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해외 반입 물건 신고 피하려는 관행...

보기 안 좋음 조회수 : 602
작성일 : 2009-09-08 19:25:20
82에도 글이 올라오고
최근 제가 자주 가는 배낭여행 게시판에 이 문제와 관련해서
시끄러운 적이 있었어요.
안 걸리는 요령을 가르쳐 달라, 거기에 대해서 법을 지켜야 한다, 또 그 글에 대해서 혼자 까칠하게 군다...등등

우리가 준법에 대해서 특히 이중잣대를 가지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면세품에 대해서 일정 수준까지 혜택을 주는 선이 있는 건 당연한데
다들 400불로 뭘 사냐, 그러니 안 걸리게 하는 게 지혜로운 게 아니냐 이런 반응들을 많이 보았어요.

만약 400불이라는 기준선이 타당한 이유로 비현실적인 것이라면
거기에 문제제기가 되어서 해당 법이 바뀌면 될테지만, 그렇다고 논의가 이렇게 흐르는 것도 아니구요.
몇 천불 가방은 사도 세금은 아까우시다니... 쩝

자꾸 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그러면 도대체 원칙이란 어떻게 되는 것인지...


널리 퍼진 관행일수록 사람들의 심리적 저항이 크다는 걸 알지만
상식이 통하는 82(라 믿기)기에 글 함 남깁니다~

IP : 163.239.xxx.4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반성문
    '09.9.8 8:40 PM (218.186.xxx.233)

    제 얘깁니다. 외국 다녀올때 이것저것 천불어치는 샀던것 같은데 자진신고 안했습니다.
    횡단보도가 너무 멀어서 무단 횡단도 한적이 있습니다.
    길거리에 떨어진 10원 주워서 가진적도 있습니다.
    그런데요.. 준법이 바람직하다는건 알겠는데.. 모든 사람들이.. 정말 모든 사람들이 완벽하게 법을 준수하고 살면 너무 답답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그렇다고 살인이나 큰 범죄가 유연한 사고인것 같아 좋아보인다는건 절대 아닙니다.
    국민을 통제하기 편하기위해 만들어 놓은 자잘한 법규들을 숨막히게 모두 따라야한다면.. 우리가 조금은 불쌍하게 느껴져서요.
    그냥 조금은 요령껏 살아도 되지 않을까요? ㅎㅎㅎ
    평범한 서민이

  • 2. 음.
    '09.9.8 8:46 PM (124.3.xxx.141)

    그렇죠. 맞는 말씀예요.
    그런데요, 우리나라 세관 반입한도 금액이 너무 심해요.
    해외구매대행으로 ... 우편으로 받는경우 배송비포함 15만원 (한화기준)이랍니다.
    이웃나라 일본은 100만원정도..홍콩은 제한없다고 들었구요.
    옷 몇벌 사고 배송비 내면 15만원 금방이거든요. 특히 요즘같이 달러가 1200원이 넘어가는 상화이라면요.
    면세품도 마찬가지인것 같아요. 솔직히 400불... 좀 그렇지 않나요. 면세점 가면 천불 넘는 물건이 널려있는데 말이죠...

  • 3. 원글이
    '09.9.8 9:34 PM (163.239.xxx.49)

    반성문님~
    법을 준수하는 게 답답하다니요. 현행의 관세법이 무슨 악법이라도 되나요?
    물론 물가상승 대비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합리적인 논의를 해야된다고 제가
    원글에 썼구요.
    결국 님의 글에는 정당한 논거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음님~
    일본과 우리나라의 물가 수준에 대한 대비를 고려해야할 것 같네요.

  • 4. 이어서 원글
    '09.9.8 9:36 PM (163.239.xxx.49)

    쓰다가 짤렸네요.
    암튼 반입한도에 대한 기준이야 절대적인 것이 아닐테니 시대와 상황에 맞게 절차를 거쳐
    조율하면 될 일이구요. 저도 얼마전에 아마존에서 책을 30만원 가까이 샀는데
    관세청인지 대행 사무소에서 재깍 연락와서 2만 7천원 추가로 지불할 때 물론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살짝 스쳐가긴 했지만... 당연히 내야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만약 일본처럼 한도를 100만원으로 해도 100은 훌쩍 넘는 사치품의 경우(많이들 사시는 가방, 시계 등) 어차피 상황은 마찬가지 아닌가요?

  • 5. 위에
    '09.9.8 10:04 PM (78.49.xxx.44)

    홍콩은 원래 무관세 국가 니까 그렇죠 ㅡㅡ;; 일본은 소득 규모가 다르고.
    전 유럽에 있는데, 여기는 50유로가 기준이라 들었어요. 자그만거 하나 받아도 다 세금내야 하는 거죠.

