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일이냐..육아냐..고민되서 머리가 터질거 같아요 ㅜㅜ

고민 조회수 : 630
작성일 : 2009-10-15 19:20:08
32개월 큰아들 그리고 작은아들이 이제 5개월이에요..
근데 너무 좋은기회가 찾아왔어요..월급도 좋은편이고..무엇보다 제가 너무 하고 싶었던
일이구요..직급도 꽤 높은편입니다..
문제는 5개월 아가인데..친정 어머니께서 봐주기로 하셨는데..
갑자기 못봐주신다네요..제 성격상 어린이집은 절대 못보낼거 같구..
이 기회 놓치면 평생 후회할거 같아..어제 밤에도 속상해서 울다 잤네요..
웬만하면 아기는 3돌까지는 엄마손에서 자라야 한다는데..그런거 생각하면
키워야 겠고 경제적인 여유로움과 저의 미래를 위해서 일해야겠고..
저 어떻해야 하나요...만약에 친정엄마 한테 맡긴다면 엄마만은 못하겠지만 어린이집보단 아기 정서에 좋겠죠?
친정엄마껜 죄송하지만 더 설득해서 부탁드리고 싶어요..ㅜㅜ
근데 "3살까지는 엄마가 키워라" 이 책을 읽으니 머리가 더 복잡해서 터질거 같네요..
6개월에서 12개월사이에 뇌가 폭팔적으로 성장하는데 이시기에는 사랑을 많이 줘야 한다네요..3돌까지는 뇌가 성장하는 시기라 자극도 많이 주어야 하고..머리가 너무 너무 복잡하네요..너무 두서없이 횡설수설 했네요..이해해 주세요..꾸벅 (..)
아무튼 지혜로우신 인생 선배님들의 조언 기다릴께요..부탁드립니다
IP : 125.176.xxx.2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9.10.15 7:23 PM (218.38.xxx.130)

    만 두살도 아니구 만 세살까지 키우시려면
    2년 반이 남았네요.

    저도 비슷한 고민 하는 입장에서..
    솔직히 남편 벌이로 웬만큼 경제력이 뒷받침 된다면
    전 아이를 키울 거예요.. 친정엄마에게도 미안하고. 내새끼는 내가 키우려구요.

    이것도 남편 벌이로 생활이 가능한, 사실상 남들보다 나은 환경에서 할 수 있는
    배부른 고민이에요..

    무엇이 인생에서 중요한지를 생각해보세요. ^-^;

  • 2. 저도
    '09.10.15 7:26 PM (211.245.xxx.40)

    위의 휴 님 의견과 비슷하구요.
    남편분 급여나 벌이는 어느정도 되는지요?
    그걸알아야...포기하시라 마라...말씀드릴수있을것같아요^^

  • 3. 흠.
    '09.10.15 7:29 PM (116.34.xxx.75)

    저 그 비슷한 고민을 수도 없이 했네요. 지금은 휴직중이긴 한데, 아직도 정답을 모르겠습니다.

    현재의 위치까지 오기 까지 공부한 어마어마한 시간과 그리고 회사에서 키워 준 걸 생각하면, 집에서 아이 키우는 게 사회에 도움이 그리 안 될 텐데, 이게 막상 내 문제가 되고 보니 정답이 없네요.

    안 그래도 아는 의사 선생님이 여자 의사들도 대부분 그런 고민을 하는데, 정답은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제 경우도 너무 커리어가 아까운 거 아니냐 하더군요. ㅠㅠ

    글쎄..남의 얘기라면.. 좋은 입주 아주머니 구하시라 말씀드리고 싶네요. ㅠㅠ

  • 4. 원글이
    '09.10.15 7:36 PM (125.176.xxx.23)

