요...
    언니와 제가 모든것을 다 준비했어요..( 먹거리.. 코스... 예약.. 뭐 등등 경비..)

    생신에는 워커힐에서 식사하고요..(직계가족만..)

    용돈으로는 아버지 300만원( 아버지 생신이니까..) 엄마 100만원 ( 엄마는 그냥 계시기 섭섭하므로...) 이렇게 드렸네요...

    1000만원을 맞춰드리는것보다 모은돈에서 하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부담이 되시니깐....

  • 3. 모은돈
    '10.8.28 10:09 AM (121.146.xxx.59)

    목돈 부담스러울까봐 계모임 하면서 모았는데.모인 한도내에서 하는게 좋을것 같은데요.
    그러면 원글님 말씀마따나 계 한 의미가 없잖아요.
    저희도 친정어머니 칠순이 다음주인데 크게 준비하는것 없어요.
    한정식 식당에서 서로 얼굴보고 바쁜사람들은 일터로 가기로 했어요.
    돈이 좋다고는 하지만 그 액수는 각자 형편에 따라 드리고요.
    부모입장에서는 백만원주는자식이나 형편이 어려워 못주는 자식이나 애뜻한 마음가는건 똑같아 보이더라고요.오히려 못사는 자식을 더 안타까워 하지요.
    저는 사는형편이 형제중에 젤 나은편이라서 좀 낫게 드리는데
    못사는 동생보면 이럴때 동생마음이 얼마나 고달플까 애처러워요.

  • 4. 모은 돈에서
    '10.8.28 10:40 AM (121.166.xxx.162)

    다 해결하도록 하세요.

    부모님이 한 분만 계신 것도 아닐테고,,,
    다들(형제분들) 시댁,친정...양가에 부모님들 계실텐데,
    다른 부모님들(원글님 친정부모님) 칠순에도 그렇게 하실건가요?(형평성이 있어야죠)

    모은 돈에서 하는게 좀 빠듯하다 싶으면, 대략 한 집에서 200만원 내는 걸로 하시고(모은 돈 포함),
    부족한 돈 만큼만 다같이 1/n로 채워놓고, 식사,펜션, 건강검진,용돈.. 다 해결하도록 하세요.

    만약, 남편이 원글님네가 더 내길 원한다면,,,친정부모님께도 똑같이 해드려야할텐데, 감당할 자신있느냐고 대놓고 얘기해보세요.

    시누들이 얘기하는 부분에 대해선, 구구절절 얘기할 것 없이,,
    형편이 안되어 어려우니, 형님들 형편 되시면, 되시는 분들이 좀 더 내시라고 딱 잘라 얘기하세요.

    웃기는게,,자신은 돈 더 낼 생각도 안하면서,
    남의 형편은 고려하지도않고, 너희가 돈 더내라 하는 사람들...정말 웃깁니다....
    내고 싶으면 자기가 낼 것이지, 누가 말립니까?

  • 5. 잠시..
    '10.8.28 10:42 AM (110.10.xxx.53)

    1/n로...

  • 6. ..
    '10.8.28 11:02 AM (121.135.xxx.171)

    저두요..남보고 내라마라 하는사람들 웃기네요
    결정적으로 자기는 안낼거라고 말하면서요.
    뻔뻔해도 어떻게 저렇게 뻔뻔할수있는지.

    800만원 내에서 건강검진하시고
    식사한번 하시고 멋지게 사진촬영하세요.

    건강검진을 너무 비싸지 않은걸로 하셔도 될것 같긴한데...
    비싼건 입원비랑 기타 럭셔리한 대접비용이 많이 드는것 같더라구요.

  • 7. 젓갈
    '10.8.28 11:17 AM (180.70.xxx.223)

    모은돈 한도내에서 하자고 하시는데 한표! 입니다.
    아주 강력히 주장 하세요
    이유는 윗분들께서 말씀 하셨으니 저는 그만..^^
    혹여라도 원글님 마음 약해지셔서 큰시누님 의견에 동의 하실까봐
    로그인 했어요

  • 8. ^^
    '10.8.28 11:25 AM (210.96.xxx.217)

    직계만 신라가서 식사했구요. 식사대는 4:4:3으로 나눠서 냈어요.
    아빠가 차사고 싶다고 해서 형제당 천만원씩 총3천해드렸어요.
    큰올케언니가 앞장서서 해줘서 고마웠어요.

  • 9. .
    '10.8.28 11:28 AM (121.136.xxx.199)

    모은 돈 내에서 모든 것을 처리해야죠. 모자란 돈을 아들들이 부담하라고 하면
    목돈 안들이려고 돈 모은 의미가 없잖아요. 모은 돈 내에서 처리하고요.
    한발 양보한다면 아들 둘이 식사 한끼씩 정도만 비용 부담해주면 될 것 같은데요...

  • 10. ..
    '10.8.28 12:04 PM (110.14.xxx.110)

    되도록 그 안에서 하자 하세요
    그리고 이제 앞으론 나이드시면 돈 들어갈 일 많아요
    저같음 500 정도내에서 쓰고 나머진 나중을 위해 두고 더 모으자 할거 같아요
    매년 검진에 병원비에 그러다 큰 병이라도 나면 몫돈들고...

  • 11. 지난주 칠순했음
    '10.8.28 1:15 PM (211.211.xxx.171)

    저흰지난주에 칠순했습니다 시아버지..여기 82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모이는곳이라서 딱히 이집 저집 얼마했는지 보다는 집안의 분위기나 살림살이마다 다르겠지요..

    저희 칠순때문에 제가 결혼하던해 부터(4남매이고제가 맏며느리이며 9년되었습니다) 다달이 조금씩 모았습니다. 첨엔 3만원하다가 5만원으로 인상했어요..

