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침대 이불 개어 놓는 분 계세요?

이불 조회수 : 2,435
작성일 : 2010-08-27 09:35:07
매일은 아니어도 이틀에 한번 정도 이불이랑 패드 먼지 털어서 햇볕에 잠깐 말렸다가
다시 쫙 깔아 놓거든요.

어제 이웃집에 갔다가 그 집 안방을 들여다 보게 됐어요.
텔레비전을 안방으로 옮겼다면서 그 집에 차 마시러 간 엄마들이랑
그 집 엄마랑 같이 안방을 다들 잠깐씩 봤죠.

그 집 엄마가 부지런하면서 참 깔끔하거든요. 하루에 두번 걸레질 하고
매일 걸레 삶고(혹 다 이러는 건 아니겠죠?)
선풍기 일주일에 한번씩 해체해서 닦아주고...

근데 침대 이불이 개켜져 있는 거예요..
이불 털어서 매일 개어 놓았다가 잘 때 편다고 하더라구요.

자면서 사람한테 땀도 나고 하는데 그걸 덮어두려니 찝찝하다구...

맞는 말 같은데 펼쳐 놓는게 훨씬 이뻐보이고
침대 사용 장점 중의 하나가 이불 안개는 건데...(제 기준에서요)
그냥 이불 펴놓고 베개만 제 위치에 갖다 놓으면
침구 정리 끝이잖아요.

근데 이불을 개어놓는게 더 위생적이겠죠?
이참에 저도 한번 개어놓아볼까... 그러고 있습니다.
IP : 121.136.xxx.91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예전`
    '10.8.27 9:38 AM (183.102.xxx.165)

    82에도 올라왔던 주제였는데
    자는 동안 사람의 땀이 침구에 다 뭍어있는데 그걸 개켜두면 땀이 마르지 않아서
    불결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어요.
    근데 전 또 그걸 그냥 덮어두면 오히려 더 세균이 번식할거 같구요.
    적당히 어디 걸어서 반나절 정도 말리다가 개켜서 두면 좋을거 같아요.

  • 2. *^*
    '10.8.27 9:40 AM (110.10.xxx.214)

    저는 침대패드, 베게는 롤테이프로 먼지 제거하고 이불은 세로로만 3단으로 예쁘게 접어서 침대 끝부분에 놔둬요....
    그럼 잠 잘때 이불 끝부분 잡아당기면 확 펼쳐지면서 덮고 자면 되도록이요....
    (설명을 잘 못하겠네요 --:;)

  • 3. 아린아빠
    '10.8.27 9:41 AM (121.135.xxx.178)

    전 그냥 자고 일어난 상태로 냅둬요^^;; 뭐 귀차니즘 때문에 그렇죠 ㅎㅎ

  • 4. .
    '10.8.27 9:42 AM (211.224.xxx.24)

    개어 놔야 된다고 들었는데요. 윗분 말처럼 사람몸에서 수분이 나와서 이불에 흡수되는데 낮에 그냥 놔두면 세균번식한다고. 저희집도 아침에 일어나면 다 개어놔요

  • 5. o0o
    '10.8.27 9:42 AM (180.224.xxx.30)

    저도 매일 아침 이불 탈탈 털어서 먼지털고 개어놓아요.

  • 6. ...
    '10.8.27 9:50 AM (119.71.xxx.191)

    개어놓지 말래요...개어놓으면 사람의 수분이 날라갈 틈이 없어진다고...일부러 쫙 펴놓으라고 하던데요...그런면에서 침대가 더 위생적이라고요..
    바닥에 요깔고 주무시는 분들은 매일 개서 장농에 넣어놓게 되는데 이러면 정기적으로 꺼내서
    햇볕에 널어 말려주어야한다고요...매일 개놔서 수분이 날라가지 않고 계속 이불에 머물게 되서 그렇다네요..
    매일 침대 이불 탈탈 털어서 잘 펴놓는게 정답이랍니다..
    머리쪽을 살짝 접어서 열어놓으면 더 좋겠지요..

