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고기압일때 왜 날씨가 맑은가요?

날씨 조회수 : 1,576
작성일 : 2009-09-16 18:55:11
아들이 물어보는데 (6학년)..모르겠어요.
지식인에 검색해도 속시원한 답이 없네요..ㅠ.ㅠ

막연히 저기압이면 날이 흐리다..라고는 알고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쉽게 설명해 주실분~~
IP : 211.108.xxx.1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9.9.16 7:08 PM (125.188.xxx.24)

    공기(바람)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잖아요.
    비를 품고 있는 구름들이 모두 저기압쪽으로 가기 때문에 고기압에서는 공기가 맑을수 밖에요..그래서 아래쪽 구름들이 모두 이동하기 때문에 위에 있는 구름들이 아래로 내려와요(고기압에선 하강 기류가,저기압에선 몰려드는 구름들 때문에 상승기루가 발생한대요-중학교 과정임)

    크레듀엠 가면 3일 무료 강좌체험이 있어요.
    이번에 저도 3일 동안 일기 부분을 집중해서 듣게 했네요...
    엠베스트보다는 조금 떨어진듯 하지만 무료로 설명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한 번 듣게 하세요...

  • 2. 나시달세
    '09.9.16 7:12 PM (210.178.xxx.126)

    고기압은 '하강기류', 저기압은 '상승기류' - 이게 키포인트입니다.

    [저기압]
    지표면으로부터 상승기류가 발생하므로 지표면에서 공기의 압력이 낮아져 저기압이라 부르죠.
    그렇게 올라간 공기는 온도가 낮아지고(높은 산에 올라가면 춥고 눈도 녹지 않지요),
    온도가 낮아지면 수증기응결이 나타나 구름이 형성 되어(마치 겨울철 입김처럼)
    날이 흐려집니다. 구름이 더욱 발달하면 비구름으로 커져서 비가 내리지요.

    [고기압]
    지표면으로 하강기류가 내려오므로 지표면에서의 공기 압력이 높아져 고기압이라 부릅니다.
    지표면에 가까이 내려올수록 기온이 올라가며
    기온이 올라가면 수증기가 증발하게 되어 구름이 없어져 맑은 날이 됩니다.

    고기압일때는 물풍선인 인체도 적당한 압력을 받아 기분이 좋아져요.
    저기압일때는 축~~~~ 늘어지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더해서 고기압의 하강기류는 지표면에 만나 사방으로 퍼진 후
    저기압의 상승기류로 텅 빈 공간을 메우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바람'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바람이 분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

  • 3. 요맘
    '09.9.16 8:54 PM (124.56.xxx.53)

    공기 기둥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한쪽은 공기 기둥의 높이가 높고, 한쪽은 낮아요.
    그럼 공기 기둥이 높은 쪽의 지면에서는 받는 압력이 더 크겠죠. 공기 기둥이 낮은 쪽에 비해서요.
    그래서 고기압, 저기압이 생기는 거에요.

    고기압 저기압은 상대적인 거에요.
    A 지역의 기압이 1000hPa(헥토파스칼)이고, B지역이 1004hPA이면
    A가 저기압, B가 고기압입니다.
    그런데 A가 1000hPa이고 C 지역이 996hPa이라면
    A는 고기압, C는 저기압이에요.

    위에서 누르는 힘이 고기압 쪽이 더 세니까 고기압 쪽에서 공기가 내려와서 저기압 쪽으로 가고 (그래서 바람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어요)
    저기압 쪽에서는 받은 바람을 위로 불어 올리는 거에요.

    (저기압 지역에서) 공기가 상승하면서 수증기 응결 - 구름 생성의 과정을 거치고요.
    고기압에서는 반대로, 있던 구름도 없어질 지경이죠..
    그러니 날씨가 맑은 거에요.

  • 4. 첨언
    '09.9.16 9:07 PM (210.205.xxx.176)

    윗분들 말씀 맞구요.
    좀 더 쉽게 설명드리자면
    일단 지역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는게 일단계입니다.
    (이유는 여러가지인데.. 예를 들면 바닷가 주위와 산간지역, 들판과 강가지역 등 지역마다 지형적 차이가 있어 기온이 조금씩 다르죠.)

    온도가 높으면 부피가 팽창(가벼워짐), 낮으면 부피가 수축(무거워짐)합니다.
    그래서 온도가 낮은 곳에는 단위면적당 공기 양이 많아 기압이 높아지고 온도가 높은 곳에는 공기의 양이 적어 기압이 낮아집니다.
    * 온도가 낮다고 추운 곳이라고 생각하지는 마시고요, 주위보다 온도가 낮다, 주위보다 온도가 높다라고 생각하셔야 됩니다.

    수평적으로 보면 온도가 낮은 곳(공기가 많은 곳)에서 온도가 높은 곳(공기가 적은곳)으로 공기의 흐름(곧, 바람)이 생깁니다.
    수직적으로 보면 온도가 낮은 곳(기압이 높은 곳)에서는 하강(위에서 내려와 옆으로 퍼지는)기류가,
    온도가 높은 곳(기압이 낮은 곳)에서는 상승(옆에서 모여 위로 올라가는)기류가 발생합니다.

