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고기압일때 왜 날씨가 맑은가요?

날씨 조회수 : 1,561
작성일 : 2009-09-16 18:55:11
아들이 물어보는데 (6학년)..모르겠어요.
지식인에 검색해도 속시원한 답이 없네요..ㅠ.ㅠ

막연히 저기압이면 날이 흐리다..라고는 알고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쉽게 설명해 주실분~~
IP : 211.108.xxx.1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9.9.16 7:08 PM (125.188.xxx.24)

    공기(바람)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잖아요.
    비를 품고 있는 구름들이 모두 저기압쪽으로 가기 때문에 고기압에서는 공기가 맑을수 밖에요..그래서 아래쪽 구름들이 모두 이동하기 때문에 위에 있는 구름들이 아래로 내려와요(고기압에선 하강 기류가,저기압에선 몰려드는 구름들 때문에 상승기루가 발생한대요-중학교 과정임)

    크레듀엠 가면 3일 무료 강좌체험이 있어요.
    이번에 저도 3일 동안 일기 부분을 집중해서 듣게 했네요...
    엠베스트보다는 조금 떨어진듯 하지만 무료로 설명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한 번 듣게 하세요...

  • 2. 나시달세
    '09.9.16 7:12 PM (210.178.xxx.126)

    고기압은 '하강기류', 저기압은 '상승기류' - 이게 키포인트입니다.

    [저기압]
    지표면으로부터 상승기류가 발생하므로 지표면에서 공기의 압력이 낮아져 저기압이라 부르죠.
    그렇게 올라간 공기는 온도가 낮아지고(높은 산에 올라가면 춥고 눈도 녹지 않지요),
    온도가 낮아지면 수증기응결이 나타나 구름이 형성 되어(마치 겨울철 입김처럼)
    날이 흐려집니다. 구름이 더욱 발달하면 비구름으로 커져서 비가 내리지요.

    [고기압]
    지표면으로 하강기류가 내려오므로 지표면에서의 공기 압력이 높아져 고기압이라 부릅니다.
    지표면에 가까이 내려올수록 기온이 올라가며
    기온이 올라가면 수증기가 증발하게 되어 구름이 없어져 맑은 날이 됩니다.

    고기압일때는 물풍선인 인체도 적당한 압력을 받아 기분이 좋아져요.
    저기압일때는 축~~~~ 늘어지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더해서 고기압의 하강기류는 지표면에 만나 사방으로 퍼진 후
    저기압의 상승기류로 텅 빈 공간을 메우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바람'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바람이 분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

  • 3. 요맘
    '09.9.16 8:54 PM (124.56.xxx.53)

    공기 기둥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한쪽은 공기 기둥의 높이가 높고, 한쪽은 낮아요.
    그럼 공기 기둥이 높은 쪽의 지면에서는 받는 압력이 더 크겠죠. 공기 기둥이 낮은 쪽에 비해서요.
    그래서 고기압, 저기압이 생기는 거에요.

    고기압 저기압은 상대적인 거에요.
    A 지역의 기압이 1000hPa(헥토파스칼)이고, B지역이 1004hPA이면
    A가 저기압, B가 고기압입니다.
    그런데 A가 1000hPa이고 C 지역이 996hPa이라면
    A는 고기압, C는 저기압이에요.

    위에서 누르는 힘이 고기압 쪽이 더 세니까 고기압 쪽에서 공기가 내려와서 저기압 쪽으로 가고 (그래서 바람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어요)
    저기압 쪽에서는 받은 바람을 위로 불어 올리는 거에요.

    (저기압 지역에서) 공기가 상승하면서 수증기 응결 - 구름 생성의 과정을 거치고요.
    고기압에서는 반대로, 있던 구름도 없어질 지경이죠..
    그러니 날씨가 맑은 거에요.

  • 4. 첨언
    '09.9.16 9:07 PM (210.205.xxx.176)

    윗분들 말씀 맞구요.
    좀 더 쉽게 설명드리자면
    일단 지역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는게 일단계입니다.
    (이유는 여러가지인데.. 예를 들면 바닷가 주위와 산간지역, 들판과 강가지역 등 지역마다 지형적 차이가 있어 기온이 조금씩 다르죠.)

    온도가 높으면 부피가 팽창(가벼워짐), 낮으면 부피가 수축(무거워짐)합니다.
    그래서 온도가 낮은 곳에는 단위면적당 공기 양이 많아 기압이 높아지고 온도가 높은 곳에는 공기의 양이 적어 기압이 낮아집니다.
    * 온도가 낮다고 추운 곳이라고 생각하지는 마시고요, 주위보다 온도가 낮다, 주위보다 온도가 높다라고 생각하셔야 됩니다.

    수평적으로 보면 온도가 낮은 곳(공기가 많은 곳)에서 온도가 높은 곳(공기가 적은곳)으로 공기의 흐름(곧, 바람)이 생깁니다.
    수직적으로 보면 온도가 낮은 곳(기압이 높은 곳)에서는 하강(위에서 내려와 옆으로 퍼지는)기류가,
    온도가 높은 곳(기압이 낮은 곳)에서는 상승(옆에서 모여 위로 올라가는)기류가 발생합니다.