  • 7. 지은맘
    '10.8.27 9:56 AM (175.194.xxx.120)

    저도 쫘~악 펴놓아여...날좋음 베란다에도 널어두고요...선풍기는 10일에 한번씩 닦고요 걸레 삶는건 아주 가끔씩..ㅋㅋ...위글에 말씀하신분 정말 부지런하시네여...

  • 8.
    '10.8.27 9:57 AM (112.158.xxx.16)

    청소하기전에 베게, 이불 모두 탈탈 털어서 이불걸이라고 있어요..
    나무봉으로 된 기다란 옷걸이처럼 생겼는데.. 거기다가 두번 접어 길이방향으로 걸쳐둬요.
    그러고 잘때 다시 덮고.. 이불을 길게..이쁘게 펼쳐두는건 새이불 샀을때 한번 그래보고요^;;;;
    남편이나 저나 머리기름에 땀이 작렬이라 그 위에 다시 깐다는거슨..
    생각도 못해봤어요 -.-

  • 9. ...
    '10.8.27 10:03 AM (119.71.xxx.30)

    저도 그냥 둘 때가 많아요...
    근데 이불은 따로 빨댓대에 좀 알려서 개든 펴든 두고 침대 매트는 이불 없이 두는게 살짝 건조도 되고 더 좋을 것 같아요

  • 10. .
    '10.8.27 10:06 AM (121.135.xxx.221)

    어디다 터시는지... 참 부럽네요. 저는 털데가 없어서 고민인데...

  • 11. 가끔
    '10.8.27 10:22 AM (59.18.xxx.209)

    전 이불 가끔 털어서 접어놓고요 침대시트 말려요 그리구 베개는 배란다가 항시 햇빛이들기때문에 항상 말려쓰고있어요 남편이 땀이 너무많아서 베개다 말이 아니에요~~

  • 12. ㅎㅎ
    '10.8.27 10:22 AM (61.106.xxx.34)

    침대 마르라고 이불은 건조대에 걸어놨었죠.
    요즘은 수건들이 건조대를 점령해서 평소엔 *^*님처럼 발끝 쪽에 길게 접어놓고
    가끔 건조대 비는 날만 이불 널어놔요.

  • 13. 티비에서
    '10.8.27 10:23 AM (58.65.xxx.2)

    개어 나야 한다고 했어요.. 첫번째 분 말씀처럼 전문가가 그렇게 말씀하데요..
    매일 털어서 햇빛에 바짝 말리는게 제일 좋을것 같지만.. 귀차니즘 때문에 하기 힘들겠죠.

  • 14. ㅎㅎㅎ
    '10.8.27 10:32 AM (180.71.xxx.214)

    윗에 어느 분처럼 3단으로 접어요. 한쪽 끝을 잡아 당기면 좌악 펴지게요.
    이불 생활에 익숙해선지 아무리 침대위라도 이불이 좍 펴져있는거 보기가 너무 싫어서요.ㅎㅎㅎ

  • 15. 바리벼리
    '10.8.27 11:59 AM (211.253.xxx.235)

    얼마전 티비에서 개어나야한다고 했어요.. 베게도 세워나야한다고요..

  • 16. sj
    '10.8.27 12:40 PM (210.139.xxx.41)

    베란다에 나가면, 매일 아침 이불을 햇볕에 말리시는 가정이 있습니다.~^^ 6시30에 일어났었거든요 도대체 몇시에 일어나서--;;;

  • 17. 아이셋
    '10.8.27 2:17 PM (58.125.xxx.27)