    남편이 직업군인인데..상여금 나오는달 빼고 250정도 밖에 안되요..ㅜㅜ 그나마 월급나올때 군인공제회에 적금도 붓고 있어..빠듯하네요ㅜㅜ 저는 만약에 일하게 된다면 250정도 받을거 같아요..일년후엔 월급이 훨씬 많이 오른다니 그것두 미련이 남구요 ㅜㅜ

  • 5. 고민하지 마시고
    '09.10.15 7:41 PM (211.216.xxx.103)

    입주 두시고 사세요. 입주는 중국분 쓰시면 130입니다. 지금은 경제적인거 보다는 본인의 커리어 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1년 육아로 쉬었더니 동기보다 3년~4년 승진에서 밀렸어요. 휴식기간을 두는 것이 좋지 않더라구요. 예전에 전문직인 분은 3살까지 끼고 살라고 조언했습니다. 전문직은 1~2년 쉬어본들 큰 문제가 없지만 일반 회사에서는 1~2년 쉬는거나 좋은 기회를 잡는것이 중요합니다. 대신에 주말에 더 충실하게 애들에게 잘 해주세요. 고민마시고 사람쓰는것을 추천합니다.

  • 6. .....
    '09.10.15 7:49 PM (221.150.xxx.121)

    그러시면 육아도우미 좋은 분 구하셔서 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이신가요? 아이 돌보는 일을 하고 싶어서요. 부족하지만 유아교육 전공했으며 저희 아이들도 중고생이라 시간이 많거든요.

  • 7. 저도
    '09.10.15 7:50 PM (122.36.xxx.164)

    저도 일하시라고 한표 드려요. 건강하시다면요.

  • 8.
    '09.10.15 8:29 PM (211.201.xxx.97)

    만약 저라고 가정한다면...
    아파트에 사시면 1층에 맡기고
    일합니다... 아기들은 금방 큽니다.. 잘 아시겠지만...
    아기 크고 나서 일자리가 없어요 ㅡ,.ㅡ;

  • 9.
    '09.10.15 8:36 PM (125.186.xxx.166)

    음..제 주변은.. 육아도우미 아줌마가 키운 집 애들이, 더 밝고 영리하기도 하네요 ㅎㅎㅎ.
    그런거 보면, 굳이 고집할 필요는 없을거 같아요~~ 애들이랑 대화를 많이 할 수 있는? 그런 분으로 찾으세요~

  • 10. 힘내자
    '09.10.16 11:51 AM (220.71.xxx.35)

    왜 0~3세 신화가 이렇게 우릴 괴롭힐까요
    저도 그 때 직장관두려했는데 애키워본 같은직종 선배들이 말리더군요 그땐 누구든지 행복하고 따듯하게 보살펴만주면된다고.
    나중에 더 크면 엄마의 능력이 더 요긴하니 시간 아껴두라고.
    정말 4~6세 되니까 데리고 다닐곳도 보여줄것도 많네요.
    일해도 되요.
    좋은어린이집을 알아보셔요. 왠만한 아줌마 1인보다 훨나아요.
    어린이집+친정엄마도 괜찮구요.
    다만 여자가 일하다보면 힘들고 억울하고 울적할때가 많아요.
    나만 이중삼중 고생한다싶고...
    일을 즐기고 자신에게도 적절한 보상을해주세요

    행복한두뇌라는책 일독글 권합니다.

  • 11. ...
    '09.10.16 12:33 PM (125.139.xxx.123)

