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하버드 교수가 전하는 김대중 전대통령 이야기 "

여울 조회수 : 624
작성일 : 2009-08-21 18:32:36
하버드 교수가 전하는 김대중 전대통령 이야기  

  
  

 




에드워드 베이커 교수(67)는 하버드 대학 옌칭연구소 부소장을 지냈으며 지금은 하버드 대학 한국학연구소 수석 프로그램 매니저이다.
그는 1970년대 중반부터 한국에서 민주화 운동을 도우며 인권·평화 운동을 펼쳤고 이후 아시아인권감시센터를 창립하기도 했다. 잠시 한국을 찾은 그를 8월13일 한양대 연구실에서 만나 인터뷰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위독한데 한국 민주화 운동을 도왔던 사람으로서 마음이 각별할 것 같다.
어 제 세브란스 병원에 문안을 가서 이희호 여사를 만났다. 김대중 대통령을 직접 보지 못했는데, 그건 이명박 대통령도 마찬가지였다고 한다. 이희호 여사 말로는 김 전 대통령이 말씀을 듣기는 하는데 말을 할 수는 없다고 했다. 거의 주무시는데, 잠자는 건지 의식이 없는 건지 걱정된다.

김대중 대통령을 언제 처음 만났나?
1975년 동교동 자택에서였다. 그때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금 아웅산 수치 여사처럼 가택 연금 중이었고, 나는 미국평화봉사단 일원으로 한국에 있었다. 당시 서울 서소문 풀브라이트 하우스에는 나를 비롯한 미국인 친구들이 모여 한국 민주주의에 대해 의견을 나누곤 했다. 이희호 여사는 영어를 잘해서 미국인들과 친분이 있었고, 김대중 선생은 47세에 늦깎이로 영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때 김 선생에게 영어를 가르쳤던 더글러스 리드라는 친구가 있었다. 그가 우리보고 동교동에 가볼 생각이 있느냐고 제안했다. 김대중 선생은 한국 민주화 영웅이었으므로 꼭 뵙고 싶었다. 동교동 자택에서 통역은 필요없었다. 우리도 한국어를 꽤 했고, 김대중 선생은 자신의 소신과 정책을 정확하게 영어로 이야기했다. 그가 영어를 참 빨리 배웠다고 생각했다.

이후 미국에서 또 그를 돕게 되었다.
첫 만남 이후 계속 연락을 주고받았다. 1983년 그가 석방돼 미국으로 왔을 때, 이틀 만에 워싱턴 D.C에서 나에게 연락을 해왔다. 그는 갑자기 미국으로 와서 어떻게 생활할지 준비가 덜 돼 있었다. 나는 하버드 대학과 이야기를 해서 국제문제센터 연구원으로 계시게 했다.

미국에서 김 전 대통령은 어떤 대우를 받았나?
그는 유명한 사람이었다. 미국 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 중에 김대중씨를 모르는 사람은 없었다. 당시 미국 지식인의 평가는 김영삼보다 김대중 쪽이 더 실력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김대중 선생이 대선에서 김영삼 후보에게 졌을 때 아쉬워하는 분위기가 있었다. 선생은 하버드 대학에 있으면서도 계속 한국으로 가고 싶다는 뜻을 강력히 내비쳤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그가 한국으로 귀국하는 것을 매우 걱정했다. 1983년 8월21일 베니그노 아키노 의원이  필리핀으로 귀국하자마자 공항에서 암살당한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은 한국에서 똑같은 일이 반복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미국의 김대중에 대한 관심은 한국 역사에 영향을 끼쳤다. 1987년 6월 항쟁 때 당시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 개스턴 시거가 한국에 왔을 때 처음 만난 사람이 김대중 선생이었다. 이것은 미국이 전두환에게 1980년 광주처럼 군대로 시민을 치지 말라는 신호였다.

