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곰팡이 핀 쌀 먹어도 될까요..?
거무튀튀하게 변했고 쌀전체가 푸르스름하게 변했어요...
너무 아까운데 탈나지 않고 먹는 방법 없을까요..?
아님 그냥 버려야 하는지요...
1. 옛날에는
'10.7.4 7:49 AM (116.121.xxx.199)장마지고 할때 쌀 곰팡이 난 쌀로 떡 해 먹었던 생각이 나서
댓글 답니다
헌데 요즘은 잘 모르겠네요
곰팡이도 좋은균이 있고 나쁜균이 있는거 같던데
잘 알아보시와요2. 안돼요.
'10.7.4 9:37 AM (211.178.xxx.248)곡식의 곰팡이는 끓여도 안죽는데요.
제가 유기농현미가 곰팡이가 펴서 아까워서 여러번 씻어서 섞어 밥을 했는데
몽땅 버려야만 했거든요. 나중에 곡식에 핀 곰팡이는 안죽는다고 떡을 해도
여전히 있다고.먹지 말래요. 그래서 중국산 찐살이 안좋은거구나했습니다
중국은 곰팡이 핀것도 다 찐살로 만들어서 판대잖아요. 발암을 일으킨다고.
그래서 일부러 빵대신 떡샀는데 중국산 찐살로 만든 떡은 또 안되겠구나 싶었어요.
먹거리가 힘들어서 원...3. 식약청 출처
'10.7.4 10:57 AM (119.66.xxx.37)□ 곡류와 건과류에 핀 누룩곰팡이(Aspergillus flavus) 등 곰팡이류가 생성한 아플라톡신(aflatoxin) 등의 독소는 가열 등 보통의 방법으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곰팡이에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가장 중요 하고, 곰팡이가 피거나 의심스러운 식품은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 곰팡이는 공기·토양 중에 포자 등 여러 형태로 존재하며, 기온이 25℃~30℃, 상대습도가 60~80% 이상인 장마철에 잘 생육한다.
○ 특히, 옥수수·땅콩 등에 많이 발생하는 누룩곰팡이는 주로 흙속에 서식하다 농작물의 이삭에 옮겨진 후 저장·보관되면서 아플라톡신을 생성하게 된다.
※ 아플라톡신 : 간독성을 일으키며 IARC Group 1의 발암물질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장마철 곰팡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한 식품 관리 및 선택 방법’을 소개하였다.
○ 가정에서 곰팡이로부터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
- 곡류 등을 보관할 때에는 습도는 60%이하, 온도는 10~15℃ 이하에서, 최대한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해야 한다.
- 옥수수나 땅콩을 보관할 시에는 껍질 채로 보관하는 것이 껍질을 벗긴 채 보관하는 것보다 안전하다. 이때도 껍질에 곰팡이가 핀 곡물은 빨리 제거해야 한다 .
- 부서진 곡류 알갱이가 있을 경우에는 해충이나 곰팡이가 증식하기 쉽고 일단 증식한 경우에는 쉽게 전파되므로 부서진 땅콩이나 옥수수는 빨리 분리해 내야 한다.
○ 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할 때에는,
- 곰팡이로 인해 생성된 독소는 가열조리 하더라도 독소가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가 생긴 식품은 구매하거나 먹지 말아야 한다.
- 특히, 우리가 즐겨 먹는 땅콩이나, 옥수수 등은 구매할 때나, 집에 보관된 것을 먹을 때도 곰팡이가 있는지를 꼭 확인하여야 한다.
○ 특히, 습기가 많은 주방에서 곰팡이 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비가 많이 온 후에는 보일러를 가동해 건조시키거나 에어컨 등을 이용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 음식물 쓰레기통이나 개수대 등도 소독제 등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소독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식약청은 곰팡이독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곡류·두류·견과류·우유 등 및 그 가공 식품에 7개 곰팡이독소의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특히, 곡류·두류·땅콩·견과류과 이들 제품의 분쇄·절단 품목은 총 아플라톡신(B1, B2, G1 및 G2의 합)으로 15ppb이하(단, B1은 10ppb이하)로 관리하고 있다.4. ...
'10.7.4 1:18 PM (115.140.xxx.112)댓글들 고맙습니다
버려야겠네요..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