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집안끼리 모여서 벌초시 돈 얼마정도씩 내시나요?(점심값)

4년차 솥뚜껑운전 조회수 : 666
작성일 : 2009-09-08 19:59:31
안녕하세요?
결혼한지 4년째인데요 슬슬 벌초때가 다가오니 슬슬 또 신경이 쓰여서 글올립니다
시댁에 큰아버지랑 사이가 안좋다가 우리가 결혼하면서 분위기 좋아지면서
울시댁(시골)에서 벌초때 점심을 하게 되었는데요...
큰아버지 식구(아들 3명인데 항상 큰아들만 따라오구요)랑 우리랑 먼친척분들....
남자분만 10명정도 오는데요

울시어머님은 음식을 전혀 안하시니...벌초때마다 저혼자 시장봐서 점심 준비했거든요(우리돈으로)
동서가 도와줄때도 있고 안올때도 있구요
한해 두해 하다보니 3년째하고 올해 4년째네요

올해는 무슨 반찬을 해야되나? 국은 또 뭘 끓여야되나?
1년에 딱 한번 울집에 오시는 손님인데 음식도 신경쓰이고...한숨만 나오는데
마침 반갑게도 큰집 아주버님이 올해는 점심을 집에서 하지말라고했다네요
식당가서 먹고 밥값은 큰집에서 낸다고 했다네요

그런데두 시어머님께서는 그쪽에서 그렇게 이야기했다고 해서 안해도 되겠나는 식으로 이야기하면서
집에서 차렸음 싶은가 봅니다(저 임신중이라 하루종일 서서 음식해도 될런지 걱정도 되고)...흑흑흑
사실 어머님 마음도 이해는 되구요(아직은 어머님이 고향에 계시니 점심은 집에서 해주고 싶겠죠)
장보면 아무리 간단하게 한다고 해도 5만원 이상 들구요(나물꺼리는 시골이라 많구요)
이렇게 하다보면 저랑 울신랑만 뭔가 억울하네요
벌초때도 신랑이 예치기 다 고치고 기름 사넣고 시동생이랑 항상 몸으로 때우는데
밥은 밥대로 차려야되고
큰집 형님들이 3분이나 계시는데도 벌초때 한번도 안오시고
그래서 올해부터 사먹는김에 계돈이라 거두어 매년 계속 외식했음 싶은데요 다른집들은 어떻게들 하시나요?
올해 밥하면 내년에 또 해야되고 끝이 없지 싶어요




IP : 119.195.xxx.16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희는
    '09.9.8 8:22 PM (125.187.xxx.182)

    그냥 최고 연장자가 밥도 왕창 다 사고 그날 밤 술까지 코가 비뚤어지게 사줍니다.

  • 2. 도시락
    '09.9.8 8:24 PM (119.192.xxx.51)

    벌초 도시락이라면 학 띠는 사람입니다.
    17년전 6월에 결혼하고 8월인가 9월 벌초에 저보고 도시락을 싸라고 남편이 하던군요.
    새댁이고 처음 시집와서 싸는 도시락이라 별 군말 없이 정성들여 있는 솜씨 없는 솜씨 다 부려 싸 주었습니다.
    그리곤 내리 17년을 도시락은 제 차지가 되었답니다.
    손위 동서는 강건너 불구경 저에게 수고 한단 말한 마디 없었구요.
    마치 `네가 좋아서 싸지 나 도와 주려고 싸냐? 하는 식으로 생각하더군요.
    그 놈의 도시락 때문에 남편과 벌초 앞두고 사네마네 하면서 피튀기면 싸운 것이 한 두번이 아닙니다.
    전 남편에게 앞으로는 형님과 한 해씩 돌아 가면서 싸자고 얘기하라고 하면 남편 왈 "내가 먹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싸줘"하고 말하더군요.
    도시락뿐 아니라 벌초에 들어가는 모든 경비까지 다 우리집에서 내야 합니다.
    우리가 잘 살아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뒷짐지고 있으니까요.
    벌초 만 생각하면 응분이 되나서 두서 없이 떠들었어요.

  • 3. ..
    '09.9.8 9:05 PM (125.177.xxx.55)

    글쎄요
    우린 시부모님 재산 몽땅 큰 아들 주셨고 시골서 농사 지으며 산소 옆에 사시니

    그냥 알아서 혼자 하세요 산소도 몇개 안되고요

    그러라고 주신거려니 하고 다른 아들들 한푼 안받고 뭐라고도 안했고요

    위 도시락님네도 너무하네요 친정쪽은 알아서 본인들 먹을거 각자 싸오던데요

  • 4. 자급자족
    '09.9.8 9:31 PM (211.54.xxx.40)

    이 제일인데 ...
    저희집안은 각자 도시락 준비해서 가는 분위기인데
    아무래도 큰댁에서 밑반찬을 좀 많이 해서 보내시는 듯 해요.
    저녁은 대신 시할머님이 생존해 계셔서 (아흔이 넘으셨어요 ^^)
    할머님댁에 모여 저녁먹고 헤어지는 분위기
    큰어머님이 항상내려오셔서 준비하셨어요.

