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동산 버블은 꺼진다…지금은 폭락 전 마지막 반등"

조심조심 조회수 : 4,468
작성일 : 2009-09-05 13:44:17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903173507§io...

IP : 119.196.xxx.239
3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조심조심
    '09.9.5 1:44 PM (119.196.xxx.239)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903173507§io...

  • 2. jk
    '09.9.5 1:47 PM (115.138.xxx.245)

    근데 제가 흥미로운 기사 하나를 읽었는데
    올해의 전세폭등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그 이유중 하나가
    올해 이주해야하는 뉴타운발 이주민들이 3만 가구 정도인데 근데도 시장이 이렇게 들썩이는데
    뉴타운때문에 내년에 허물기 시작해서 이주해야 하는 이주민들이 5만가구랍니다.
    그러니 내년은 더 심해질거라고....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linkid=11&articleid=20090...

  • 3.
    '09.9.5 1:50 PM (122.34.xxx.175)

    혹시 그 조심조심님이신가요? 아기는 잘 낳으셨는지...

  • 4. 88
    '09.9.5 1:55 PM (122.37.xxx.32)

    뉴타운이 다 조성된 다음엔 어떻게 될까요..

  • 5. 조심조심
    '09.9.5 1:56 PM (119.196.xxx.239)

    아니예요.
    부동산버블 조심하라고 닉을 그리한건데...

  • 6.
    '09.9.5 2:02 PM (222.236.xxx.5)

    수도권 보금자리 주택 6만호가 12년 입주라던데 것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요?
    수도권만 총 100만호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던데..

  • 7.
    '09.9.5 2:11 PM (119.196.xxx.239)

    전세가가 폭등하는건 뉴타운발 공급부족 때문이며 일시적 현상입니다.
    주택은 현재도 과잉공급인데 재개발 재건축등 신규공급이 다 이루어지고 인구감소, 노령화,결혼 안하구 집보다 자동차 사는 세태등으로 부동산이 폭락할거구 그건 쥐박이 퇴임후니
    책임질 사람은 없으므로 그런 시츄에이션이 벌어지기 전에 조심하자구요.

  • 8. 2015년이
    '09.9.5 2:12 PM (220.75.xxx.180)

    되기전에 팔수 있으면 팔으라고
    말이 2015년이지 햇수가 앞당길 수도 있지요

  • 9. jk
    '09.9.5 2:19 PM (115.138.xxx.245)

    전 솔직히 경제나 주가 집값에 대해서 예측하는건 주제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제가 그러는건 더더욱..
    관심분야이긴 하지만 사실 저도 그쪽으로 많은 지식이 있지 않고 많은 지식이 있다해도 경제문제는 예측이 참 힘듭니다.
    (정치나 화장품 음악 이런 문제는 사실 예측이 좀 쉽습니다.)

    우선 뉴타운이 다 개발된다해도 집값은 별 상관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흥미롭게 본 숫자가 있는데 그게 뭐냐면 정치관련해서 투표율과 투표인구를 보는데
    거기에서 [경기도 인구]의 증가율이 엄청나다는 것입니다.
    막상 서울 인구는 1천만에서 별 변화가 없습니다만 경기도 인구는 90년대에 500만도 안되는것이 지금은 서울인구보다 더 많이 늘었습니다.

    경기도가 좋아서 늘어났느냐? 아뇨.. 서울을 중심으로 해서 모여든 것입니다. 그렇기에 경기도 인구는 "서울에 진입하려는 인구"로 봐도 무방합니다. 서울 인구는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거든요.