    요약하면
    온도가 낮은 곳 => 공기수축 => 공기양이 많다(고기압) => 공기의 흐름 : 밖으로 나간다 => 수직적으로 하강기류 발생
    온도가 높은 곳 => 공기팽창 => 공기양이 적다(저기압) => 공기의 흐름 : 안으로 들어온다 => 수직적으로 상승기류 발생

    나시달세님 말씀에서처럼
    하강과 상승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증발과 응결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하강시에는 지표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상승하므로 공기중 수증기가 증발(액체->기체)되어 날씨가 맑아지고요.
    상승시에는 지표에서 멀어질수록 기온이 떨어지므로 공기중 수증기가 응결(기체->액체)되어 비구름이 생기고 비가 오는 거지요.

    * 여기에서 지표면으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상승한다는 것과
    맨처음에 하강기류가 생기는 곳은 온도가 낮은 곳이라는 말을 아이가 헛갈려 할 수 있는데요
    처음에 온도가 낮으냐 높으냐가 뜻하는 것은 수평적으로 주변보다 높으냐 낮으냐를 의미하는 것이고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도,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도,
    수직적으로 봤을때는 지표면으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높아진다는 것을 말씀해 주시면 됩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시원해지는 걸 생각하면 됩니다.
    (아이가 헛갈려하지 않으면 아무말도 안하시는 게 나아요. 더 자세히 말해주려고 괜히 말했다가 아이가 오히려 더 혼동할 수 있거든요)

    아이에게 설명하시려면 먼저 원글님이 완벽히 이해하고 계셔야 합니다.
    그림으로 그려보시고 꼼꼼히 생각해 보신 후에 아이에게 설명해 주세요. 홧팅!

  • 5. 원글
    '09.9.17 9:59 AM (211.108.xxx.17)

    답변들을 이제야 봤네요.
    한번 읽어서는 모르겠어요 -_-;;.
    첨언님 말씀처럼 그림 그려가며 찬찬히 먼저 공부하겠습니다.

    알고 있어도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주시기 쉽지 않을텐데..
    ..님/나시달세님/요맘님/첨언님,,네분 정말 감사합니다. 꾸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8997 처마끝처럼 어깨가 올라가는거요 생명력이 얼마나 갈까요? 4 요즘 유행하.. 2009/09/16 652
488996 아이 영어 홈클래스 보내보셨거나 엄마들 홈클래스 가보신 분들? .. 2009/09/16 173
488995 초등학생 딸아이의 친구관계 넘 힘드네요.. 2009/09/16 743
488994 시어머니 얘기에요. 14 코즈코즈 2009/09/16 1,740
488993 요즘 공부 잘하는 중학생들은 다들 특목고만 가나요? 6 그럼 2009/09/16 1,193
488992 황설탕이 백설탕보다 좋지않나요?? 17 설탕질문 2009/09/16 1,957
488991 피아노 악보보는 연습 어떻해 해야 할까요. 4 아짐 2009/09/16 1,810
488990 이번 추석 선물은 무엇으로 정하셨는지요? 궁금해요 2009/09/16 161
488989 스타일에서 나온가죽자켓.. . 2009/09/16 865
488988 노원구 유명한 산부인과 여자선생님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2009/09/16 978
488987 사찰에 영아 버린 사람들 잡고보니… 4 세우실 2009/09/16 2,047
488986 이번 토요일 결혼식에 갈 때 여름 의상은 좀 그렇겠지요? 3 친구 결혼식.. 2009/09/16 2,232
488985 된장찌개에 쓴 맛 고추씨가 거뭇한거 썼는데요 3 찌개버림 2009/09/16 1,053
488984 어제 발송된 gs이숍 이멜- 테팔후라이팬 이메일 특가 메일있으신분.. 2 혹시 2009/09/16 459
488983 너무 고민돼요(대학 캠퍼스 출신) 21 고민 2009/09/16 1,867
488982 부모가 출장다녀오면 유치원 보내지 말아야.. 하필 이럴때.. 2009/09/16 298
488981 메밀 베개.........사용하지 마세요~ 으으으으..... 10 으으으 2009/09/16 3,360
488980 오쿠에 양파나 포도즙 내릴때... 4 질문 2009/09/16 1,087
488979 보험회사 때문에 너무 속상합니다. 2 교통사고 2009/09/16 378
488978 저녁밥 하는데 음식냄새 난다고 하는 앞집.... 127 2009/09/16 9,346
488977 보통 폐경은 몇살쯤 오나요~ 8 .. 2009/09/16 1,875
488976 전자충격기 구입비 5년동안 60억 썼다 1 세우실 2009/09/16 212
488975 월 300여 만원 받는데 차를 살수 있을까요? 17 차바꾸고픈이.. 2009/09/16 1,444
488974 백화점 쓰던 화장품 교환 될까요? 6 갈등 2009/09/16 1,068
488973 화장품 어디서 사세요? 8 미라클 2009/09/16 954
488972 돌아가는 경제상황 1 궁금 2009/09/16 407
488971 그럼, 고등학교 가서 잘하는 아이는 어떤 아이인가요? 30 .. 2009/09/16 2,772
488970 결혼식장 하객으로 와서... 2 ? 2009/09/16 815
488969 바디슈트와 레그...조언 부탁드려요. 4 초보맘 2009/09/16 425
488968 전 땡땡이 가르치는 엄마인가 11 봐요 2009/09/16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