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자가 되시려면 이렇게 하세요~~~~ ^^

플러스맨 조회수 : 1,450
작성일 : 2009-09-22 15:16:40
안녕하세요?

부동산 재테크의 도우미 플러스맨입니다.

여기저기 서핑하다가 좋은 글이 있어서 올려드립니다.


“최근 제가 상담한 분들 얘기를 먼저 할게요. 결혼한 지 얼마 안 된 각자 월 수입이 3백50만원인 부부죠. 많이 벌고 많이 쓰는 데 익숙해져 있다 보니 저축한 돈은 별로 없었어요. 그래서 아주 간단히 두 사람의 용돈 통장을 따로 만들어 각각 1백만원씩 쓰게 했어요. 그 안에서 뭐든 해결하기로 했는데 의외로 잘 지키더라고요. 1백만원이 찍힌 자신만의 통장을 갖게 되면 그 돈을 지키고 싶은 욕심이 생기는 게 당연하거든요. 이 부부는 스스로의 의지로 점점 용돈을 줄여나갔어요.”

포도재무설계의 이세진씨는 절약할 수밖에 없는 몇 가지 패턴이 있다고 말했다. 첫째가 가계부 쓰기, 두 번째는 부부가 각자의 통장을 만들어 지출을 분리하는 것, 세 번째는 신용카드를 쓰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이 세 가지만 지켜도 지출이 현저히 줄어드는 게 눈에 보인다고 합니다.


1. 가계부를 쓰고 예산을 세운다.

일단 3개월간 무식하게 가계부를 적는다. 대신 소득을 정확하게 적어라. 자신의 소득이 늘어났는지 줄어들

었는지 정확하게 알아야 소비를 계획할 수 있다. 3개월간 무식하게 적은 가계부를 놓고 평균을 내 소비 규

모를 파악한 후 줄일 수 있는 부분을 줄여 예산을 세운다. 그 후에는 예산에 맞춰 소비생활을 하는 것이다.




2. 남편과 아내 용돈 통장을 따로 만들어 분리한다.

주부들을 보면 나는 개인적인 돈을 쓰지 않는다고 하는데 생활비 속에 개인이 쓰는 돈이 다 들어 있다. 남

편 용돈, 아내 용돈을 정확하게 구분해 각자의 용돈 통장을 따로 만들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자신이 얼마를

쓰는지 한눈에 보여야 줄여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또 자신만을 위한 돈인 용돈 통장 잔고를 보면 지키고 싶

다는 생각에 저절로 소비가 줄어든다.




3. 용도에 따라 통장을 분리하고 월급이 들어오는 즉시 나눠 넣는다.

용돈 통장 외에 돈 나가는 통장(생활비 통장), 돈 들어오는 통장(저축, 연금 등 금융상품으로 지출되는 돈),

비정기적으로 사용되는 목돈을 넣어놓는 통장 등으로 통장을 분리한다. 월급이 들어오면 가계부에 적힌 예

산대로 각 통장에 나눠 넣고 그에 맞춰 소비한다.




4. 저수지 통장을 유용하게 활용한다.

집안 행사나 명절 때 등 1년에 한두 번 목돈이 나갈 때가 있다. 또 예상치 않게 나가는 돈도 있다. 이럴 때를

대비해 여유자금을 넣어놓는 통장을 만들어 활용한다. ‘저수지 통장’이라고 이름을 붙여 연말정산 환급금이

나 성과급 등을 받았을 때 이 통장에 넣어놓으면 좋다. 급할 때 쓸 수 있는 돈이 따로 있기 때문에 매달 저

축을 좀 빠듯하게 하더라도 두려울 것이 없다.




5. 신용카드는 지금 당장 없애라.

신용카드 사용은 과소비의 지름길이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가계부에서 이번 달 지출로 써야 할

지 다음달 지출로 써야 할지 고민하다 결국 헷갈린다며 가계부를 덮어버린다. 요즘엔 체크카드에도 신용카

드 버금가는 혜택이 있으니 이를 이용하거나 현금만 사용하는 것도 좋다. 체크카드를 쓰면 가계부를 못 써

도 그게 가계부가 된다.




6. 지출의 5~10%는 무조건 줄여본다.

