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 빠진 그릇 쓰시나요?

버려야또사지 조회수 : 3,963
작성일 : 2010-05-11 13:04:21
안녕하세요..

평소에는 원래 물건 잘 버리지 못하는 성격이긴한데..
맘 먹고 정리하면 싹 다 쓸어 버리긴 해요...

지금은 이 빠진 그릇이 몇개 있는데..
버리자니 짝도 안 맞고...별로 티도 안나는 것은 아깝기도 하고..
쓰자니 구질구질 한 것도 같고..눈에 거슬리기도하고..흐흐
이빠진 그릇 쓰면 복 나간다는 소리도 들은것 같고..흐흐
밥먹고 배가 부르니..이 나간게 보이네요ㅋㅋ
버릴까요? 말까요?
IP : 125.176.xxx.71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친정에서
    '10.5.11 1:05 PM (222.116.xxx.123)

    그런거 쓰면 복 나간다나 물론 미신 같은 말이지만 전 안써요 아까워도 버려요

  • 2. 다육이
    '10.5.11 1:06 PM (218.233.xxx.63)

    저는 다육이화분이나 화분받침으로 쓸려고 놔뒀어요

  • 3. ^^
    '10.5.11 1:06 PM (211.172.xxx.95)

    저는 이빠진건 아무리 비싸도 안써요..
    그냥 버리심이..

  • 4. 버려야또사지
    '10.5.11 1:08 PM (125.176.xxx.71)

    그렇구나..그릇볼때마다 신경쓰느니 과감하게 버려야겠어요..
    이쁜접시는 화분받침으로 변신도 시킬께요^^

  • 5. .
    '10.5.11 1:09 PM (110.8.xxx.19)

    그 이유는 잘모르지만 어렸을 때부터 이 빠진거 안좋다고 엄마한테 들어서
    그릇 이 나간 것 버려야 하나 했는데
    그게 나라마다 그렇게 안좋은 의미도 아니고 식당에선 비용 때문이겠지만 그냥 쓴다길래
    그거 위안삼아 그냥 써요..생각하기 나름이다 하면서.

  • 6. ..
    '10.5.11 1:15 PM (221.144.xxx.153)

    공기는 잡곡이나 쌀풀때 쓰고 접시는 화분받침으로 씁니다.

  • 7.
    '10.5.11 1:18 PM (61.74.xxx.21)

    미신이나 금기같은 것도
    커서 알고보면 안전사고방지를 위해서 생긴 것들이 많잖아요.

    이나간 그릇을 쓸때 뜨거운 것을 담아서 잘 먹고난후
    씻으려고 찬물에 담그니까
    갑자기 쫙하고 갈라지면서 깨져서 깜짝 놀란 적이 있네요.
    저는 그후로 가차없이 버려요.

  • 8. 나나
    '10.5.11 1:20 PM (218.232.xxx.251)

    책에서 한번 봤는데 거지도 이나간 그릇에 주는거 아니라고 하던데...

  • 9. 나라마다
    '10.5.11 1:22 PM (211.195.xxx.3)

    다 다른거 같아요.
    완젼히 깨지지 않는한 계속 쓰는 곳들도 많구요.
    저는 이가 많이 나간 경우는 다른걸로 사용할 수 있는게 있는지 생각해보고
    이용을 하고
    아니면 버리던가 해요.
    꼭 미신때문에 버리는 건 아니구요.
    써도 괜찮을 정도면 그냥 써요.

  • 10. 그게
    '10.5.11 1:26 PM (58.140.xxx.69)

    나라마다 문화가 틀려서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굉장히 불길하게 생각하는데 같은 동양권도
    안그런곳이 많더라구요..
    제가 홍콩이나 중국쪽으로 출장다닐때는 고급 식당들도 스크래치나 칲이 있는 물건들이
    꽤 있었어요..
    처음에는 기분이 나빠 깨끗한 그릇이 나올때까지 바꿔달라고 했는데 같이 동행하신분 말로는
    이나간 그릇이 여기선 한국처럼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고 좋은의미라고 했던것 같아요
    복을 부른다고 했었나..어쨌나..오래돼서 기억은 희미하지만..암튼 작은 칲 정도는 그냥
    사용하더라구요..
    식기니까 위험하게는 안될것 같고 저 자체도 미신은 별로 믿지 않는지라 입이 닿는 부분이
    아니면 전 그냥 사용해요..바닥이나 옆면같은 경우요..