    그리고 다달이 모으는 돈으로 일년에 부모님생신이나 어버이날 식사하는것 돈 내고 두분 보험료다달이 나갑니다..그리고 몇년전에 해외여행 가고싶다고 하셔서 두분 보내드렸구요 용돈은 각자 집에서 알아서 냈습니다 여행경비가 저희가 해드리고 이번 칠순엔 일가 친척분 모시고 한정식집에서 밥 한끼먹으면서 칠순 상차리는것은 시누이가 장보고 해서 며느리셋과 시누이가 가서

    상차렸습니다..맡기면 돈이 비싸다고 해서 시누이가 굳이 자신이 장보겠다고 하여 그리했구요 식다비용빼고 답례품과 상차리는 비용으론 60만원정도 들었네요..

    한정식에서 일인당 25000원 식사했구요...그리고 용돈은 4남매 모두 각자 알아서 용돈준비하라고 했습니다..

    다들 자기 집 형편에 맞게 하라고했습니다..저희도 그리 했구요..
    천만원 해주시는 집도 있고 하신데 저희 그리 잘살지도 못하는 평범한 집이라 그만큼은 못해드렸습니다..

    집집마다 100만원씩 총 400해드렸구 나머지 식사비용과 상차리는것 답례품등은 형제곗돈으로충당했습니다..저흰 곗돈이500정도 있었구요 몇해전에 여행경비 드리느라 돈이 좀 줄었네요 ^^ 다달이 부모님 보험료나가는것도있고, 해마다 몇번씩 가족모임 식사비용도 거기서 해결해야 해서 돈이 좀 남아있습니다.

    이번 집집마다 용돈은 알아서 준비하라고 했는데, 다들 입맞춘듯 100만원 해와서 웃었네요...시누이는 맞벌이(시부모님이 시누이애둘 봐주고 계시고) 저도 맞벌이지만 그닥 많이 벌진 못하는 맞벌이(둘이 벌어도 남들 외벌이 정도맊에 안됨) 밑에 동서 둘이는 외벌이라 100만원도 정말 힘들게 마련한겁니다...아이들이 다들 초등학생 유치원생이라서...

    집집마다 경제력도 다르고 분위기도 다르니 모인 돈에서 해결하시는것도 괜찮네요...쪼달려 가면서 할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칠순이라고는 하시지만 정정하실터인데, 나중에 더 큰돈들어갈 때도 있을것이고 두분중에 한분 더 칠순잔치 하셔야 할거 같은데.....

    집안사정에 맞추어서 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2281 마트에 석류가 있어서 사왔는데요. 4 열음맘 2009/11/23 499
502280 장터에 파는 김장김치 추천해주세요~ 장터에 2009/11/23 236
502279 살돋에 최저가 게시물에 나온 교보문고 아기책... 궁금이 2009/11/23 574
502278 해외에 장기간 나갈때 의외로 요긴한것 추천이요. 16 빵순이 2009/11/23 1,162
502277 고모님과 김장김치~~ 4 열~무 2009/11/23 790
502276 기말 시험으로 예체능과외 연기를 할 때'''. 1 초등맘 2009/11/23 297
502275 초4 딸아이가 성인 남녀 알몸에 관심이 부쩍 늘었어요. 2 ch4 2009/11/23 1,833
502274 시부모님을 모시고 살수는 없는 나 23 큰며느리 2009/11/23 7,450
502273 '그대 웃어요'에서요.. 7 궁금해요 2009/11/23 952
502272 초2 아들이 자전거를 잃어버리고 왔어요-.- 3 속상해서 2009/11/23 352
502271 의료보험 세금이 줄줄 새는현장 목격.. 3 세금이줄줄~.. 2009/11/23 438
502270 소불고기감을 삶아버렸어요 8 어쩌죠.. 2009/11/23 643
502269 생후 2주된 신생아와 국내선 타도 될까요? 7 집 사고 싶.. 2009/11/23 624
502268 꺄아아아악~~ 무조건 본방사수닷!!!!!!! 9 2009/11/23 1,899
502267 예비고1 영어학원 추천요.. 3 분당맘 2009/11/23 1,259
502266 목동 몇단지? 3 알려주세요 2009/11/23 786
502265 비염에 삼부콜 정말 효과 4 있나여? 2009/11/23 981
502264 김장에 굴 넣을까요?^^ 5 아줌마 2009/11/23 753
502263 오늘 저녁 뭐해 드실거에요? 7 .. 2009/11/23 738
502262 토욜에 한 김치 택배로 김장택배 2009/11/23 288
502261 김장김치 들고 비행기 탈려고 하는데.. 아이디어좀 주세요.. 7 ^^ 2009/11/23 1,798
502260 외국국적으로 국내 살면서 잘난척 하는 분들 정말 보기 싫습니다. 18 한국인 2009/11/23 3,365
502259 카드로 결제 가능한가요? 7 대학등록금 2009/11/23 540
502258 방배동 이사가는데...소아과 어디로 가야 할지요? 3 소아과 2009/11/23 687
502257 망쳐버린 결혼 30주년 장가계 가족여행 구제방안 좀 알려주세요. 4 도와주세요 2009/11/23 970
502256 [곰보배추] 라고 아세요??? 3 약에쓸거래요.. 2009/11/23 553
502255 친구단체여행 여행 2009/11/23 245
502254 김치에 사골국물.... 8 김장 2009/11/23 1,031
502253 진짜 신기한 세안제 5 .. 2009/11/23 1,512
502252 정말 내 자신이 싫다 5 이 오지랖 2009/11/23 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