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파트난방 경동가스보일러꺼 쓰시는분 알려주세요..

sos 조회수 : 2,056
작성일 : 2010-01-22 19:17:49
여러가지 작동버튼중 <난방수온도>라는 것이 있는데요...
40도, 60도 70도 80도  표시되어져 있고 그 중간중간에 봄,여름,가을,겨울 이렇게 눈금이 있쟎아요...
보통 겨울에는 어디에 맞추어 두시는지요...<난방수온도>로만  난방기온을 조절시에요..


저는 33평인데 안방하나만/ 저녁 7시정도에서 아침까지만 /4시간 마다 20분씩 /돌아가도록 조절해서 한 20일간만 썼는데요,.....(대부분 그렇게맞춰 돌아가면 방온도가  늘 20도 정도만 되요..,높아야 21도 정도??)

조절버튼은 방 기온기준버튼 말고 난방수 조절버튼으로 <겨울>버튼에 맞춰놓았구요..(방 기온기준으로 맞춰놓으면 계속해서 그 기온맞추며 유지하면서 돌아가니까,. 아예 그 버튼은 사용안해요)
거실이나 다른방은 일체 틀지않구요...
도시가스요금이 9만원이나 나왔어요..

완전 시베리아처럼 감기걸리면서 사는데도 가스요금이 이렇게나 나오네요...
제가 조절 버튼을 뭘 잘못맞춰두고 있나 해서요.....
경동가스보일러예요..............ㅠ
IP : 221.138.xxx.25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1.22 7:34 PM (58.234.xxx.17)

    타이머 기능을 쓰면 난방수 온도나 실내온도 기능하고는 상관없을텐데요

    그냥 무조건 타이머 맞추신대로 4시간마다 작동하는걸로 알아요
    원글님 적으신대로면 하루에 총 1시간정도 안방만 돌리는건데
    너무 많이 나왔네요

    실평수 20평 전체 돌리고 낮에 몇시간 빼고는 계속 난방수 43도에
    맞추고 사는데 12만원 나왔어요
    보일러가 경동건데 신형이긴 해요

  • 2. 원글
    '10.1.22 7:49 PM (221.138.xxx.252)

    그렇죠?
    오래된 아파트도 아닌데...
    안방이 조금 크니까 밸브가 2개있거든요.,그나마 그거 다 확 열지도 않고 반반씩만 열고 돌려요....
    진짜 돌겠어요..
    난방수를 겨울에 맞춰놓아서 그런가싶기도한데....
    윗님 말씀 듣고보니 타이머는 그냥 온도랑 관계없단 얘기인데....ㅠ
    정말 살떨려요,. 이사가야겠어요,

  • 3. 원글
    '10.1.22 7:52 PM (221.138.xxx.252)

    난방수 항상 70도로 두는게 그게 원인일까요?
    그리고 43도 정도 두어도 뜨거운물 나오나요...?

  • 4. ...
    '10.1.22 8:02 PM (58.234.xxx.17)

    난방수는 온돌안에 들어가는 물온도를 말하는거구요
    보통 쓰는 물온도(온수)하고는 달라요

    모델마다 온수온도 조절할 수 있는게 있고 안되는것도 있어서
    뭐라 말씀드리기 힘드네요

  • 5. ...
    '10.1.22 8:03 PM (58.234.xxx.17)

    난장수 70도면 방이 뜨거워서 디디기 힘들텐데요

  • 6. 원글
    '10.1.22 8:13 PM (221.138.xxx.252)

    아, 온수랑 난방수랑 다른거군요.......

    그리고 난방수 80도에 둔적도 많았는데 뜨겁기는 커녕 한기가 가시는것도 한참걸리더군요..
    오래된 보일러도 아닌데 말이지요...

  • 7. .
    '10.1.23 5:29 PM (220.92.xxx.240)

    저도 경동보일러인데 난방수 45도 하니까 좀 약한것 같아서 50도로 하니까 따뜻하더라구요.
    잘 모르지만 난방수 온도가 높아서 많이 나온것 같아요.