    큰어머님이 이번에 못내려오시고 큰형님이 애들데리고 오신다네요.
    주말에 시간 괜찮으냐고 물으시는 형님께 괜찮다고 했어요.
    직장생활에 힘드실텐데 좀있음 추석에 내려오실텐데도 마다않고 내려오시는 형님앞에서
    꾀 피울수 있나요
    서울서 지방까지 애들데리고 오신다는데 주말에 그냥 있기가 미안해서요
    그동안 외국나가있어 열외였는데 이제부터는 같이 해야겠죠.
    저도 저희시댁 맏며느리라 큰댁의 큰형님입장이
    십분 이해가 되서리 ~그리고 저보다 한살어리시지만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고
    확실히 틀리시거든요 장손 며느리는 아무나 하는거 아는거 같아요
    그냥 자연스럽게 형님~하게 하는 포스가 있으시다는 ...

    그리고 저희 시댁은 집안 남자 형제분들 벌초 참석안하면 무조건 벌금
    장남 차남 상관없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9871 수능 보는 집에 미리 힘 내라고 보낼 만한것?? 8 수능 2007/10/22 727
359870 양재 코스코에 초딩 겨울양말 들어왔나요? 짱구맘 2007/10/22 85
359869 임신하고 출산 한 후에도 계속 가래가 있네요... 1 임신 증상일.. 2007/10/22 198
359868 한경* 스팀 청소기 모두 이물질 나오나요?? 2 스팀청소기 2007/10/22 314
359867 귓볼에 뭔가 만져지는데 어떤 병원 가야 할까요? 7 어떤 병원?.. 2007/10/22 770
359866 평창피닉스파크주변 볼거리 추천해주세요 1 피닉스파크 2007/10/22 231
359865 특이한 잠버릇 있으신 분~~ 13 참희안해요... 2007/10/22 676
359864 때로는 이혼할수 있는 경제력가진 여자연예인들이 4 부럽습니다 2007/10/22 3,477
359863 키플링 가방 defea (데페아) 쓰기 편할까요? 2 키플링 2007/10/22 572
359862 코에난왕뾰류지...ㅜㅜ 3 ssun 2007/10/22 346
359861 질문) 탈모, 흰머리예방에 검은콩? 서래태 중 어느 콩이 좋은가요? 2 어떤 콩이 .. 2007/10/22 564
359860 중이염에 대해서... 7 초보새댁 2007/10/22 436
359859 이런경우 어떻게 대처 해야할까요 15 . 2007/10/22 1,387
359858 아이와 옷가지고 맨날 싸워요~ 18 .. 2007/10/22 1,026
359857 왼쪽 머리만 지끈지끈,왼쪽눈만, 왼쪽팔만 저려요? 이거 뭔 병인가요? 4 어디 병원?.. 2007/10/22 674
359856 이번주 목요일에 일본가는데요.. 11 일본여행 2007/10/22 747
359855 돌잔치 후기^^ 8 ~~ 2007/10/22 865
359854 선택을 도와 주세요~ 8 고민 2007/10/22 701
359853 싱크대 관련 문의! 2 초보새댁 2007/10/22 323
359852 제 아이가 초 1 남아인데요. 9 걱정맘 2007/10/22 725
359851 호주에서 사오면 좋은 영양제 브랜드? 호주 사시는 분들... 2 궁금... 2007/10/22 534
359850 집에 벌레가 나왔는데...뭘까요?(징거~) 6 으욱.. 2007/10/22 631
359849 칠순잔치때 꼭 한복을 셋트로 맞춰입어야하는 건가요? 9 고민맘 2007/10/22 1,019
359848 남 눈에 난 이상하게 보여. 13 왜그래 2007/10/22 2,070
359847 이 가을에 좋은 영화추천부탁해요~ 8 faith 2007/10/22 789
359846 6살 아이가 지역의료보험료를 내는건 어떤 경우인가요? 2 ... 2007/10/22 433
359845 요즘 머리카락이 너무 많이 빠져요 4 ㅠㅠ 2007/10/22 595
359844 아기들 무가당 플레인 요구르트 어디가면 살수 있나요? 3 2007/10/22 654
359843 추운날 경제 이야기 똑똑한 주부.. 2007/10/22 378
359842 중학생 아들이 집에서 기르기 좋은 것 4 추천 2007/10/22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