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지역난방이요........왜 이렇게 추워요?

난방 조회수 : 1,738
작성일 : 2009-10-15 22:03:12
전 중앙난방 하는데서 살다가

지역난방 아파트로 이사왔는데 오늘 처음 보일러 틀었는데

지금 4시간쯤 됐는데 방바닥이 미지근도 안하네요.

원래 이렇게 서서히 따뜻해지나요?

중앙난방은 금방 따뜻해지는데????
IP : 58.120.xxx.1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가벼운
    '09.10.15 10:05 PM (112.149.xxx.12)

    이런...방바닥의 물좀 빼셔야 겠어요. 관리실이나 수위 아저씨께 말씀드리면,,,아저씨들 오셔서 바께쓰에 물 빼주십니다.
    처음 이사가면 꼭 한번은 빼줘야 훈기가 돌더군요.

  • 2. 난방
    '09.10.15 10:10 PM (58.120.xxx.15)

    물을 뺐어요.
    그래도 마찬가지예요.........

  • 3. ***~~~
    '09.10.15 10:10 PM (211.222.xxx.38)

    혹시 온도를 약하게 선택하지않으셨는지요?
    요즈음 기온정도면 높은 온도를 선택하셔야 난방이 돌아갈꺼예요...
    저도 처음 지역난방 이사온후 난방안된다고 관리실 직원을 오시게한적있었어요.

  • 4. 난방
    '09.10.15 10:13 PM (58.120.xxx.15)

    최고로 끝까지 올렸어요.
    관리실서는 겨울이 아니라 온도가 낮게 오니까 그렇다고 그러는데.......
    리플주셔서 감사해요.

  • 5. 그게
    '09.10.15 10:23 PM (211.49.xxx.91)

    중앙난방은 싫으나 좋으나 난방을 전세대가 함께 하는데
    개별이나 지역난방은 난방을 하는집만 하기 때문에
    외부로 많이 뺏기는것도 있고 난방비 절약을 위해서
    관리실에서 온도조절을 하는걸로 알아요
    그러니까 아예 보내는 난방수 온도 자체가 낮을거예요

  • 6. 지역난방
    '09.10.15 11:24 PM (221.153.xxx.79)

    ...이라서 추운게 아니고요
    그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열을 낮게 내 보내고 있는겁니다.
    너무 추우면 관리사무소에 말씀을 자꾸 하셔야 하지만....
    이 정도 날씨에는 온도를 높여 주지는 않을거예요.
    난방비가 올라가잖아요 ㅎㅎ

  • 7. 제가 느낀 차이
    '09.10.16 12:44 AM (112.72.xxx.100)

    전 지역난방에서 살아본적은 없구요.

    개별난방,중앙난방식 아파트에서 살았는데,지역난방하고는 느낌이 다르더라구요..
    지역난방은 뭐랄까 바닥이 뜨듯해서 데펴지는게 아니라,
    좀 다르고(이걸 표현할려니 어째)
    개별난방이나 중앙난방이나 바닥이 먼저 뜨듯해서 훈기가 생기는게 느껴지거든요.
    근데 지역난방은 그런느낌이 없어요..
    화악 따스한 느낌은 덜해요..그렇다고 추운것도 아니고 훈훈한것도 아니고,그런 느낌???

  • 8. ...
    '09.10.16 2:43 AM (58.230.xxx.25)

    친구가 발산지구 몇년전에 새아파트 입주했는데 추워서 지역난방 싫다고 하더군요
    물을 빼고 온갖방법을 동원해도 소용이 없대요
    그쪽 아파트 동호회 카페에 가면 지역난방때문에 추워서 고민하는 글도 많구요

    지역난방이 도시가스보단 가격이 저렴해서 좋을줄 알았는데 발산지구, 수서, 용인 수지...
    하도 춥다는소리를 자주 들어서, 지역난방하면 미지근한 난방으로 생각되요

    근데 신랑친구가 수지 지역난방인데 그집은 1-2천원도 벌벌 떨정도로 워낙 알뜰하고
    케이블티비도 돈아까워서 공중파만 보는 집이라 그런건지, 지역난방이어도 무척 따뜻하고
    저렴하다고 아주 만족해해요

    지역난방은, 사는 사람들 생활방식에 따라서 선호도가 달라지는거 같아요

  • 9. 저도 수지
    '09.10.16 11:10 AM (124.80.xxx.10)

    바닥이 따끈하다고 느낄정도로 따뜻해요.
    아파트마다 공급온도가 다르다고 들었어요.