    그렇기에 뉴타운이 완공된다 하더라도 집값 하락은 기대하기 힘듭니다. 왜냐면 경기도의 많은 인구가 서울 집값을 떠받쳐 줄겁니다.
    게다가 아무리 공급이 넘치는 지방이라도 새 아파트는 주변에 비해서 비쌉니다.
    뉴타운은 도시 중앙에 새로운 아파트와 주거지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절대!! 이전보다 가격이 내려갈수는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뉴타운을 다 만들었다 할지라도 뉴타운으로 인해서 집값 하락은 기대하기 좀 힘들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주택이 과잉공급인건 사실이지만 그건 전국적인 통계이구요.
    서울과 수도권은 인구가 계속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라서(그나마 집값이 높아서 그 유입이 줄어들고 있긴 합니다만) 균형발전으로 지방의 경제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면
    서울과 수도권의 집값이 폭락하는 일은 불가능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인구를 조절하지 않는한 그쪽 집값은 어느정도 선에서 유지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수요가 넘치고 공급은 한정되어 있는데 폭락을 기대하기는 힘들지요.

  • 10. 이런글
    '09.9.5 2:27 PM (122.34.xxx.39)

    함부로 이런글 믿지 말았음 싶어요. 예전에 여기말 듣고 주식 팔아서 무지 손해보고 욕먹었거든요. 자기 스스로 판단해야지요.

  • 11. 저도
    '09.9.5 2:32 PM (221.165.xxx.164)

    jk 님 말씀과 같은 생각입니다.
    폭락은 없을거라 생각되네요.. 풍선효과를 막기위해 수도권 dti규제가 나온걸로 알고있거든요.
    대기수요가 많다는건 가격의 하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액션을 취할층이 두텁다는 뜻이니까요.
    천천히 양극화가 시작되는듯 싶어요.
    지방에서 인서울을 염두에 두시는분들이 전보다 많아지신듯하구요...

  • 12. 잔잔
    '09.9.5 2:43 PM (219.250.xxx.139)

    미래 예측은 함부로 하는 건 아닌 게 맞는데, 선진국들 다 엄청 터져서 골골대는데 우리는 굳건할 거라고 믿는 것 자체가 어이없는 상황 아닐까 싶네요.

    어떤 분이 지금 강남의 집값을 주식에 빗대어 PER로 환산해 놓은 거 보니까 작전주에 들어가 있어 거품이 엄청나게 낀 주식이더군요.

  • 13. 선택은
    '09.9.5 2:43 PM (58.140.xxx.26)

    항상 본인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런 저런 현상들을 외면하고 살다가는 정말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기에 무시할 상황은 아닌것 같습니다. 특히 부동산이란게 큰 대출을 끼고 사는 서민들이 대부분이라면 그 피해가 상상을 초월할테니까요~

    더구나 불과 한달전만 해도 언론해서 미분양아파트가 속출하다고 하더니 어제는 미분양이 거의 해소되었다는 소식이 나오더군요. 그런데 그 이면엔 주공이 미분양아파트를 매입한다는 소식도 잠깐 인터넷 뉴스에만 나오곤 사라지더군요. ㅠ.ㅠ

    결국 터질 부동산시장을 이정권에서 인위적으로 분양한다는 말이 신빙성이 있다는 거죠.

    그렇다면 결국 부동산 시장이 1~2년새에 대폭락을 하진 않겠지만 결국 조금씩 내려갈 확률은 높아지는거고, 돈있는 사람들이야 돌려막기든 버티면 되겠지만 뭣모르고 대출 1억이상 받은 사람들은 10년이상 허리띠 졸라매고 살아야 하는데, 평생직장이 없는 지금 과연 장밋빛 미래만 있을까요?

    결국 본인이 여유가 되거나 적은 빚으로 집을 살 형편이 되면 사면 간단한거구,
    형편이 안된다면 무리한 대출은 정말 독약을 마실 수 있겠죠.

  • 14.
    '09.9.5 2:55 PM (220.85.xxx.187)

    이 주장을 하는 '선대인'씨가 바로 김광수경제연구소 부소장 아닌가요.
    이분은 늘 부동산 폭락을 외치더군요. 몇 년 전부터요. 그것도 대폭락.
    몇년전부터 대폭락을 주장하고 있는데 아직도네요.

