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고기압일때 왜 날씨가 맑은가요?

날씨 조회수 : 1,591
작성일 : 2009-09-16 18:55:11
아들이 물어보는데 (6학년)..모르겠어요.
지식인에 검색해도 속시원한 답이 없네요..ㅠ.ㅠ

막연히 저기압이면 날이 흐리다..라고는 알고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쉽게 설명해 주실분~~
IP : 211.108.xxx.1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9.9.16 7:08 PM (125.188.xxx.24)

    공기(바람)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잖아요.
    비를 품고 있는 구름들이 모두 저기압쪽으로 가기 때문에 고기압에서는 공기가 맑을수 밖에요..그래서 아래쪽 구름들이 모두 이동하기 때문에 위에 있는 구름들이 아래로 내려와요(고기압에선 하강 기류가,저기압에선 몰려드는 구름들 때문에 상승기루가 발생한대요-중학교 과정임)

    크레듀엠 가면 3일 무료 강좌체험이 있어요.
    이번에 저도 3일 동안 일기 부분을 집중해서 듣게 했네요...
    엠베스트보다는 조금 떨어진듯 하지만 무료로 설명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한 번 듣게 하세요...

  • 2. 나시달세
    '09.9.16 7:12 PM (210.178.xxx.126)

    고기압은 '하강기류', 저기압은 '상승기류' - 이게 키포인트입니다.

    [저기압]
    지표면으로부터 상승기류가 발생하므로 지표면에서 공기의 압력이 낮아져 저기압이라 부르죠.
    그렇게 올라간 공기는 온도가 낮아지고(높은 산에 올라가면 춥고 눈도 녹지 않지요),
    온도가 낮아지면 수증기응결이 나타나 구름이 형성 되어(마치 겨울철 입김처럼)
    날이 흐려집니다. 구름이 더욱 발달하면 비구름으로 커져서 비가 내리지요.

    [고기압]
    지표면으로 하강기류가 내려오므로 지표면에서의 공기 압력이 높아져 고기압이라 부릅니다.
    지표면에 가까이 내려올수록 기온이 올라가며
    기온이 올라가면 수증기가 증발하게 되어 구름이 없어져 맑은 날이 됩니다.

    고기압일때는 물풍선인 인체도 적당한 압력을 받아 기분이 좋아져요.
    저기압일때는 축~~~~ 늘어지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더해서 고기압의 하강기류는 지표면에 만나 사방으로 퍼진 후
    저기압의 상승기류로 텅 빈 공간을 메우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바람'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바람이 분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

  • 3. 요맘
    '09.9.16 8:54 PM (124.56.xxx.53)

    공기 기둥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한쪽은 공기 기둥의 높이가 높고, 한쪽은 낮아요.
    그럼 공기 기둥이 높은 쪽의 지면에서는 받는 압력이 더 크겠죠. 공기 기둥이 낮은 쪽에 비해서요.
    그래서 고기압, 저기압이 생기는 거에요.

    고기압 저기압은 상대적인 거에요.
    A 지역의 기압이 1000hPa(헥토파스칼)이고, B지역이 1004hPA이면
    A가 저기압, B가 고기압입니다.
    그런데 A가 1000hPa이고 C 지역이 996hPa이라면
    A는 고기압, C는 저기압이에요.

    위에서 누르는 힘이 고기압 쪽이 더 세니까 고기압 쪽에서 공기가 내려와서 저기압 쪽으로 가고 (그래서 바람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어요)
    저기압 쪽에서는 받은 바람을 위로 불어 올리는 거에요.

    (저기압 지역에서) 공기가 상승하면서 수증기 응결 - 구름 생성의 과정을 거치고요.
    고기압에서는 반대로, 있던 구름도 없어질 지경이죠..
    그러니 날씨가 맑은 거에요.

  • 4. 첨언
    '09.9.16 9:07 PM (210.205.xxx.176)

    윗분들 말씀 맞구요.
    좀 더 쉽게 설명드리자면
    일단 지역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는게 일단계입니다.
    (이유는 여러가지인데.. 예를 들면 바닷가 주위와 산간지역, 들판과 강가지역 등 지역마다 지형적 차이가 있어 기온이 조금씩 다르죠.)

    온도가 높으면 부피가 팽창(가벼워짐), 낮으면 부피가 수축(무거워짐)합니다.
    그래서 온도가 낮은 곳에는 단위면적당 공기 양이 많아 기압이 높아지고 온도가 높은 곳에는 공기의 양이 적어 기압이 낮아집니다.
    * 온도가 낮다고 추운 곳이라고 생각하지는 마시고요, 주위보다 온도가 낮다, 주위보다 온도가 높다라고 생각하셔야 됩니다.

    수평적으로 보면 온도가 낮은 곳(공기가 많은 곳)에서 온도가 높은 곳(공기가 적은곳)으로 공기의 흐름(곧, 바람)이 생깁니다.
    수직적으로 보면 온도가 낮은 곳(기압이 높은 곳)에서는 하강(위에서 내려와 옆으로 퍼지는)기류가,
    온도가 높은 곳(기압이 낮은 곳)에서는 상승(옆에서 모여 위로 올라가는)기류가 발생합니다.