  • 11. ...
    '10.5.11 1:27 PM (122.35.xxx.14)

    일본에 갔더니 식당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쓰더군요
    문화가 다르고 생각하는게 다르니 그들의 절약정신이라 이해합니다
    저도 뭐 그냥 씁니다
    내용물이 중요한거지 이 살짝나갔다고 버리는건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 12. .
    '10.5.11 1:29 PM (59.10.xxx.77)

    도자기는 절대 산패되는 물질이 아니에요. 누가 정성스럽게 빻아서 가루로 만드는 수밖에 없어요. 어떻게 용해 되는 물질도 아니고요. 이 좀 나갔다고 버린다면 환경오염에 기여한다고 생각해요. 이가 나갔어도 계속 잘 씁니다.

  • 13. 저는
    '10.5.11 1:31 PM (124.50.xxx.3)

    이 나간거 안써요..
    화분받침으로 제격~

  • 14. ..
    '10.5.11 1:34 PM (115.140.xxx.112)

    안쓰신다는 분들이 압도적이네요~~
    전 그릇은 아니고 생협에서 산 옹기뚝배기가
    손톱정도 크기로 부딪혀서 깨졌는데
    그냥 쓰거든요..

  • 15. mornign
    '10.5.11 1:37 PM (221.141.xxx.236)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손상이 된 것 아니면 저는 씁니다.

  • 16. 화분받침
    '10.5.11 1:39 PM (125.187.xxx.175)

    으로 씁니다.

  • 17. 저도~
    '10.5.11 1:40 PM (218.38.xxx.161)

    이 바진거 그냥 씁니다
    다치거나 위험할 정도 아니면 뭐 그냥 써도....

  • 18. 그냥
    '10.5.11 1:48 PM (211.210.xxx.62)

    저도 그냥 써요.
    버려야 또 사긴 하지만 쉽게 버려지지가 않네요.

  • 19. ㄴㅁ
    '10.5.11 1:51 PM (115.126.xxx.87)

    저도 그냥 써요

    아주 예전에 일본에서 깜짝 놀랐죠..이 빠진 접시에 스파게티가 나와서...

  • 20. 토끼
    '10.5.11 1:56 PM (59.16.xxx.52)

    컵에 이가 나갔을 때는 그 컵에 작은 양초(주위에 알루미늄 덧대져 있는) 넣어 두고 밤에 켜면 제법 근사하고요. 컵받침은 멀쩡하니까 밥이나 반찬 담는 접시로 써요.

    국그릇에 이가 나갔을 때는 요리할 때 야채 손질하고 남은 거 담아두었다가 버리고요.

  • 21. 예전
    '10.5.11 2:20 PM (125.177.xxx.70)

    라디오에서 들었는데 중국에서 이빠진 그릇을 쓰면 복이 들어온다고 해서 음식점에 이빠진
    그릇에 음식 나와도 손님들이 좋아한다고 그런다네요.
    들으면서 참 나라마다 틀리구나 했어요.
    그리고 한참 이빠진 그릇땜에 속상하던차 마음을 달리 먹자 버리면
    환경오염이고 아끼던 그릇들이고 해서 조금 이나가면 씁니다.
    스스로 난 복올꺼야 하면서 말이죠 ㅋㅋㅋㅋ

  • 22. 유럽에선
    '10.5.11 2:41 PM (86.32.xxx.56)

    정말 당연하게 씁니다.
    한국분들 이가 나간 그릇, 기분나쁘게 생각하시는분 많은데
    금이가서 뜨거운거 넣었을때 위험한거 아니면 쓰시는게
    자연환경을 위해서도 좋을것 같군요.