  • 15. ㅎㅎ
    '09.9.5 3:00 PM (211.108.xxx.44)

    계속 폭락을 주장하다 보면
    예측이 언젠가 한번은 맞겠네요...

    정부는 집값이 오르는 것도 막지만
    폭락은 더 막을 겁니다.'
    금융이 부실해지니까요...

    인구 유입 구조상 최소한 수도권은 폭락은 없을 거 같습니다.

  • 16. ㅋㅋㅋ
    '09.9.5 3:23 PM (121.157.xxx.64)

    그 누가 정확한 예측을 할수 있을까요??.
    하지만 , 우리나라가 외인들에게 더이상 투자 메리트가 없어지는 순간에는 폭락하겠지요.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과연 외인들에게 투자 메리트가 있는걸까 ?
    예 어느정도는 있는것 같습니다.(전문가가 아니라 확신할수는 없으나)
    하지만 , 내수침체와 자원이 없는 우리로서는 항시 하락을 대비할수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외국자본의 유입이 없는 상황이라면 일면 거품일거라는 느낌입니다. 작년 12월을 생각한다면)

  • 17. ㅠㅠ
    '09.9.5 4:37 PM (121.131.xxx.56)

    휴..이런글도 이젠 싫다 뭘어쩌라는거지

  • 18. 음......
    '09.9.5 9:35 PM (112.149.xxx.12)

    슬슬 집장만의 시기가 오고 있는거 같네요.
    꼭 집값 하락소리가 나오고 몇개월 있다가 집값이 주춤하다고 추락하거나 소강기로 들어가요.
    아무도 집을 안사는시기요.

    이 글 보시고, 집 마련 하고싶으신 분들,,,,더 기다려 보세요. 기회가 또 오고 있네요.

  • 19. 저도
    '09.9.5 11:22 PM (220.118.xxx.118)

    부동산 폭락전 마지막 반등이라는 이 글 읽고 인쇄해 두었어요.
    지금 작은 집을 팔고 대출받아서 큰 평수로 가려고하는데 고민이 되네요.

    연봉 1억인데요. 5억 대출받아야해요. 1년에 3,000만원씩 이자를 내려고 하는데 너무 무리?
    월급의 25%이상 대출이자로 갚는것은 무리가 되겠죠?

    대출금리가 상승하거나 집값이 하락한다면 정말 더 큰일이고요.

  • 20. 지나가다
    '09.9.6 7:39 AM (119.64.xxx.230)

    김광수 연구소는 대표적인 비관론적 시각이고 반면 쥬라기는 낙관론적 시각을 가지고 계시지요. ^^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두 번은 맞다잖아요.
    비관론에 사로잡혀 있다보면 아무 것도 시도할 수 없답니다.
    유연한 사고와 대응으로 현명한 판단하시기를...
    저는 부동산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폭락은 없을 거라는데 한 표 던집니다.

  • 21. 집값 폴락은 없어요
    '09.9.6 7:54 AM (116.126.xxx.239)

    주위에 다들 돈없어서 못 사지 대출받을 능력이 없어 못 사지요
    전 이제 부동산예측은 안믿어요
    다들 서울로 서울로 하잖아요
    경기도도 서울대기조인데
    우리나라는 영원한 서울공화국인데 어쩔수없어요
    교육 경제 문화 다 집중이잖아요
    집없는 사람들이 대체로 이런 비관론을 믿지만 부자는 기회가 있으면 더 사더군요

  • 22. 진짜
    '09.9.6 8:50 AM (121.146.xxx.102)

    이런글은 좋지 않아요.
    작년 여기서 곧 나라가 망해서 이민을 어디로 갈까 에서 부터 사재기에...
    펀드를 팔아라,부화뇌농에 ....
    그때 덩달아 펀드 손해 보고 팔았으면 큰일 날뻔했수다.

