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미국 대학원 입학 조언

대학원 조회수 : 1,740
작성일 : 2010-03-30 11:51:51
제가 미국 대학원 (경제학 phd) 어드미션을 받았는데,
주변에 상담할 분이 많지 않아서,
이곳에서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

제가 합격한 학교는 피츠버그(rank 34)와 뉴욕주립대Albany (rank 50위권 밖)입니다.

어쨋든 순위가 더 높은 피츠버그에 가고 싶은데,
피츠버그는 장학금이 없고,
Albany는 전액장학금에 생활비 $13000(대신 20시간 TA)를 주겠다고 합니다.

저는 가는 것이 목적이라기 보다는 가서 잘 마치고 돌아오는 것이 목적인데,
Albany는 퀄시험(1년 후 보는 시험입니다. 떨어지면 Go한국^^;)이 어렵다고들 하네요.
두 학교 중 고민 중인데 조언부탁드립니다.
IP : 221.146.xxx.19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학원생
    '10.3.30 11:55 AM (99.93.xxx.149)

    퀄 시험이 차이가 있긴 해도 퀄 시험이 쉬운 학교는 아마 없지 싶은데요..
    그리고 어렵다고 한들 그런 과정도 통과를 해야 박사가 되는 거 아니겠습니까.
    순위게 아주 큰 차이가 없으니 저라면 장학금 있는 곳으로 가겠습니다.
    TA 하는 것도 만만치는 않지만 그래도 장학금과 생활비 아주 중요하지요.

  • 2. ...
    '10.3.30 11:55 AM (211.200.xxx.48)

    우리나라는 학벌보다 인맥이 중요해요. 공부하시고 올 자리부터 알아보세요.
    장학금 없으면 가서 공부하기 너무 어렵습니다.
    하지만 장학금 따고 했어도 좋은 학교 아니면 서류내기 어렵구요.

    잘 생각하셔야겠네요.

  • 3. ...
    '10.3.30 11:59 AM (210.180.xxx.254)

    공부하고 올 자리를 지금부터 알아보면 아마 갈 맘 안 드실 거에요.
    박사학위자들의 전망은 아주 어렵거든요.
    저라면, 보장되지 않은 길에 제 돈을 몽땅 투자하기보다 장학금 받는 쪽을 택하겠습니다.
    제가 장학금 거의 없는 영국에서 박사를 한지라...
    남의 나라에 생돈 보태주는 거 너무 아까워요.
    물론 TA 하는 것이 시간이 들지만, 그것도 다 경력이고 경험이 되어
    미국에서 취직하는 데 도움이 될거에요.

  • 4. ;;;
    '10.3.30 12:01 PM (211.200.xxx.48)

    교수자녀들만 교수되는 사회니까요. 아님 연구소
    아님 대기업 그도 아님 여러가지 일들이 있겠지만
    불투명한 미래를 위해서 투자하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없어져야 하구요.
    미국에서 취직하시면 젤 좋고 그 경력인정받아서 한국나오셔서 잠시 일하다가
    다시들 다 들어가시더라구요.

    한울타리 문화라서 우리나라는 팔이 안으로만 굽어서
    돕는 사람들끼리만 돕습니다.
    절대 아무도 그 틈을 파고들수 없어요. 이점이 통탄할...

  • 5. 일단
    '10.3.30 12:07 PM (125.149.xxx.58)

    국내에 있는 그 대학 졸업자들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좀 알아볼 거 같아요.
    두 학교 격차가 심하다면이냐 피츠버그로 가겠지만, 약간의 갭이 있는 정도라면 (솔직히 미국 대학 랭킹 2-30위 차이는 큰 거 아니라고 생각해요) 알바니로 갈래요.
    집에 아주 부유하다면 모를까, 그냥 평범한 재정 상황인 경우에 전액장학금+생활비가 얼마나 큰데요. 가서 공부 잘하고 오세요^^

  • 6. 랭킹하위인
    '10.3.30 12:18 PM (75.1.xxx.78)

    미국대학원에서 박사 했는데도
    아버지 후광으로 교수하는 사람들 많더군여ㅠㅠㅠ

  • 7. 알바니
    '10.3.30 12:20 PM (218.238.xxx.171)

    가 좀더 나아보이는데요..
    저희 남편과 원글님과 두 학교 놓고 고민하다가 장학금주는 곳으로 갔어요.
    지금 돌아봐도, 랭킹 조금 더 높은, 그 장학금 안주는 곳으로 갔었어도 크게 영향을 받진 않았을것같거든요..
    정말 공부하고 싶어서 가시는거라면 원없이 열심히 하시라 격려하고 싶지만, 경력이나 향후를 위해 가시는거라면..--;;
    미국 탑10 안에 드는 대학 석사학위있는 남편, 뭐 별다를것없는 샐러리맨이다보니..크게 매릿이 느껴지지않아요. (남편은 공부를 좋아했던 사람이라, 사회적 지위나 성공과 상관없이 인생에서 좋은 경험이었고 지금도 공부하던 그때를 그리워합니다.)

  • 8.
    '10.3.30 12:22 PM (218.238.xxx.171)

    그리고 원글님 질문과는 상관없지만, 교수는, 진짜 인맥없으면 힘들죠.
    남편과 같은 학교서 석박사한 친구, 아버지가 유명대 교수라서 석사할때부터 박사까지만 마치면 걱정말라 그런말씀 많이 하셨다네요.
    같은 학교라도 울남편은 꿈도 못꿀 일인데 말이죠..