    요약하면
    온도가 낮은 곳 => 공기수축 => 공기양이 많다(고기압) => 공기의 흐름 : 밖으로 나간다 => 수직적으로 하강기류 발생
    온도가 높은 곳 => 공기팽창 => 공기양이 적다(저기압) => 공기의 흐름 : 안으로 들어온다 => 수직적으로 상승기류 발생

    나시달세님 말씀에서처럼
    하강과 상승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증발과 응결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하강시에는 지표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상승하므로 공기중 수증기가 증발(액체->기체)되어 날씨가 맑아지고요.
    상승시에는 지표에서 멀어질수록 기온이 떨어지므로 공기중 수증기가 응결(기체->액체)되어 비구름이 생기고 비가 오는 거지요.

    * 여기에서 지표면으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상승한다는 것과
    맨처음에 하강기류가 생기는 곳은 온도가 낮은 곳이라는 말을 아이가 헛갈려 할 수 있는데요
    처음에 온도가 낮으냐 높으냐가 뜻하는 것은 수평적으로 주변보다 높으냐 낮으냐를 의미하는 것이고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도,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도,
    수직적으로 봤을때는 지표면으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높아진다는 것을 말씀해 주시면 됩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시원해지는 걸 생각하면 됩니다.
    (아이가 헛갈려하지 않으면 아무말도 안하시는 게 나아요. 더 자세히 말해주려고 괜히 말했다가 아이가 오히려 더 혼동할 수 있거든요)

    아이에게 설명하시려면 먼저 원글님이 완벽히 이해하고 계셔야 합니다.
    그림으로 그려보시고 꼼꼼히 생각해 보신 후에 아이에게 설명해 주세요. 홧팅!

  • 5. 원글
    '09.9.17 9:59 AM (211.108.xxx.17)

    답변들을 이제야 봤네요.
    한번 읽어서는 모르겠어요 -_-;;.
    첨언님 말씀처럼 그림 그려가며 찬찬히 먼저 공부하겠습니다.

    알고 있어도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주시기 쉽지 않을텐데..
    ..님/나시달세님/요맘님/첨언님,,네분 정말 감사합니다. 꾸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3051 남편과 관계시 상처가 나요.. 21 ㅇㅇㅇ 2007/11/07 4,879
363050 남편 상사 사모님 생신 선물 추천해 주세요 4 부탁 2007/11/07 1,012
363049 미국유치원 보내고 있는데요...T.T 6 영어교육 2007/11/07 1,182
363048 룸바....지르고 싶은 맘이 굴뚝....어짤까나.... 4 ... 2007/11/07 422
363047 82cook 쇼핑에서 보고산 겨울재킷 6 유니클로 2007/11/07 1,805
363046 어제의 want to be에 이은 질문 드려요 5 공부중 2007/11/07 406
363045 얼결에 취직이 되었습니다. 11 김명진 2007/11/07 2,508
363044 내 피부가 빨리 늙는 17가지 생활습관 김 사랑 2007/11/07 1,526
363043 중국 국제 항공 2 여행 2007/11/07 266
363042 돌이 아직 남았는데 생우유 먹여도 될까요? 6 ... 2007/11/07 253
363041 한냉육포 2 green 2007/11/07 355
363040 답례품 꼭 해야할까요? 15 돌잔치 2007/11/07 742
363039 코엑스 아쿠아리움 48개월 미만 둘이면 한명은 돈 내야 하나요? 3 아이 많이 .. 2007/11/07 278
363038 발레학원 보내시는 분이나 보내셨던분께 질문입니다. (발표회 관련) 4 고민맘 2007/11/07 343
363037 코렐사각냄비 뚜껑까지 오븐에 넣어도 되죠? ^^ 2007/11/07 236
363036 아이입주변이 부었어요-치과종사하시는 분 꼭 좀 봐주세요 2 크리스티나 2007/11/07 143
363035 남동생부인에게 반말해도 되죠?? 12 궁금이 2007/11/07 2,003
363034 인사이트혼합형A 4 펀드 2007/11/07 959
363033 주량이 보통 어떻게 되세요? 4 @.@ 2007/11/07 443
363032 굴떡국 레시피 좀 알려주세요 1 굴떡국 2007/11/07 194
363031 다시 옷사이즈 질문 더요 죄송해요ㅜ,ㅜ 2 애들 2007/11/07 231
363030 시어머니와 제주도 가을여행 며느리 2007/11/07 322
363029 아들녀석이 지갑에 손을.... 4 바늘도둑 2007/11/07 660
363028 최근 코스트코 다녀오신분 - 장난감 많이 들어왔나욧? 2 질문 2007/11/07 703
363027 자유적립식.임의식.. 1 펀드 2007/11/07 464
363026 남편의 발령으로 해외에서 몇년 살다 오신분 계신가요? 12 싱숭생숭 2007/11/07 1,447
363025 일방적인 부부관계.. 9 .. 2007/11/07 5,383
363024 해외여행 가면 욕 먹을까요? 13 머리아퍼요 2007/11/07 1,629
363023 시내에 인당 10만원선에서 남편과 스파/마사지 할 곳 추천부탁드려요 3 다시 2007/11/07 568
363022 (급질) 1957년도 3만원이면 지금의 어느 정도인가요? 3 2007/11/07 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