  • 23. ..
    '09.9.6 9:18 AM (125.176.xxx.174)

    저도 작년에 나라 경제 망한다.. 펀드 팔아라.. 부동산 팔아라... 그 많던 글 과 동조 댓글 보고 느낀게... 82의 글도 골라서 보고 골라서 믿어야 겠다는거예요...

  • 24. 5656
    '09.9.6 9:31 AM (221.148.xxx.180)

    이사람 폭락론자(?)예요. 작년 금융위기때 '부동산 대폭락'이란 책을 썼었죠..제목이 확실한지 모르겠는데 선대인,심영철 공저였어요...동아일보 기자였을텐데, 암튼 책 판매를 위해 선정적인 제목을 많이 붙여요...전 별로 신뢰안해요

  • 25. 저도
    '09.9.6 9:46 AM (121.170.xxx.83)

    이런글 신뢰 안가요. 몇십년에도.. 당장 망할것처럼... 폭락부르짖는분들 많이 있었어요.

  • 26. ..
    '09.9.6 10:35 AM (218.238.xxx.118)

    이 글을 100프로 믿을 필요는 없지요
    참고로 조심하자는 거지..

    신종플루만 봐도 어떤 기사에는 일반 독감 수준이다 하고
    어떤 기사에서는 4개월 정도만에 800만명 감염이라고도 하고 휴교령 이야기도 하고..

    어떤 게 맞는지는 모르지만 최소한 정보를 알고 있고 예방할 수 있는 건 예방하자는 거지요..

  • 27. ...
    '09.9.6 11:24 AM (125.177.xxx.24)

    전세값 폭등의 한 요인이 집값 하락이라고 합니다.
    집값 하락, 대출금 압박 등 여러 요인으로 집을 사기보다는 전세를 살려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집값이 뛰는 거지요.
    정부에서는 공급 부족이 원인이라며 아파트 공급을 늘리겠다고 하지만,
    미분양아파트 문제는 여전히 골치거리이고,
    부족한 것은 집이 아니라 전세집입니다.
    인과관계를 교묘하게 왜곡시키며 건설업자만 배불리는 정책을 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파트 공급보다는 장기전세인 시프트의 확대가 더 필요하다고 봅니다.

  • 28. 절밥
    '09.9.6 12:42 PM (118.223.xxx.203)

    http://board.realestate.daum.net/gaia/do/estate/totalDebate/read?bbsId=freebo...

    선대인 씨가 다음 게시판에 케네디언이란 필명으로 올린 현장감 있는 뒷담화성 글입니다.

    윗 댓글 중에 김광수경제연구소를 약간 깔보는 듯한 분이 계신데... 기회재정부 등 경제 관료들도 돈 내고 사보는 리포트 생산 하는 곳입니다.

  • 29. ...
    '09.9.6 1:03 PM (218.156.xxx.229)

    언젠가 떨어지게 되어 있는건 당연하죠. 계속 오른다?? 그건 미친거죠.

    하지만 이 정권 아래에선...아닌 듯 합니다.

    "이명박" 이란 네임벨류 자체가...부동산 불패를 상징하는데요. 천박한 투기 심리와..

  • 30. 제 개인적인 생각은
    '09.9.6 1:53 PM (59.21.xxx.25)