  • 8. 뽀동
    '10.1.31 2:34 PM (116.39.xxx.21)

    우연히 글을 보게 되어 회원가입까지 했네요. ^^
    저두 외출하면서 조절기 잘못 만져놓고 가는 바람에 부랴부랴 검색하게 되어 알게 되어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조절기에는 난방수온도, 실내온도, 반복시간 세가지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기능만 할 수 있다는 점 유념하셔야 합니다. (즉 버튼에 불이 켜진 곳 한개만 작동 함) 그렇기 때문에 두가지 조건이 성립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오랜 된 집이면 외풍이 있어 실내온도가 낮아 조절기를 높여야 하므로 절약하기는 힘듭니다. 그렇다면 난방수온도나 반복시간으로 선택을 해야 합니다. 난방수는 계속 그 온도로 가동하기 때문에 수시로 전원을 꺼주셔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이때 온도가 높다해서 많이 나오는게 아니라 가동시간이 얼마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국 신경 덜 쓰고 아낄 수 있는 방법으로는
    반복시간입니다. 평상시에는 2시, 3시, 2~3시 중간에 놓으면 되며, 외출시에는 4시에 맞추고 들어오시면 외출버튼으로 조절했을시 보다 들어와 가동하는 시간이 적어 절약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실내온도, 반복시간으로 설정으로 했을 시 바닥에 순환되는 온수(난방수온도)는
    항상 80도로 자동 설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0107 월남쌈 영어로 뭐라고 하는지요? 8 이름 2008/09/05 9,449
410106 기탄수학 뭐부터 시작하나요? 2 학습지 2008/09/05 230
410105 강된장이 짜면 꿀 넣으면 되나요? 8 정말 맞을까.. 2008/09/05 931
410104 [급질] 5~7세 남자아이들 편하게 노래부르는 음역이? 7 ⓧPiani.. 2008/09/05 444
410103 월 150 어떻게 저축하는게 좋을까요? 1 ^^ 2008/09/05 729
410102 항암치료 중 쓸만한 여성 모자 추천 부탁 2 재똥맘 2008/09/05 411
410101 도우미구하고 싶은데 첨이라서요... 4 맞벌이 2008/09/05 502
410100 전라도 광주 아파트... 알려주세요... ^^ 5 ^^ 2008/09/05 636
410099 한우3등급이 먹을만한건가요? 6 단칼 2008/09/05 1,139
410098 1년에 얼마정도 모을 수 있을까요? 13 펑펑녀 2008/09/05 1,845
410097 영화 맘마미아!!!꼭보세요~~ 28 강추!!! 2008/09/05 1,992
410096 성분검사 할 수 있을까요? 찜찜해 2008/09/05 137
410095 집에 구데기 있어요....어케~~~ㅠㅠ 4 사라 2008/09/05 885
410094 남편이고 자식이고 다 지겹다. 21 공감가는 글.. 2008/09/05 4,923
410093 정말 쏙쏙 잘뽑히는 족집게좀 추천해주세요.. 3 피지까지 뽑.. 2008/09/05 956
410092 정운찬 전 총장.. 12 에버그린 2008/09/05 861
410091 자영업, 다들 뭐하고 사세요? 4 불안한맘 2008/09/05 999
410090 공무원 퇴직금 얘기가 많이 나오네요 3 저희엄마도 .. 2008/09/05 647
410089 혹시 동원에서 나온 죽 드셔 보신분 있으세요? 9 난 알고싶어.. 2008/09/05 416
410088 시사 투나엣 폐지 반대 서명입니다. 15 가영맘 2008/09/05 307
410087 소상공인 융자 받는거 세무서에 무슨 기록 올라가나요?? 2 소상공인 2008/09/05 140
410086 오늘 택배로 옥천마라톤 (안티 조선일보마라톤) 티가 왔네요......... 4 죄책감녀 2008/09/05 207
410085 개원가 매일 존폐 고민…편의점 수준돼야” 1 ... 2008/09/05 461
410084 자영업자들이 알아야할세금상식 1 궁금 2008/09/05 271
410083 (운전 습관) 동의 아십니까? 15 운전기사 2008/09/05 847
410082 동대문 종합상가 토,일 영업할까요? 7 한복구입 2008/09/05 363
410081 10월1일부터 시행되는 중복처방문제 ... 2008/09/05 205
410080 속풀이>청소하기 싫어요! 7 귀차니스즘최.. 2008/09/05 807
410079 우울증이 완치가 되는 병인가요? 10 다단 2008/09/05 1,039
410078 학교가는 아이에게 당부하는 요즘 말 6 사는게 무서.. 2008/09/05 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