  • 9. ...유학..
    '10.3.30 12:33 PM (128.220.xxx.190)

    지금 미국대학원에 있는 사람인데요..(금융전공)
    돈걱정이 별로 없으시다면, 절대로 qualifying exam사정 알아보고 하세요.
    의외로 경제학과 퀄리파잉 이그잼 많이 떨어져요.
    위스콘신 같은 경우는 몇년전에 서울대 경제 수석으로 졸업한사람도 떨어졌거든요.. 주립대가 대체로 퀄리파잉이 세요.. 퀄센데 갔다고 좋아하다가 떨어져서 석사만 받고 오는 사람 많이 봤거든요. 대체로 퀄 2년안에 붙어야 하는데
    퀄 붙으면 TA자리도 많아요..처음에 TA자리 안주더라도 퀄만 붙으면 나중에 주니까 그건 걱정말고.. 그러니 일단 퀄리파잉 사정 알아보고 결정하세요.

  • 10. 학문이
    '10.3.30 12:39 PM (86.0.xxx.104)

    목적이라고 말할수 있으면 소신대로 가시라 하겠지만, 경젝학은 학벌도 중요하지만 논문 실적도 많이 좌우합니다.
    이공계처럼 논문이 일년에 몇편씩 만들어내는 연구를 할 수있는 전공이 아닌 세부전공이 대다수라 할수 있습니다만 그렇지 않은 연구 분야도 있습니다.

    대학을 놓고 보면 피츠버그는 제가 아는 범위에서는 이론을 많이 연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도 거기에 한국인 교수님도 한분 계신걸로 아는데 한국으로 가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ㅠㅠ
    그분도 역시 미시이론쪽으로 하신걸로 압니다.

    대략적으로 말씀드리면 경제학쪽은 약 30위권 정도면 국내에선 명함을 내밀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너무 순위가 밀리면 연구실적을 보기전에 먼저 학교이름부터 보는 한국 정서(정말 마음에 안들지만) 상 힘들수도 있습니다.

    님께서 학위를 마치실때 그 어려운 경제학 top 저널에 몇편을 쓰지 않는이상 학교 이름이 보게될것이 뻔하기에 경제적인 여건이 허락하시가에 따라서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p.s. 요즘 미국 어드미션 top 10내의 경제학박사과정에 한국사람은 정말 찾아보기 힘들정도로 드물어

  • 11. 국내
    '10.3.30 1:07 PM (220.86.xxx.181)

    지도교수님과 상의하세요
    어차피 국내로 들어올거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3945 선물을 하려하는데요.. 5 윗동서에게 2009/01/27 540
433944 자식의 장래 질문에 대해 10 lemont.. 2009/01/27 1,211
433943 친정쪽 친척들한테 까지 세배 다니시나요? -_-; 2 ... 2009/01/27 598
433942 목 옆에 멍울이 잡혀요 7 ... 2009/01/27 1,702
433941 혹시 대구는 비뇨기과 여의사샘 없나여? 1 대구맘 2009/01/27 2,016
433940 강원도 한우 질문, 눈썰매장 질문 추가해요... 2 여행조아 2009/01/27 541
433939 저가화장품이 쓰시는분들 계신가요? 39 30대후반 2009/01/27 5,949
433938 컴에 바이러스가 왔나 봐요.도와 주세요 4 세상에나~ 2009/01/27 492
433937 김어준의 '건투를 빈다' 읽어보신 분 계셔요? 강추합니다요~ 3 완전 시원해.. 2009/01/27 1,247
433936 진중권 “<조선> 변듣보 데려다 칼럼 채우는 신세라니..” 8 폭풍속으로 2009/01/27 1,312
433935 저는 친정에 가고 싶어도 못가요.. 4 슬퍼요..... 2009/01/27 1,364
433934 좌익의 특징은 스포츠를 싫어하거나 스포츠에 무능하다.(조갑제 왈,) 7 verite.. 2009/01/27 637
433933 옷 환불될까요 42 나는얌체 2009/01/27 4,063
433932 남편이 사업을 하는데 돈이 필요하다네요.어쩌죠? 5 남편아 열받.. 2009/01/27 1,262
433931 영작문 질문드립니다 4 *^^* 2009/01/27 450
433930 창피하지만.. 37 고민되네요 2009/01/27 6,510
433929 Engineer 66 님을 아시는 님중에서... 1 kimi 2009/01/27 1,513
433928 시어머니와 며느리 불고기 때문에... 1 보엠시가넘버.. 2009/01/27 985
433927 나만의 사치.. 있으시죠? 79 궁금.. 2009/01/27 9,064
433926 '피의 월요일'...전 세계, 하룻새 7만명 해고 발표 6 verite.. 2009/01/27 1,115
433925 미용실 안간지 1년반이 넘었는데요..매직과 염색을 해야하는데..뭘 먼저해야할까요?? 1 외모관리~ 2009/01/27 751
433924 장터에서 식품 반품도 되나요? 21 . 2009/01/27 1,300
433923 컴퓨터관련 질문 있습니다..컴맹입니다.. 5 컴퓨터문의... 2009/01/27 448
433922 이런 시어머니 며느리가 어떻게 생각 할까요 56 시어머니 2009/01/27 6,154
433921 생면에 곰팡이가..그럼 소소는? 2 아깝다. 2009/01/27 410
433920 올 설은 정말 조용하네요.. 경기탓인가?.. 2009/01/27 515
433919 10년만에 동서를 보게되니.. 8 맏며느리 2009/01/27 3,335
433918 이웃 애들땜에 죽겠어요. 너무 시끄러워요. ㅜㅜ 엉엉 5 폭파일보직전.. 2009/01/27 1,188
433917 더덕, 어떻게 해 먹을까요? 4 더덕어멈 2009/01/27 515
433916 이제 서서히 귀환들 하시네요. 심심했어요... 2009/01/27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