  • 10. ..
    '09.10.16 3:55 PM (118.220.xxx.154)

    저도 지역난방인데 작년에 난방비때문에 골머리를 엄청 썩은 후라..
    온도를 급격히 올리면 따뜻해지지않고 난방비만 낭비된답니다
    1도씩 올리고 또 올리고 저는 그래서 걍 타이머 기능으로 3시간에 30분씩 돌리는걸로 해요
    막 따뜻하진 않아도 춥지는 않거든요 암튼 이런저런 방법을 이요앻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4053 시부모님 칠순잔치를 해야하는데.. 꼭 해야하는 게 뭘까요? 7 칠순 2008/01/30 1,092
374052 자동차 세금이요 8 ?? 2008/01/30 373
374051 ㅋㅎ.. 입덧중에 특이한 음식이 먹고 싶으셨나요? 15 임산부 2008/01/30 571
374050 냉장고에 냄새퇴치용 티백을 넣어둘 때 질문입니다 ^^ 3 갑자기 2008/01/30 175
374049 씰리나 에이스침대 저렴하게 살 방법은 인터넷뿐인가요? 5 허리야~ 2008/01/30 653
374048 가족회원 본인이 가야하나요? 1 코스트코 2008/01/30 273
374047 호텔맴버쉽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 7 좋을까 2008/01/30 714
374046 락앤락터치병에 반찬이나 스파게티소스 담으면 오래 보관되나요 1 jnjn 2008/01/30 162
374045 마음 다스리기 6 부동산 2008/01/30 867
374044 영어에 대해 여쭐께요. 신랑에 관한 1 영어 2008/01/30 278
374043 논현동 재키스와 청담IA 비교해주실분요~~ 예비초등~~.. 2008/01/30 586
374042 19개월 아이 어린이집 보내도 될까요? 5 걱정맘 2008/01/30 393
374041 눈썰매장 갈때 필요한 것들 어디서 사나요? 4 궁금해요 2008/01/30 273
374040 키지갑중에 동전지갑이랑 겸용된게 있나요? 3 급질 2008/01/30 229
374039 고덕역 주위에 한의원. 2 ㅠㅠ 2008/01/30 257
374038 10주년 기념선물, 내가 나에게 하고 싶은데, 추천 좀.. 10 무심한남편 2008/01/30 1,012
374037 어린이집 보육교사라는 사람들 왜 저런대요?? 3 dj 2008/01/30 542
374036 마트에 메론이 26,400 이나 .... 3 허걱 2008/01/30 507
374035 요번명절때 시댁은 가고 종가집엔 안가려고 합니다. 1 요번 2008/01/30 348
374034 도우미분 명절때 얼마정도 드리면 될까요? 6 ^^ 2008/01/30 532
374033 공주 (부여박물관) 잘 아시는 분 10 ... 2008/01/30 464
374032 테솔과정 이수자가 자격요건이 된다면 영문과 졸업생들은? 16 영어전문교사.. 2008/01/30 1,394
374031 친구가 보험설계사가 됐어요 4 뭘 들지? 2008/01/30 494
374030 말린 국물용새우에 살짝 하얗게 곰팡이가 핀듯합니다..어쩌죠?? 2 황수연 2008/01/30 1,101
374029 설은 저희집에서 지낸데요... 8 2년차 2008/01/30 938
374028 의대에 갈 정도면 정말 영재급은 되야겠죠? 28 ... 2008/01/30 7,807
374027 자궁암 바이러스 예방주사를 맞으라네요 10 걱정 2008/01/30 1,136
374026 호주에서 줄리크 화장품들을 사려하는데요.. 1 줄리크 화장.. 2008/01/30 647
374025 지펠냉장고 오래쓰시다 문 색깔만 바꿔보신분 있으세여?? 1 ^^ 2008/01/30 439
374024 구청직장어린이집 들어가기 리플절실 2008/01/30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