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너무너무 짠 김장알타리 버릴까요?

구제방법 조회수 : 801
작성일 : 2010-06-10 21:00:17
  밭에서 심어 연한 알타리를 김장때 담갔어요
  파는것중에 줄거리가 굵은건 저녁에 절궈놓았다 담날 아침에 해도 간이 맞았는데 너무 연한거라 그랬나
아님 솜씨가 메주라 그런가 너무너무 짜게 된거에요
김냉에 넣어놨는데 작년초겨울에 담근게 아직 안익었다면 말다했죠
한통 꺼내서 푹 익혀봤는데 익혀도 짜요
그냥 버려야겠죠? 볶아도 끓여도 짤것 같아서 구제할 방법이 없다면 그냥 버려야겠어요 ㅠ.ㅠ
IP : 61.80.xxx.11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6.10 9:03 PM (58.143.xxx.142)

    물에 짠기 빠지도록 오래 담가뒀다가 들기름,멸치넣고 볶아 먹으면 맛있어요.
    짠기가 너무 많이 빠져서 간을 좀 해야하면 된장조금 넣어주구요.
    힘들게 농사까지 지으셔서 담그신건데 버리시기마시고 볶아 드셔보세요.

  • 2. 무코
    '10.6.10 9:03 PM (59.30.xxx.207)

    그런것을 물에 한참 담가서 짠기를 뺀후에 김치,된장찌게에 넣어 먹으면 맛있습니다~

  • 3. .
    '10.6.10 9:04 PM (211.55.xxx.53)

    네 저희집으로 버려주세요. 제가 맛있게 먹을게요

  • 4. 이든이맘
    '10.6.10 9:04 PM (222.110.xxx.50)

    저 주시면 손가락 쪽쪽 빨면서 맛있게 먹을 수 있는데.. 헤헤헤^^

    윗님 말씀대로 푹~ 아주 오래 담가놓으세요...
    글구 멸치넣고 지져먹음 둘 먹다 하나 죽어도 정말 몰라요^^*

  • 5. 버리지마세요.
    '10.6.10 9:05 PM (121.157.xxx.86)

    깨끗이 씻어서 작게 잘라서 물에 담궈 놓으세요.
    요즘은 더우니 자주 물을 갈아주세요.
    그럼 짠기가 빠져요.꼭짜서 들기름 넣고 볶다가
    파,마늘 넣고 볶으세요.

  • 6. 윗님들
    '10.6.10 9:05 PM (112.158.xxx.26)

    윗님들 의견에 심히 공감합니다.
    좀 묵힌 알타리 윗님들 처럼 해먹고 싶어도 묵힌 알타리 없어 못해먹는 사람도 있답니다..
    글보니 더 먹고 싶어요..침만 흘리고 있네요..

  • 7. ㅋㅋ
    '10.6.10 9:09 PM (115.86.xxx.93)

    네 저희집으로 버려주세요 <-- 이 댓글 있을거라 생각하고 클릭했더니 역시나 ㅋ 빵터졌어요

  • 8. 원글
    '10.6.10 9:15 PM (61.80.xxx.111)

    너무 감사해요^^ 물에 뿔렸다가 한번 지져먹든 볶아먹든 해볼께요 맛있으면 내년에 또 짜게 담궈버릴라 ㅋㅋ

  • 9. 물에 담가
    '10.6.10 9:18 PM (119.195.xxx.90)

    말려서 장아찌 엄마가 한해 해 주셨는데 일반 장아찌랑 달랐어요

  • 10. 쩝~쩝~
    '10.6.10 10:13 PM (118.221.xxx.64)

    그 맛있는걸 버리시면 아깝죠! ^^
    많은 분들이 추천하신 방법도 맛있고요
    작게 잘라서 물어 담궜다가 청국장찌게 끓여서 먹어도 맛있어요.

  • 11. 쐬주반병
    '10.6.10 11:32 PM (221.144.xxx.118)

    물에 오랫동안 담궜다가, 나박하게 썰어서, 무쳐 드세요.
    들기름이나 참기름, 다진마늘, 다진파, 설탕 조금, 고춧가루..넣어서 무쳐 드시면, 침이 쫙..고입니다.
    맛없는 묵은 김치도 이렇게 해서 먹으면, 밥도둑입니다.