    요약하면
    온도가 낮은 곳 => 공기수축 => 공기양이 많다(고기압) => 공기의 흐름 : 밖으로 나간다 => 수직적으로 하강기류 발생
    온도가 높은 곳 => 공기팽창 => 공기양이 적다(저기압) => 공기의 흐름 : 안으로 들어온다 => 수직적으로 상승기류 발생

    나시달세님 말씀에서처럼
    하강과 상승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증발과 응결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하강시에는 지표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상승하므로 공기중 수증기가 증발(액체->기체)되어 날씨가 맑아지고요.
    상승시에는 지표에서 멀어질수록 기온이 떨어지므로 공기중 수증기가 응결(기체->액체)되어 비구름이 생기고 비가 오는 거지요.

    * 여기에서 지표면으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상승한다는 것과
    맨처음에 하강기류가 생기는 곳은 온도가 낮은 곳이라는 말을 아이가 헛갈려 할 수 있는데요
    처음에 온도가 낮으냐 높으냐가 뜻하는 것은 수평적으로 주변보다 높으냐 낮으냐를 의미하는 것이고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도,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도,
    수직적으로 봤을때는 지표면으로 내려올수록 기온이 높아진다는 것을 말씀해 주시면 됩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시원해지는 걸 생각하면 됩니다.
    (아이가 헛갈려하지 않으면 아무말도 안하시는 게 나아요. 더 자세히 말해주려고 괜히 말했다가 아이가 오히려 더 혼동할 수 있거든요)

    아이에게 설명하시려면 먼저 원글님이 완벽히 이해하고 계셔야 합니다.
    그림으로 그려보시고 꼼꼼히 생각해 보신 후에 아이에게 설명해 주세요. 홧팅!

  • 5. 원글
    '09.9.17 9:59 AM (211.108.xxx.17)

    답변들을 이제야 봤네요.
    한번 읽어서는 모르겠어요 -_-;;.
    첨언님 말씀처럼 그림 그려가며 찬찬히 먼저 공부하겠습니다.

    알고 있어도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주시기 쉽지 않을텐데..
    ..님/나시달세님/요맘님/첨언님,,네분 정말 감사합니다. 꾸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3090 공통수학 2 수학진도 2007/11/07 400
363089 옥매트? 겨울에 하시나요? 6 .. 2007/11/07 656
363088 급질) 아들아이 연극의상 어디서 구할까요? 3 연극 2007/11/07 209
363087 쓸데없는 새 비누, 어떡하죠? 12 -_- 2007/11/07 1,819
363086 이뻐지고 싶어요... 5 이뻐지자.... 2007/11/07 1,272
363085 베트남 하노이 사시는 분 계세요? 2 ^^ 2007/11/07 334
363084 속독 해보신분 9 엄마는 괴 2007/11/07 663
363083 아이들 비자 관련 질문&국제면허증 3 우짜쓰까나 2007/11/07 281
363082 윗집서 물이샜구만 도배는 우리보고 하라네요ㅠㅠ 19 휴.. 2007/11/07 1,531
363081 이삿짐 장기보관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우짜쓰까나 2007/11/07 344
363080 은행 직원이 자꾸 반말하는데요..ㅠㅠ 24 반말하지마... 2007/11/07 4,133
363079 자게 보면서 2 2007/11/07 563
363078 훌라후프해서 살 빼신 분 계시나요? 4 궁금 2007/11/07 772
363077 신기한 한글나라 어떤가요?? 6 한솔교육 2007/11/07 599
363076 일요일날 사다놓은 꼬막.. 냉장고에있는데.... 먹어도 될까요? 1 꼬막 2007/11/07 329
363075 물질에 욕심없는 사람도 있나요? 8 .. 2007/11/07 3,234
363074 (급) 번역 부탁요.. 4 .. 2007/11/07 213
363073 짧은 스커트 괜찮나요? 7 40살 2007/11/07 673
363072 잠실에 유명한 한복집? 2 질문 2007/11/07 500
363071 네비게이션 추천해주셔요. 3 자동차에 2007/11/07 396
363070 케이블tv 특정채널만 아예 안나오게 할수 없나요? 8 답답맘 2007/11/07 806
363069 영어 동화책 번역을 하고 싶은데요... 5 ^^ 2007/11/07 487
363068 증권사에 가지고 있는 주식수가 제가 생각하는 것과 차이가 나요. .. 2007/11/07 360
363067 서울 방이동 맛난 떡집.. 6 떡..주문 2007/11/07 628
363066 대전사시는 분들께 질문드릴게요 7 유치원 2007/11/07 782
363065 ok캐시백 포인트 온라인에서 어찌 사용하나요?? 8 캐쉬백 2007/11/07 534
363064 운동화에 페인트가 묻었어요. 지우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1 클레어 2007/11/07 550
363063 한우펀드라는거 어떤가요?? 1 음메 2007/11/07 191
363062 요즘 초딩들 카페나 게임사이트 어디 많이 이용하는가요 카페들 2007/11/07 129
363061 친정부모님 상담 부탁드려요 1 황혼 2007/11/07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