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가정에서 챙기는 신종플루 때려잡기 !!!

docque 조회수 : 1,273
작성일 : 2009-10-26 21:13:57
신종플루 때문에 다들 걱정이 많으시죠?
요즘 확산이 무섭게 빨라졌습니다.

얼마전부터 약국에 환자들이 늘기 시작해서
(언론은 잠잠하고...)
요즘은 급격한 증가추세입니다.

언제까지 문제없다고 우길 상황은 아닌것 같습니다.

독감의 일종이지만 낮선 녀석이므로
익숙해 지기 전까지는 희생자가 있을수 밖에 없습니다.

모든 감기나 독감과 같이
면역기능이 튼튼한 사람은 벨 문제가 없지만
소위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결코 만만히 볼 녀셕이 아니죠.

그래서 신종플루에 국한된 방법이 아니고
면역기능이 약해서 나타나는 모든 질환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능한 방법을 적어볼까 합니다.

######

1. 나와 가족이 고위험군인지 먼저 체크한다.
-특별한 만성질환이 없어도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피로가 심한 사람은
고위험군으로 봐야 합니다.

2. 감염이 되면 타미플루로 치료하지만
먼저 예방하는게 중요합니다.

3. 장이 안좋은 사람과
피부가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이 부족한사람은
면역기능이 약한사람이 많습니다.
- 아이들에게 하루 30분정도의 일광욕은
면역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장이 약하나 사람은 식습관을 챙기고
유산균제제를 복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4. 이럴때 일수록 기본적인 식단과
충분한 휴식이 중요합니다.

- 특히 수험생이나 직장인과 같이 스트레스가 심하고
휴식이 부족한 분들은 인스턴트음식을
철저히 피하는게 좋습니다.  

- 라면/빵/과자/아이스크림/배달음식/과식/야식 등등...
면역기능을 저하시키는 식습관을 고칩니다.
특히 아이들의 식습관은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어떤음식을 먹는지 기록해보면
감기걸리기 전의 원인음식을 알수 있습니다.

5.기본을 우습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약은 어디까지만 보조요법입니다.
약으로 바이러스를 전부 잡을 수 있으면
투약후 사망한 사람들은 설명이 어렵습니다.  
즉 고위험군이면서도 대충 생활하다가
감염이 되면 약으로 해결하려는 생각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6. 특별한 노하우나 방법을 기대하셨다면
낙시글입니다.
그러나 중요성면에서는
정말로 먼저 고려해야 되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면역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결코 두려운 존재가 아닙니다.

최근 미국의 사태는 그들의 식단을 보면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신종플루는 밥상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합니다.
아이들 과자 주지 마세요.^^
IP : 121.132.xxx.3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ocque
    '09.10.26 9:19 PM (121.132.xxx.37)

    막연한 공포 보다는 적극적이 대처가 중요합니다.

    특히 몸이 약한 아이들은 더더욱
    기본을 챙겨 주시는게 중요합니다.

    아무것도 할수 없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집에서 챙겨 주실수 있는게 아주 많습니다.
    또 중요하구요.

  • 2.
    '09.10.26 10:02 PM (121.139.xxx.220)

    동감합니다.

    평소 잘 먹고 푹 쉬고 위생 철저히 하고 스트레스 적절히 풀면서 생활한다면,
    설령 바이러스가 들어왔더라도 내 몸의 면역기능이 잘 막아 줄거라고 생각합니다.

  • 3. 원글님
    '09.10.27 2:43 AM (220.75.xxx.180)

    빙고
    전 몇달간 외식안하고 줄곧 제가 한 음식 먹이다가
    어제 외식했어요 (갈비)
    집에서 조미료 안한 음식 먹다가 식당음식 먹으니
    모두다 맛없어 했답니다
    어느새 아이들도 조미료 안한 음식에 길들여져 있었다는 사실이 흐뭇하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7907 여기 밖에 글 쓸곳이 없네요 26 답답 2008/03/23 5,359
377906 일산집값은? 7 일산가고파 2008/03/23 1,625
377905 친구가 조산을 했는데 어떻게 도움을 줘야 할지 모르겠어요. 3 사과맘 2008/03/23 604
377904 코사무이 가보신분? 2 궁금 2008/03/23 510
377903 출산후 임신가능성이요 5 . 2008/03/23 638
377902 시아버지의 잔소리... 4 코스코 2008/03/23 1,268
377901 백금반지 갖고 싶은데, 조언 좀 주세요 10 훌후리 2008/03/23 1,681
377900 돌잔치에 갈때 의상... - 22개월 아가 데리고 갑니다... 4 아가엄마 2008/03/23 772
377899 백운호수 2 가을비 2008/03/23 802
377898 아들 키우시는분들... 좋은점이 뭔가요...? 23 예비맘 2008/03/23 2,272
377897 아직도 촌지를 바라는 선생님들이 있으시네요. 21 기가막혀서... 2008/03/23 4,212
377896 스카우트요...??? (컴대기) 2 고려중 2008/03/23 621
377895 무조건보세용 9 초롱 2008/03/23 1,408
377894 5년만에 과외를 다시 시작하려는데... 4 과외 2008/03/23 877
377893 돈주고 하는 피부관리실, 지존은 어디? 44 2008/03/23 4,608
377892 이비에스에서 하는 허클베리 핀을 보다가.. ^^ 12 ^^ 2008/03/23 1,128
377891 나들이 가실때 도시락 어디에 싸서 가져가세요? 7 도시락추천 2008/03/23 1,294
377890 고등어가 노랗게 뭐가 묻어 있는데 이게 뭔가요? 2 정말 2008/03/23 970
377889 초등, 중학생 과외비용 4 나는엄마 2008/03/23 1,559
377888 청소나 정리정돈,,수납으로 유명한 사이트 좀 부탁드려요 4 청소수납 2008/03/23 1,319
377887 군에 아들을 보내신 또는 , 보내실 분들에게 특히 공감가는 글 하나 있어 퍼옵니다. 2 멜라니 2008/03/23 532
377886 네이트에서 펀글 - 다시 노무현을 생각한다. 2 ... 2008/03/23 541
377885 코스트코의 아덴 가격문의 3 궁금 2008/03/23 657
377884 눈썹 반영구화장을 햇는데요.. 4 ㅠㅠ 2008/03/23 1,233
377883 6세 딸아이 이렇게 말 안듣나요? 6 힘들어요 2008/03/23 1,273
377882 어머님~버리려고 주시는건 아니지요?^^; 21 이걸로뭘하나.. 2008/03/23 4,965
377881 세상의아침 에서 방송된 미스터리쇼퍼 1 바위솔 2008/03/23 1,635
377880 남편이 자영업하는데 2 세금 2008/03/23 666
377879 중개업 하시는 분.. 5 창업 2008/03/23 764
377878 진흙쿠키를 먹는 아이들....행복한 눈물 효과 1 진화인 2008/03/23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