    저도 내내 고민하던 문제고, 지금도 한번씩 맘 아파하는 부분이네요.
    저는 3살까지가 지능등에 더 중요하다고 해도 학교갔다와서 집에 엄마가 있는 것보다 중요한 건 없다고 생각해서 계속 일하고 있는 엄마예요. 저는 일을 쉬었다 해도 그리 큰 지장은 없는 직업이나, 애들이 클때까지 계속 쉴수는 없는 경우라서요. 제가 생각하는 기간은 2년정도고, 가장 효율적이고, 애들한테 도움이 될때라고 생각한게, 우리 큰애 8살이예요. 3세설은 생각하기 나름이지 않을까요?
    저는 친정엄마가 애를 봐주시기도 했고, 애기 봐주시는 분 도움 받기도 했는데요.
    친정엄마가 봐주시는 거 힘들어요. 서로 감정이 상하는 부분도 있고, 제가 원하는 바를 요구하기가 더 어렵더라구요. (저도 까칠한 엄마예요.)
    친정엄마한테 너무 부담드리지 마세요. 서로한테 별루예요.
    잘 하시는 분 찾아보심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3971 뭐가 문제인지.. 글쎄요 2008/01/29 476
373970 이회창씨가 5년전에 대통령이 되었었다면 어땠을까요? 13 궁금 2008/01/29 1,748
373969 부모님 지갑(듀퐁.페라가모,루이비통 몽블랑 등등) 뭐 사드리면 좋을까요? 11 단팥빵 2008/01/29 2,655
373968 코스트코 개점 시간이 몇시인가요? 내일 양재점 갈려구요...(냉무) 4 재키 2008/01/29 1,228
373967 탑차일드에서 아이한테 유아모델을 전속계약을 하자는데.. 7 탑차일드 2008/01/29 957
373966 진짜 한우고기 저렴하게 사는 방법 좀 알려 주세요 4 한우고기 2008/01/29 1,007
373965 요즘 금값1돈에140,000만원선이라는데... 8 요즘 금값-.. 2008/01/29 1,797
373964 루이비통 면세점 가격이. 2 .. 2008/01/29 922
373963 어린이도 편두통이 있나요?(아이가 머리가 아프다고해서) 7 엄마 2008/01/29 558
373962 조중동 말고 대안은 뭡니까? 19 도대체 뭘봐.. 2008/01/29 921
373961 시댁가면 먹는것가지고 구박당해보신분들 계신가요..-_- 23 짜증나 2008/01/29 3,662
373960 (급질)설연휴기간동안에 숙식하면서 소규모로 공부할수 있는곳이.. 4 있을까요? 2008/01/29 265
373959 롯데 면세점 할인 받는 카드? 3 면세점 2008/01/29 1,082
373958 직장맘들께 문의드려요 1 직장맘 2008/01/29 224
373957 화장실을 전문으로 청소하는 업체가 있나요? 1 겁많은주부 2008/01/29 374
373956 7세아이...미술학원..꼭 가야하나요? 8 미술 2008/01/29 985
373955 일년에 서너번 만나는 1 .. 2008/01/29 726
373954 장기주택마련저축 잘 아시는 분.... 3 장마 2008/01/29 387
373953 먼저 애들 학교보내신 선배님들께 5 예비학부모 2008/01/29 512
373952 결혼6년동안 절반은 떨어져살았네요.. 1 신세한탄좀 2008/01/29 800
373951 취직했습니다. 그런데.. 7 고민맘 2008/01/29 1,405
373950 베란다전용마루와 우드블라인드 해야할까요? 4 인테리어하시.. 2008/01/29 529
373949 용인시 분양 (성복지구와 신봉지구) 2 전세맘 2008/01/29 363
373948 서민정씨가 정말 부러워요.. 15 2008/01/29 10,912
373947 서초4동 서초 쇼핑 내에 반찬가게 아시는 분~ 2 ^^; 2008/01/29 374
373946 적립식 펀드 두개 오늘 금액 하향했네요... 4 .. 2008/01/29 982
373945 결혼전 시집 경제 여건을 어떻게 아셨나요? 23 결혼할까요?.. 2008/01/29 4,128
373944 총리로 지명된 한승*씨가 .. 6 아리까리 2008/01/29 1,275
373943 예비소집 하는데 아이이름이 빠져있어서 그냥 끼워넣는데... 2 궁금해요 2008/01/29 412
373942 집에서 두유 만드려면 어떻게 하는지요 7 혈압 2008/01/29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