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그냥 막 쓰는 비누 뭐가 좋을까요?
평소에 거품잘나고, 향좋은 나름,,순하다 생각해서 아이보리를 주로 썼어요..
명절에 들어오는 여러가지비누도 함께 쓰구요..
어제보니 비누가 거의 떨어져 마트에 갔는데..아이보리는 10개,12개 뭉치로 포장이되어 있거든요..
새삼스레 수입된날짜 확인하러 살피던중 성분표시에 2가지중 그중 하나가 눈에 번쩍!!
계면활성제..헉..그래서 다시 내려놓고,옆에 있던 국산 제품 이것저것 살피니 성분은 4,5가지이던데..
계면활성제는 적혀있질 않더라구요..아고고..이제까지 써왔지만 본이상 못살듯..
한참을 보는데..아이보리만 써왔던 터라 딱히 뭘고를지 몰라 그냥 왔네여- -
다이알비누인가..그것도 수입이던데..언뜻보니 성분표시가 보이질 않고..
당장사야 하는데..별것도 아닌거에 소심하게 ㅜㅜ
어떤 브랜드가 그래도 괜찮은건가요?
1. 그거
'09.8.29 11:26 AM (222.238.xxx.233)모든 비누에 다 들어있는 성분 아닌가요???
2. 가을
'09.8.29 11:30 AM (125.240.xxx.210)네 계면활성제가 들어가지 않는 비누는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수입산이던 국내산이던...3. ^^
'09.8.29 11:38 AM (218.37.xxx.84)계면활성제는 치약에도 들어가는걸로 아는데요.....
거품나는건 다 계면활성제 때문으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4. jk
'09.8.29 11:45 AM (115.138.xxx.245)계면활성제는 때를 제거하는 모든 성분이 포함되는 개념이고
비누역시도 계면활성제입니다. 계면활성제가 안들어있으면 때가 안빠져요.
쉽게 말해서 조미료라고 하면
참기름 참깨 소금 고추가루 MSG 등등등이 포함되고
그중에서 MSG가 문제가 되는거지 조미료 전체가 문제가 되는게 아니지요.
계면활성제도 마찬가지이지요. 비누자체가 모두 계면활성제입니다.
천연비누도 마찬가지이구요.
치약에 소량 들어있는건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라고 해서 합성계면활성제라고 문제가 되는 것이긴 한데 소량 들어있어서(치약 성분중에서 가장 적게 들어있습니다)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세제에는 계면활성제가 대량 들어있습니다. 다만 그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문제인거지요.5. 와우~
'09.8.29 11:50 AM (218.37.xxx.84)jk님... 다시한번만 정확히 알려주심 감사하겠어요
제대로 모르고 지나쳤던건데 오늘 확실히 좀 알고싶네요
그니깐... 세수비누나 빨래비누같은건 그자체가 천연 계면활성제이고
세탁기에 넣어 쓰는 합성세제는 천연이 아닌 합성계면활성제라고 이해하면 될까요?6. 계면활성제는
'09.8.29 11:51 AM (202.136.xxx.37)다 들어가요. 인공 대신 천연계면활성제
들어간 제품들은 있지만...암튼 천연 수제비누
장터나 쇼핑몰에서 많이 파는데 저렴한 아이로
골라보심이.7. ,,
'09.8.29 11:54 AM (59.19.xxx.125)다이알 비누,,
8. jk
'09.8.29 12:30 PM (115.138.xxx.245)비누는 만드는 방법이 아주 간단하답니다.
기름(오일)에 강염기를 넣으면 됩니다. 그럼 기름이 반응해서 비누가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지는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비누입니다. 천연비누도 마찬가지입니다.
천연비누의 경우 기름(오일)을 좀 더 좋은걸 쓰죠.
일반적으로는 팜유(라면튀길때 쓰는 기름)을 쓰고 천연비누들은 올리브오일과 팜유 그외 다른 식물성 오일을 섞어서 씁니다.
빨래비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식용유로 빨래비누 만들어 쓰시는 분들도 있죠.
비누 자체가 계면활성제인것이구요.
합성계면활성제라고 불리는것은 전혀 다른 과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종류도 아주 다양합니다.
폼클로 불리는건 보통 비누성분과 합성계면활성제를 섞어서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세제들은 세제마다 다릅니다. 같은 종류라도 들어가는 재료가 조금씩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