  • 6. 세금..
    '09.9.8 10:19 PM (116.36.xxx.2)

    얘기가 나왔으니,,직장인 원천징수 빼고는 우리나라 국민들 세금 제대로 내고 있는거 맞을까요?
    우리나라에서 세금 제대로 안내는게 정상으로 인식되고 있는게 문제일 듯 싶네요

    관행이 굳어져서... 세금은 안낼 수있으면 안내는게 당연하다고 여겨지고
    그래서 면세품도 신고 안하고 그냥 가지고 올 수 있으면 가지고 오는게 당연히 여겨지는 거라 생각해요

    모두가 정당하게 세금내는 사회는 언제 올까요~~~

  • 7. 동감
    '09.9.9 10:19 AM (115.93.xxx.205)

    저도 원글님 생각에 동의해요. 통관할 때 세금 안 내고 싶어서 편법 쓰려고 하면서도
    같은 행동을 한 발가락녀를 욕하는 건 자기모순 아닌가 싶어요.
    규모가 다르다고 할지는 모르지만, 그게 그거 아닌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9871 수능 보는 집에 미리 힘 내라고 보낼 만한것?? 8 수능 2007/10/22 727
359870 양재 코스코에 초딩 겨울양말 들어왔나요? 짱구맘 2007/10/22 85
359869 임신하고 출산 한 후에도 계속 가래가 있네요... 1 임신 증상일.. 2007/10/22 198
359868 한경* 스팀 청소기 모두 이물질 나오나요?? 2 스팀청소기 2007/10/22 314
359867 귓볼에 뭔가 만져지는데 어떤 병원 가야 할까요? 7 어떤 병원?.. 2007/10/22 770
359866 평창피닉스파크주변 볼거리 추천해주세요 1 피닉스파크 2007/10/22 231
359865 특이한 잠버릇 있으신 분~~ 13 참희안해요... 2007/10/22 676
359864 때로는 이혼할수 있는 경제력가진 여자연예인들이 4 부럽습니다 2007/10/22 3,477
359863 키플링 가방 defea (데페아) 쓰기 편할까요? 2 키플링 2007/10/22 572
359862 코에난왕뾰류지...ㅜㅜ 3 ssun 2007/10/22 346
359861 질문) 탈모, 흰머리예방에 검은콩? 서래태 중 어느 콩이 좋은가요? 2 어떤 콩이 .. 2007/10/22 564
359860 중이염에 대해서... 7 초보새댁 2007/10/22 436
359859 이런경우 어떻게 대처 해야할까요 15 . 2007/10/22 1,387
359858 아이와 옷가지고 맨날 싸워요~ 18 .. 2007/10/22 1,026
359857 왼쪽 머리만 지끈지끈,왼쪽눈만, 왼쪽팔만 저려요? 이거 뭔 병인가요? 4 어디 병원?.. 2007/10/22 674
359856 이번주 목요일에 일본가는데요.. 11 일본여행 2007/10/22 747
359855 돌잔치 후기^^ 8 ~~ 2007/10/22 865
359854 선택을 도와 주세요~ 8 고민 2007/10/22 701
359853 싱크대 관련 문의! 2 초보새댁 2007/10/22 323
359852 제 아이가 초 1 남아인데요. 9 걱정맘 2007/10/22 725
359851 호주에서 사오면 좋은 영양제 브랜드? 호주 사시는 분들... 2 궁금... 2007/10/22 534
359850 집에 벌레가 나왔는데...뭘까요?(징거~) 6 으욱.. 2007/10/22 631
359849 칠순잔치때 꼭 한복을 셋트로 맞춰입어야하는 건가요? 9 고민맘 2007/10/22 1,019
359848 남 눈에 난 이상하게 보여. 13 왜그래 2007/10/22 2,070
359847 이 가을에 좋은 영화추천부탁해요~ 8 faith 2007/10/22 789
359846 6살 아이가 지역의료보험료를 내는건 어떤 경우인가요? 2 ... 2007/10/22 433
359845 요즘 머리카락이 너무 많이 빠져요 4 ㅠㅠ 2007/10/22 595
359844 아기들 무가당 플레인 요구르트 어디가면 살수 있나요? 3 2007/10/22 654
359843 추운날 경제 이야기 똑똑한 주부.. 2007/10/22 378
359842 중학생 아들이 집에서 기르기 좋은 것 4 추천 2007/10/22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