    키우면서 비오는만 빼고 매일아침 2층난간에 잘때 나왔던 이불들을 쫙 널어 말린답니다
    전 그릇 수저 삶고 빨래삶고 그런건 잘안하지만 침구는 매일 그렇게 관리했어요
    아침마다 깔던 이불을 털면 먼지가 얼마나 날리는지 ...저 그거 보구 하루라도 이불 안털면 불안하더라구요 비가 오는날은 비가 살짝 멈추었을때 얼른 털면되구요 ㅎㅎ
    베개랑아이들 인형도 햇살에 말리면 좋아요 배개는 방망이로 두드려서 먼지 다 날리구요
    매일 하는일이라 햇살아래 이런거 하면 기분이 좋아져요
    햇살이 너무 아깝잖아요 ㅎ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1865 PD수첩 폐지촉구 기자회견 22 나라사랑 2009/11/06 587
501864 '정직한 목격자' 운운하며 국민 기롱(欺弄) 하는 'MBC PD수첩' 즉각 폐지!!.. 10 노진환 2009/11/06 463
501863 이게 바로 국산콩의 위력? 3 청국장 2009/11/06 806
501862 밍크 수선 직접 할 수는 없을까요? 3 떨고있는 경.. 2009/11/06 658
501861 영어동화책 무점포대여점이라는 것이 전망이 어떤가요? 영어동화 2009/11/06 429
501860 맘 약하신 분들은 클릭금지 (혐짤있어요..-.-;) 5 짜증나 2009/11/06 684
501859 동아리에서 여행을 갔는데 친구의 스승님이 친구에게는 불이 들고 저에게는 물이 들었다라고.... 5 2009/11/06 1,197
501858 ...그런데 아무도 고소영에겐 진위 여부를 안 묻네요?? 4 고소영굴욕?.. 2009/11/06 958
501857 고기를 잰다는게 뭘까요..? 2 박여사 2009/11/06 356
501856 고소영씨도 대단하지 않았나요? 31 어울려요 2009/11/06 11,898
501855 지금 전세들어올 사람들이 울집에 왔는데... 13 참내.. 2009/11/06 1,973
501854 너무 싼 김치 괜찮을까요? 15 2009/11/06 822
501853 그리 많이 자나요? 17 중학생들 2009/11/06 919
501852 [김어준의 그까이꺼 아나토미] 이별, 그리고 ‘빤스 고무줄’ 8 세우실 2009/11/06 1,120
501851 여자아이 키우기 힘드네요 조언 부탁드려요 10 .. 2009/11/06 1,083
501850 자존감이 떨어진다는 말 -듣기에 어떠세요? 9 quffh 2009/11/06 1,351
501849 플루 항체검사 어디서 하나요? 2 플루 2009/11/06 582
501848 죄송여기갸댓글이빨라서 수육 얼마나 5 gg 2009/11/06 318
501847 김희선 정동영,유시민,신기남의 애비.. 18 ... 2009/11/06 1,638
501846 제시카**에서 식사중 돌을 씹어 어금니가 나갔어요ㅠㅠ 5 속상해 2009/11/06 1,077
501845 장동건 고소영에겐 미안하지만 5 내생각은 2009/11/06 1,559
501844 신랑이 굴만먹으면 설사를해요 4 2009/11/06 1,400
501843 신종확정이후... 1 신종플루.... 2009/11/06 475
501842 18개월 여자아가 단행본 사고 싶어요! 7 도치엄마 2009/11/06 886
501841 비자신청시, 가족관계 반드시 공증받아야 할까요? 1 단풍 2009/11/06 288
501840 밍크도로스분,,,ㅠㅠ 11 밍크 2009/11/06 2,774
501839 마음에 맞는 가사도우미 만나기 너무 어렵네요.. 7 2009/11/06 1,013
501838 남친과의 문제... 13 휴.. 2009/11/06 1,496
501837 재수생 수능 도시락.. 메뉴좀.. 7 질문 2009/11/06 927
501836 정수기 이사갈 때 분리하는 거 직접 해도 될까요? 4 정수기 이전.. 2009/11/06 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