  • 23. 손 다쳐요.
    '10.5.11 3:15 PM (211.176.xxx.21)

    전에 만화 하나봤는데 어떤 남자가 이 빠진거 모르고 설거지 한다고 그 위를 손으로 스윽 돌려 닦다가 손바닥을 좌악 찢은 만화 보고 절대 이빠진거 안씁니다...ㅠ.ㅠ

  • 24. ^^
    '10.5.11 8:00 PM (121.88.xxx.165)

    저는 안씁니다만 일본은 이 빠진 그릇 자연스럽게 쓰던걸요.
    일본에서 선물 받은 그릇중 이가 살짝 빠진게 있는데 볼때마다 버릴까 하다가 선물해준 사람 성의도 있고해서 그 그릇만 그냥 씁니다.(잘 티가 안나요, 실은....^^)

  • 25. 미신적인
    '10.5.11 8:02 PM (58.239.xxx.161)

    면은 생각하기 나름이라 저는 그냥 씁니다. 도자기 버리기도 쉽지 않고 쓸 수 있는 물건 버리기도 뭐하고 해서요. 조금 조심하면 되니까요.. 중국에서는 이빠진 자리에 복이 탁탁 걸려들어온다고 해서 좋아한다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9991 인터넷전화 추천 좀 해주세요 2 진이맘 2009/04/07 667
449990 뛸때 왼쪽 배가 아픈이유는 궁금 2009/04/07 415
449989 이 동영상 함 보세요..보이스피싱 실제 상황이라네요..ㅋㅎ 2 보이스피싱 2009/04/07 799
449988 권투선수 6 하늘을 날자.. 2009/04/07 510
449987 외국옷 사이즈 어떻게 보는 거예요. 2 사이즈 2009/04/07 446
449986 그림 배우고 싶어요 그림 사랑 2009/04/07 314
449985 휴대폰 유심카드 에러.. 1 ... 2009/04/07 481
449984 가족중 콜레스테롤 높으신 분 있으세요~? 11 콜리스테롤 2009/04/07 898
449983 이회창 “신문들, MB엔 약하고 盧에겐 잔인해” 성토 11 세우실 2009/04/07 1,150
449982 만두를 안 달라붙게 찌려면? 5 ..... 2009/04/07 1,026
449981 방문 페인트 해 보신분 계세요~? 8 언제든 물어.. 2009/04/07 585
449980 서서히 침식해오는 공포... 5 건망증 국민.. 2009/04/07 832
449979 조선일보..물만난 고기 되겠군요/.... 5 ... 2009/04/07 592
449978 대체 0707-6****** 번호? 6 짜증나는이 2009/04/07 738
449977 별자리 관측하러 가기로 약속했는데 어디가 좋을지- 5 천문대 2009/04/07 451
449976 요즘 북해도 여행 어떨까요? 3 북해도 여행.. 2009/04/07 568
449975 선거 다가와서 그럽니까?알바 혹은 유사하신분들 좀 고만하세요 1 게시판 정화.. 2009/04/07 284
449974 노무현 대통령 기사 관련 패닉상태에 빠졌습니다. 17 패닉 2009/04/07 1,683
449973 아내가 뭘 입었는지 머리가 어떤지 모르는 남편 31 있으세요? 2009/04/07 1,431
449972 오늘 협의 이혼 했는 데 뭘 먹고 살아야 할지... 30 죽는 것 보.. 2009/04/07 8,951
449971 여권사본이 dulia라고 적혀있네요,, 어떻게 읽어요,, 1 .. 2009/04/07 632
449970 퇴임하면 고향에 내려가 농사나 짓겠다던 사람 어디갔습니까 17 부끄러운줄알.. 2009/04/07 1,072
449969 경기도 사시는 님들!!! 7 라네쥬 2009/04/07 657
449968 돈땜에 시댁을 무시한다는 글을 보고는 2 2009/04/07 983
449967 당신은 '소쿨족'? 시지프스가 되자 1 세우실 2009/04/07 319
449966 롯데 월드 2가 세워지면... 1 낭만 고양이.. 2009/04/07 470
449965 남매 결혼준비에 차별두시는 부모님 12 어렵다 2009/04/07 1,670
449964 방금 사기전화 받았어요. 3 사기전화 2009/04/07 735
449963 택배아저씨와 사귀냐? 18 흐미.. 2009/04/07 2,193
449962 30대 초반 남편 건강검진 할건데 암검사 중 뭘 골라야할지 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 건강검진 2009/04/07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