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연금저축 추천좀
종류도 많아서 어떤거 드셨는지 답글좀 부탁드려요.
요번달안에 드는게 좋다는 기사가 떴더라구요.
빨리 결정을 해야해서요.
1. 이게
'09.9.2 10:32 AM (211.187.xxx.71)연령대, 대략의 연봉, 국민연금 등 다른 연금은 전혀 없으신지,
투자 성향(공격, 안정..공격형일 경우 원금만 보장받았을 경우에도 다른 돈으로 생활하실 수 있을지도 감안해야 하겠지요), 불입 가능 금액 등에 따라 여러 변수가 있겠더라구요.
이렇게 대충 글 올리시면 답해 드리기가 정말 어려워요.
설령 자세히 올리셨다고 하더라도 의외의 변수에 대한
최종 판단은 결국 본인이 해야 하는 것이므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공부를 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생명경험표인가 뭔가가 10월부터 바뀐대서
주요 보험사 연금 종류별로, 액수별로 장단점 다 비교해 봤는데
(주요 회사에서, 데이터 다 받아서 금리에 따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회사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냥 저축하기보다 얼마나 덕이 될지,
물가 인상률에 따라 실제로 받는 금액은 얼마인지 등등
일일이 다 계산해 봤어요)
가령 A보험을 25만원 몇 년 넣고, 몇 년 거치시키고, 몇 살에 받을 건지만 얘기하면
금리 몇 %에 실제로 얼마 받는다는 금액이 적힌 설계안을 메일로 보내줘요.
투자상품인 변액보험일 경우에는 원금만 남았을 때, 4%수익 시, 8%수익 시 이런 식으로
금액이 나와요.
설계사 말만 들으면 상품마다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홀랑홀랑 넘어가는데
여러 보험사 상품 비교 후....저흰 결국 안 드는 게 낫다는 결론을 내렸어요.
월 20~30만원대 소액이라고 하더라도 장기로 큰돈이 묶이는 것이라서(소액은 받는 금액도 너무 미미해요. 투자상품이라고 해봐야 소액인데 얼마나 투자수익이 생기겠어요. 거기다가
돈 가치 하락하면 정말 껌값이고, 많은 금액은...차라리 원금이 소멸되지 않는 저축으로
해서 이자 적당히 받다가 마지막 몇 년간은 원금 깎으면서 생활하면 덕일 것 같아요)
그냥 누가 어떤 상품이 좋을 것 같다고 해서 가입하는 건 아닌 것 같아요.
특히 설계사 말은 액면 그대로 다 믿지 말고 치명적인 결함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셔야 해요.
저는 네이버 지식인 기타 등등 인터넷 검색해서 사전지식 좀 쌓고 ㅎㅎ
여러 회사 상담사들과 일일이 전화해서 다시 한 번 더 비교했어요.
설계사들이 각자 미는 상품들이 있더라구요.
미는 상품들이 없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상품이 지닌 결정적인 결함은 말을 하지 않구요.
판매자들이 좀 피곤하겠지만
주력상품이 다른 판매자에게 다른 종류의 상품의 단점을 듣는 식의 전략도 필요해요.
종류가 많아 보이긴 한데 알고 보면 크게 4종류에요.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상품 한 종류 한 가지,
-공제되지 않는 상품 중에서는 금리연동형 일반 연금 보험 한 가지,
(이건 보험사 사업비가 계산된 금액에서 금리를 정하는 것이므로 금리 높은 회사
제품이 젤이에요)
-투자+안정형 변액 연금 한 가지,
-투자 비중이 높은 변액 연금 한 가지... 그렇게요.
같은 회사 같은 종류의 상품(금리가 0. 몇 %차이나기도 해요)
이라도 인터넷으로 판매하는 다이렉트 보험과
설계사가 판매하는 상품 이름이 다르더라구요. 이름만 다르다고 보면 돼요.
처음엔 정말 헷갈릴 정도인데 이렇게 헷갈리게 한 게 ...
소비자가 너무 어렵고 헷갈리니까 아예
전문가에게 맡기자는 마음을 갖게 하려고 그런 것 같아요.
장사는 장사라는 생각이 들어요. 특히 돈 장사...절대 어리숙하지 않고
사람은 고객 편일지 몰라도 돈은 절대로 고객 편이 아닌 것 같더라구요.
은행도 마찬가지지만요.
소득공제 상품 운운하셨으니 그것만 대충 말씀드리자만
판매자들 말로는 연봉 4600이상이면 가입하는 게 덕이고
이하면 손해라고들 할 거에요. 대략 50만원 정도는 공제되니까요.
그 말이 맞긴 한데 ... 이 상품은 비과세가 아니라서(다른 모든 상품은 비과세 복리에요)
당장은 이익이지만 나중에 세금으로 다시 나가야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삼모사격이지요. 그래도 돈 가치가 다르니 지금 떼는 게 더 낫긴 해요.
그런데 문제는 혹시 국민연금이 있거나 임대소득이 있거나 하면
나중에 연금 받을 때 그 모든 금액을 합산해서 종합소득세 개념으로 내야 돼서
5% 가량 뗀다고 하지만 실상은 원리금의 20%가 넘는 세금을 떼 간다는군요.
그런 것들 잘 파악해 보고 가입하든 일반 저축으로 하시든
현명한 결론을 내리시길 바랍니다.2. 이게
'09.9.2 10:40 AM (211.187.xxx.71)참고로 우체국 상품도 같이 비교해 봤었어요.
이 역시 장단점, 치명적 허점, 확실히 따져보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에겐 연금이 덕이다...라는 결론이 났을 때 가입하셔야
후회가 없을 거에요.
변액연금 해지율도 엄청 높다더군요.
연금은 약 7년 정도까지는 보험사 사업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그때까진 전혀 이득이 나지 않아요.
당연히 그 기간 중에 해지하면 엄청난 손실이 따르구요.
그렇다면 몇 년을 넣고 몇 년을 거치시켜야 덕일지 등등의 고려가 필요하겠지요...3. 비상
'09.9.2 10:55 AM (220.76.xxx.75) - 삭제된댓글요즘 연금저축으로는 lig상품도 괜찮은 것 같더라구요. 기타 다른 상품도 비교해보세요.
http://insulink.inz.kr/sub.php?ca=young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