  • 12. 그런
    '10.6.11 4:34 AM (67.168.xxx.131)

    묵은지 없어서 못먹어요,,
    푹 익혀서 물에 양념 씻어 내세요, 그리고 물에 좀 담궈놧다
    (너무 담구셔도 간이 다 빠져 싱거워지면 맛이 없으니
    중간에 한번 잘라 맛보시면서 시간 맞추세요)
    짠기만 빠져 나간뒤 식용유 넉넉히 두르고 볶아 먹어도 너무 맛있고요,
    된장 좀 넣고 양념 조금 해서 (파 ,마늘, 깨 ) 지져 먹어도 너무 맛나요,,
    그 귀한걸 버리실 마음을 가지셨다니~~ 펄쩍~~! ^^

  • 13. 제가
    '10.6.11 4:36 AM (67.168.xxx.131)

    볼때는 연한걸로 담그셨고 이제야 익히셨다는데
    억센 무청이 아니고 아주 오래 묵은게 아닌이상 너무 오래 담구시면 안돼요,,
    간이 빠져 나가면 너무 맛없습니다 ..짠기만 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66315 영결식장 말인데요. 넘 허름해 보였어요. 역대 대통령 영결식에 비해서 5 뉴규~ 2009/05/30 750
466314 봉화산 정토원 생중계 주소 1 엘도라도 2009/05/30 244
466313 장례의원이지만 영결식장에 갈 수 없습니다. (우상호) 펌글 2009/05/30 705
466312 검찰을 용서 한다 15 용서 2009/05/30 653
466311 태극기 꼴보기 싫다고 걷어라는 남편땜에 14 서러움 2009/05/30 869
466310 盧 전 대통령, "독가스 현장 들어오신 유일한 분" 3 노무현부활 2009/05/30 570
466309 자결했는데 국민장으로 지정한 게 쥐박인데.. 2009/05/30 270
466308 맥주 한 캔 땄습니다. 5 ... 2009/05/30 275
466307 [펌]안희정을 위한 변명 - 우상호 11 안희정최고위.. 2009/05/30 1,000
466306 펌)노 전 대통령 발인식 TV 보던 80대 노인 숨져 2 d 2009/05/30 277
466305 노 대통령님 영국 방문 모습과 만찬사진들(규모가 상당했군요..) 17 . 2009/05/30 1,699
466304 장례 미사랑 추도 미사도 구분 못하는 알바 등장 5 2009/05/30 290
466303 서울 검찰청오셨을때 3 그때 2009/05/30 335
466302 또 오해야 또?!! 영결식장에서 MB의 미소 해명 20 질렸다 2009/05/30 1,648
466301 원래 자살하면 카톨릭에서는 32 궁금이 2009/05/30 1,201
466300 수첩공주를 왜 좋아하는지 쬐끔(다는 아니고..) 이해가 감. 14 2009/05/30 1,735
466299 ............... 1 우제승제가온.. 2009/05/30 207
466298 (펌) 한 언론인의 반성: 신문 없는 세상에서 살고싶다 2 신문없는세상.. 2009/05/30 305
466297 노통 따라갈래” 메모 여대생 목맨 채 숨져 (펌) 14 기사 2009/05/30 1,286
466296 ytn 에서 나온 노래 제목 뭔가요? 4 ... 2009/05/30 307
466295 일본에서 영결식을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1 치바 2009/05/30 154
466294 삼베 리본은 유가족만 달아야하나요? 5 여쭤볼게요 2009/05/29 546
466293 82가 왜 이렇게 느리죠?? 6 오늘 2009/05/29 279
466292 둘째 아이 때문에 또 울었네요. 4 아들아 기억.. 2009/05/29 666
466291 세상 제대로 살다 가신 분.. 3 성공 2009/05/29 180
466290 '고대녀' 풀려났다네요.. 7 조금전.. 2009/05/29 1,055
466289 추모는 하나 알고 싶지 않다. 그냥 인정 해 줘야 겠지요. 2 친한 친구 2009/05/29 250
466288 82cook에 머물러 있으면 자꾸 트로이 목마가 걸리네요~ 4 ... 2009/05/29 415
466287 미국 제정신이니? 美육군참모 "필요하다면 북한과 전쟁 할 수 있다" 11 웃긴것들.... 2009/05/29 435
466286 이런 시국에 이런 질문 올려도 될런지 죄송합니다. 밝은세상 2009/05/29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