가계부를 펴놓고 스스로 줄일 수 있는 항목을 체크해본다. 생활비나 용돈은 무조건 5~10% 이상 줄인다. 식

비 40만원을 36만원으로 줄이는 건 어렵지 않다. 용돈도 마찬가지. 생활비나 용돈을 5~10% 줄이는 게 한

달만 보면 얼마 아니지만 1년이 되면 목돈이 되고 또 그게 평생을 간다고 생각하면 어마 어마 한 차이다.




7. 소비는 기록하면서 하라.

마트나 시장 갈 때 필요한 항목을 꼭 기록한다. 아이가 장난감 사달라고 조르면 엄마가 적어온 것 말고 다

른 걸 사면 아이에게도 장난감을 사주겠다고 ‘게임’을 제안해보라. 그로 인해 엄마의 의지도 강해지고 아이

에게도 경제교육이 된다.




8. 소비도 심리전이다.

한 달 생활비를 2백만원으로 예산을 세워놨을때 25일째에 2백10만원을 썼다면 마지막 주까지 3백만 원을

쓰는 경우가 많다. 아예 포기해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25일째에 1백90만원을 썼다면 오히려 악착같이 아껴서

몇 만원을 남긴다. 미리 체크해서 예산을 초과해 소비하는 일은 없도록 한다.




9. ‘몰빵’ 소비를 하지 마라.

가족의 옷을 살 때도 엄마 옷, 아빠 옷, 아이 옷을 한 번에 사지 말고 아이 옷은 이달에, 엄마 옷은 다음달에,

아빠 옷은 또 그다음 달에 산다. 소비를 분산해야 가계를 꾸리는데 무리가 없다.




10. 보너스 받는 달에 더 아껴라.

사람들은 대부분 적게 들어오면 적게 쓰고 많이 들어오면 많이 쓴다. 그래서 보너스 받는 달엔 평달의 두

배를 쓴다. 그렇게 되면 보너스 받는 달에 쓴 카드대금 때문에 다음달에 힘들어지게 된다. 더욱 큰 문제는 1

2월과 1월에 성과급이나 연말정산 환급금이 들어오면 사고 싶은 것 사고 외식도 마음대로 하면서 과소비를

하게 되는데 그 여파가 3~4월까지 간다. 보너스 받는 달에 더 아끼면 돈이 두 배로 쌓이지만 과소비하면 악

순환이 계속된다.




11. 미혼은 자동차 사지 마라.

자동차를 사야겠다면 차 굴리는 사람들이 1년에 얼마를 더 쓰는지 먼저 따져봐라. 중형차를 샀을 경우 보험

료가 1백만원 이상, 때 되면 엔진오일 갈아야 하고 세금도 내야 하니 적어도 2백40만원은 더 들어간다.




12. 아껴서 남긴 돈은 이미 가입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라

알뜰하게 살림해 생활비가 20만원 남았다고 할 때, 가장 좋은 것은 이미 가입해 있는 금융상품에 추가로 납

입하는 것. 2~3개월 후에 필요한 건 CMA 같은 곳에 넣고 단기간에 필요치 않은 여윳돈은 대부분 하나쯤은

있는 장기주택마련저축에 추가 불입한다. 추가 납입이 가능한 연금보험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추가

납입한 돈에 대해서는 사업비가 아주 적게 빠져 가입자에겐 이익이다.




13. 적금은 만기가 됐을 때 찾을 수 있는 돈이 자신 월급보다는 많게 설계하라.

요즘 사람들은 1억 만들기, 3억만들기 등 목돈에 대한 환상이 너무 크다. 하지만 우리가 매달 20만원씩 예

금할 때 이자가 붙어도 1년에 2백50만원이 채 안된다. 이 돈이 한 달 월급밖에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 열심

히 모아놓고 푼돈처럼 흐지부지 써버린다. 그래서 저축 상품에 가입할 때는 1년 동안 모은 게 자신의 월급

보다는 많아야 목돈으로 생각하고 재투자하게 된다.




14. 추가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든다.

예를 들면 장기주택마련저축은 1년에 3백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매달 62만5천원을 넣으면 소

득공제 혜택을 꽉 채워 받는 것이다. 그런데 처음에 저축을 설계할 때 장기주택마련저축에는 55만원만 책

정해놓는다. 그러면 소득공제를 한도까지 받기 위해 욕심을 내서 저축을 더할 것이고 그렇게 하려면 쓰는

돈을 줄일 수밖에 없게 된다 .




