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EBS방영 김기영 감독의 <하녀> 보셨나요? (스포 약간 있음)
말로만 듣던 김기영 감독의 <하녀>를 봤어요.
약간 맹해보이면서도 욕심많은(?) 하녀 역의 이은심...
맹랑하고, 자기표현에 거침없는 엄앵란...
현실적이고, 헌실적인 아내...
낙태를 당한 하녀의 복수에 의해 쥐약이 든 물을 마시고 죽는 아들역의 <안성기>
중간중간 영어 자막도 보이고, 아기가 깰까봐 볼륨을 제일 작게 해놓고 봐서...
중간중간 내용 파악이 제대로 안되긴 했지만...
명예욕과 물욕에 빠진 사람들...
피아노로 대변되는 중산층의 삶에 도달하고 싶은 음악강사와 여공출신의 하녀...
한 순간의 욕정으로 인해서, 사랑하는 가족과 비극을 맞게 되는 가장...
영화를 보는 내내 제가 느낀 감정은 일은 남녀 모두가 벌였는데, 왜 가장은 왜 저리 당당한지?
왜 가족의 죽음을 감수하면서도, 하녀를 내쫒지 못하고, 그녀의 악행(?)에 이끌리는 것인지?
걷지 못하는 딸에게 선물한 쳇바퀴 도는 다람쥐처럼 아무리 발버둥쳐도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인 것인지?
마지막 장면에서 비극적인 음독동반 자살로 끝나는가? 싶더니만...
남편이 아내에게 신문의 내용을 읽어주면서, 액자식으로 끝맺으면서 남자는 원래 늑대본성이 조심하라는
웬 계몽적인(?) 결말을 맺는 것인지? 검열에 대한 안전막이인 것인지?
맨 마지막 장면은 좀 깬다(?)는 느낌이지만, 60년대의 영화치곤 정말 천재적인 영화라는 생각도 들었네요.
디지털 복원을 했다하니, 시간되시는 분은 한번 쯤 보셔도 좋을 영화인듯합니다.
1. 음..
'10.8.2 9:46 AM (123.98.xxx.39)검열때문에 마지막 장면을 바꾸었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하녀 보면서 60년대 영화치고는 너무 스토리를 잘 풀어나가서
지루한지 모르겠더라구요...2. 저도
'10.8.2 9:47 AM (211.185.xxx.125)역시 님과 같은 생각이었어요. 이곳 게시판에서 하녀 한다는 거 알고 기다렸다 봤는데요. 하녀역의 그분..정말 연기 잘하시더군요. 그런데 마지막 그 구성은 검열때문에 나중에 따로 만든건지..암튼 정말 잘 봤습니다. 다음주 윤여정님 주연의 충녀도 꼭 볼려구요...
3. ㄷ
'10.8.2 10:21 AM (221.141.xxx.14)김기영 작품 다 괜찮아요 한때 빠져서 다 찾아서 봤던 기억이 나네요.
마지막은 검열땜에 그런걸로 알고 있어요
갠적으로 그 영화 볼때 제일 답답한 사람이 부인
하녀역 맡은 분 너무 이뻐서 찾아봤는데 그 영화 이후로는 좀 힘들었다고 하더라구요
거기서 담배피고 하는 모습이 그 당시로는 이해되기도 힘든 역할이였고
멀쩡한 남편 유혹한거니 그 시대때 용서가 되지도 못했을터이고.
영화 컬트적인 좀 묘한 그런 영화.
천재는 맞는거 같아요
예전에 윤여정씨가 감독스탈 말해주던데..무섭더만요
진짜로 쥐를 다 떨어뜨린다고 ㅋㅋㅋㅋ
하녀에서도 그럴거 같았어요4. 찾았다..
'10.8.2 10:45 AM (125.176.xxx.186)뜬금없이 엄앵란 젊을때 나름 매력있어 보였어요.
그리고 지금 큰딸이 엄마 젊을때 모습 그대로인것 같더라구요..ㅎㅎ
아, 그리고 첫 장면에서 연애편지 피아노속에 넣어둔 여자가 그 하녀는 아닌거죠?5. .
'10.8.2 10:47 AM (119.203.xxx.71)전 스토리가 이해가 잘 안되어 몰입이 안되더라구요.
아마도 그시대와 문화 차이겠죠?
부인이 낙태 하란다고 하녀가 계단에서 떨어진거 맞죠?
그부분 부터 몰입이 안되는거예요.
시킨다고 스스로 낙태하고 사랑하는 남자의 아들을
그렇게 죽게 하고....
전 그하녀가 정신이상자로 보이더라구요.^^;;
어쨌거나 마지막 장면은 허무 그 자체였답니다.
전 20101 하녀가 더 좋더라구요.
김감독의 하녀는 그시대의 파격 이거 말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