    서울 중심부에 짓고 있는 뉴타운의 공급이 급증해서
    집 값이 폭락하리라 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심리,특히 대한민국 사람들의 심리는
    '새로운 것'을 너무 좋아한다는 겁니다
    거기에 더 보태면'고급스러운 것을' 선호하구요
    뉴타운에 들어설 새로운 아파트들과 강남 지역 주변의 아파트 들은
    아파트 안 지상으로 차가 안 다니고
    단지 안에 휘트니스 크럽은 물론 수영장까지,
    풍부한 녹지 조경에, 음식물 쓰레기까지
    진공 흡수 시스템으로 아파트 안의 생활이 깔끔하게 되어있고
    기존 아파트에 없는 시설이 있습니다
    게다가 마감재나 인테리어 또한 기존 아파트보다 고급스럽고 세련됬지요
    인간의 눈이란 보는 안목이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기존아파트 보다 새 아파트가 1억~2억 정도 비싸더라 하더라도
    무리를 해서라도 새 아파트로 옮기려고 할겁니다
    물론 여유있는 분들이야 3~4억 차이나도 쉽게 옮기겠지요
    게다가 새 아파트나 뉴타운 아파트는
    단지 안에 초등학교,중학고 끼고 기본 설계를 하기 때문에
    그런 면에서도 당연 새 아파트,뉴타운쪽을 선호하는 이유이기 도 하구요
    부동산의 예측에 다른 건 모르겠지만
    이 부분은 아마도 맞을거라 생각하기에
    향후 엄청나게 많은 뉴타운의 공급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집 값이 폭락할거 라는 건 아닐것 같다는 제 개인적인 소견을 말씀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8675 부산 해운대쪽 호텔 음식 추천 좀 해주세요. 3 부산에 2007/10/15 392
358674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 2007/10/15 114
358673 펀드 수익률 어느 정도 수익 나셨는지 리플달기 해보아요^^; 5 펀드 2007/10/15 1,637
358672 만약 82회원님 이라면?? 8 참참참. 2007/10/15 1,014
358671 뤼이비통은 보통 온라인 쇼핑몰에는 판매를 안하나요? 5 궁금이 2007/10/15 662
358670 mp3 음악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곳 좀 알려주세요.(무플절망) 2 ^^ 2007/10/15 428
358669 보험설계사 직업으로 어떤가요? 5 보험 2007/10/15 888
358668 유호정이 사는 주택 개조한 집이 어디에 있어요? 2 궁금이 2007/10/15 1,140
358667 피그먼트 침구 실용적일까요? 6 포드림 2007/10/15 707
358666 신혼여행 다녀와서 시부모님께 갈때... 3 결혼한 신부.. 2007/10/15 544
358665 그 많은 구두회사가 제대로 발에 맞는 구두를 왜 못 만드는 걸까요? 10 구두유감 2007/10/15 1,434
358664 아이가 아픈데요...어떤건가요? 8 ... 2007/10/15 466
358663 중요한건 이게아니다. 이런~ 2007/10/15 336
358662 두돌된 아이, 어린이집에 보냈어요. 6 어린이집 2007/10/15 617
358661 지인을 통해서 선물 받은 포도즙 .... 2 포도즙 2007/10/15 575
358660 모든 이야기가 <외모>와 관련된 친구 5 못난이 2007/10/15 1,142
358659 아랫 글 읽고 질문이요...인격장애 9 인격장애 2007/10/15 1,371
358658 남편분들은 주로 어떤 회사의 화장품을 쓰세요 ? 14 댁의 2007/10/15 834
358657 대학 졸업앨범.. 찍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ㅠㅠㅠ 11 졸업앨범 2007/10/15 1,599
358656 아들만키우는 선배님들 ..... 11 아들 둘 2007/10/15 992
358655 둘째 아이 출산할 때 큰아이 데리고 가는게 좋을까요? 7 고민 2007/10/15 447
358654 아이책추천 하늘맘 2007/10/15 97
358653 국간장 맛있는 곳? 맛있는 2007/10/15 287
358652 테르메덴이요.. 추울때 가도 좋은가요? 3 온천 2007/10/15 442
358651 속초 '마레몬스 호텔' 가보신 분들 계신가요? 2 설악산 2007/10/15 360
358650 싱글침대랑 슈퍼싱글... 2 침대 2007/10/15 567
358649 5세 아이 유치원 or 어린이집 1 고민맘 2007/10/15 412
358648 공구 사이트 괜찮은곳 없나요 주부 2007/10/15 98
358647 요즘 트롯트가 너무 듣기 좋네요, 나이가 들었나 ^^;; 3 트롯트 2007/10/15 269
358646 루비통 밀라노가 확실히 어느정도 싼가요? 3 !! 2007/10/15 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