15. 대출도 끊임없이 관리하라.

현금서비스나 신용대출은 적금을 깨서라도 갚는 게 낫다. 한편, 대출이 있다면 끊임없이 관리하라. 대출을

받을 때만 은행에 가지 말고 중간 중간 관리 차원에서 은행을 찾도록 한다. 연봉이 올랐다면 창구에 가서

“연봉이 올랐고 그간 대출금 이자도 꼬박꼬박 냈으니 이자 금리를 낮춰달라”고 요구하라. 마이너스 통장이

나 신용대출이 있다면 이 방법이 매우 유용하다.

=====================================================================================
성공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
오셔서 공부 많이 하시고, 부우우우우우우우자 되세요~~~~~~~~~~~~~~~ ^^
다음카페: 플러스맨21
http://cafe.daum.net/plusman21/  ..

IP : 211.195.xxx.11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9.9.22 5:24 PM (218.239.xxx.24)

    네~

  • 2. ^^
    '09.9.22 7:17 PM (125.182.xxx.39)

    좋은내용감사합니다..
    실천해볼께요..^^
    모두다 부자되는 세상~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5631 상품권은 어디서 사나요? 8 또 질문 2007/11/20 479
365630 동화구연을 하면 어떤점이 좋은가요? 3 첫아이 2007/11/20 452
365629 영국가면... 4 .. 2007/11/20 488
365628 옷 반품후 취소영수증 카드사로 매입 안시키고 있는 매장 어떻할까요? 5 .. 2007/11/20 578
365627 공증서.... 2 .. 2007/11/20 105
365626 층간소음 얘기가 나와서... 저도 욕먹을까요? 11 4층사람 2007/11/20 1,413
365625 부산 어린이집 체험학습장에서 실종된 어린이 찾았나요? 7 걱정맘 2007/11/20 999
365624 끝없이 들어가는 음식..있으신가요? 36 .... 2007/11/20 2,757
365623 검정깨 국산 어떻게 분별하는지요? 궁금 2007/11/20 181
365622 꼬마들 찍어줄 디카 추천해주세요,,(30만원대전후) 6 ^^ 2007/11/20 424
365621 싸이월드 잘 아시는 분..... 9 싸이월드 2007/11/20 928
365620 오래 앉아 있으면 꼬리뼈가 많이 아파요.. 3 꼬리뼈 2007/11/20 1,622
365619 청정하기님께서 어려운 이웃에 도움을... 7 부겐베리아 2007/11/20 578
365618 개미약 효과보고 싶어요... 10 100일 아.. 2007/11/20 439
365617 코스트코 냉동코너에 파는 티라미수케잌 맛있나요? 4 궁금이 2007/11/20 1,041
365616 미래에셋 / 슈로더(?) 5 브릭스 2007/11/20 1,140
365615 syl입니다. 아래 저 찾으신 분께...^^;; (2) 11 syl 2007/11/20 1,074
365614 전기장판 사용하면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요? 7 궁금이 2007/11/20 833
365613 ok캐쉬백 포인트요~ 5 참참참 2007/11/20 727
365612 실내온도18도이면 추운거죠? 18 난방할까말까.. 2007/11/20 5,533
365611 내일 오전까지 반명함 사진을 찍어야하는데...(일산) 1 급해요..... 2007/11/20 229
365610 네스프레소 캡슐 아직 국내에서는 배송까지는 안되는거지요? 부산 2007/11/20 133
365609 빌레로이 이노바 조언 좀..제발요.. 2 노란풍선 2007/11/20 288
365608 여론조사 전화 받아본 분 있나요? 9 이상한 지지.. 2007/11/20 410
365607 순산한다는 한약 '불수산'에 대해서 아시는분 계신가요? 7 임산부 2007/11/20 607
365606 요즘대출 고정금리가 나을까요 변동금리가 나을까요? 4 부동산 2007/11/20 477
365605 카드를 새로 만든다면..어떤걸로.. 5 카드 2007/11/20 818
365604 지마켓 해피바스 필요하신분. 토끼부인 2007/11/20 162
365603 계약 만기일보다 2달 먼저 이사간다하니, 주인이 잔금 5500만원은 계약 만기일에 준데요... 10 세입자 2007/11/20 741
365602 세종대학 3 .. 2007/11/20 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