    
2003년 8월21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퇴임 후 첫 강연에 에드워드 베이커 교수(오른쪽)가 함께했다.
외국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높은 데 비해 한국에서는 반대자가 많다. 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식 때는 추도사를 하려다 좌절되는 수모도 당했다. 입원하기 전에는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다는 말을 자주 했다.
내 생각에는 김대중 선생은 한국에서 아주 역사적인 역할을 하신 분인데, 안타깝다. 요즘 한국이 왜…. 이명박 대통령은 지금까지 많은 잘못을 했다. 노무현·김대중 대통령 때와 비교해 지금은 덜 민주주의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어떤 점이 문제인가?
예 를 들어 노동계에 대한 공세적 대응이나 용산 참사에 대한 대처라든지, 남북 관계는 방치한 것 따위. 북한도 책임이 있지만,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맺은 선언과 국가 조약을 이 정부가 무시한 것을 고려하면, 북한이 화를 내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쇠고기 수입 문제는 아주 잘못했다고 생각한다. 사전에 한국 국민과 같이 토론해야 했는데 그런 과정이 전혀 없었다. 미국 방한 때 이 대통령이 자신을 CEO 대통령이라고 소개하곤 했는데, CEO라고 생각하는 건 민주주의 나라 대통령의 마음가짐이 아니다.

CEO라는 말은 한국에서 좋은 이미지로 통용되고 있다.
CEO라는 자리의 특징은 민주주의적 의사결정 과정과 아주 다른 결정을 내리는 자리라는 점이다. 이게 핵심이다.

미디어 정책도 공세적이다.
얼마 전 미디어법 통과 논란을 지켜봤는데, 권력 기업이 신문·방송 겸영하는 것은 미디어의 집중화와 독점화를 가져오고, 비판 기능은 떨어지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베이커 교수(위)는 박정희 정권 이래 한국 현대사를 눈앞에서 지켜보며 민주화 운동을 도왔다.
과거 1970년대 동아투위 생각이 났겠다.
동아투위 사태 때 이부영 기자가 소공동 풀브라이트 사무실의 우리 미국인 모임을 찾아왔다. 그래서 동아투위를 알게 됐고, 우리가 돈을 모아 동아일보에 독자 광고도 냈다. 문구가 “언론자유 만세, 미국의 친구 16명”이었다. 동아일보 앞에서 한국인들이 시위하고 있는데 키가 큰 제임스 시노트 신부가 서 있는 모습이 도드라졌던 기억이 난다.

이명박 정부를 독재 정부라고 생각하나?
아니다. 전두환 같은 독재 정부는 아니다. 최소한 요즘 고문은 없어졌다.

그럼 노태우 정부와 비슷한가? 김영삼과 노태우 사이일까?
글 쎄, 그것도…. 노태우도 겨울 공화국이란 간판 밑에서 여러 가지 나쁜 짓을 많이 했다. 당시 내가 아시안인권감시센터를 세웠는데 그때 한국 민주운동가들 아주 힘들었다. 어떤 선을 그어서 어디까지 후퇴했다고 측정해 말하기는 힘들다. 제일 중요한 것은 민주주의의 밀물이 빠지고 있다(high tide of democracy is now going backward)는 점이다.

=============
읽다가 재미난 부분만 폰트를 늘려봤습니다.

1.
김영삼, 이명박 죄다 문병가서 김대중 전대통령이랑 대화하고 무슨 화해하고 온 양 행세하더니, 알고 보니 이희호 여사만 만나고 김대중 전대통령 계시던 병실은 들어가지도 못했을 꺼라는 것. 웃기는 쇼의 달인들.

2.
미국의 고위 공무원들이 독재정권 때 오자마자 대통령도 아니고 당시 김대중을 먼저 만났던 걸 보면, 진짜 한나라당 떨거지들이 얼마나 김대중에게 열등감이 컸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기가 죽자살자 섬기는 보스가 자기보다 자기 정적을 더 아껴줄 때의 그 자괴감과 자격지심이 얼마나 열폭했을지. 그래서 김대중이 해외 인사들과 무얼하든 얼마나 아니꼬왔을지... 그러다가 노벨 평화상까지 받자(인터뷰 기사 보다보니 이렇게 유명하면 굳이 로비 안해도 될 정도네요), 완전 뒤집어져서 자기들 딴에는 돈 안먹이고는 불가능하다는 자기들 수준의 짐작만 잔뜩 하고 루머 퍼트리고.. 에혀.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한나라당 인사들의 열등감을 이제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게 되었네요. 이 기사 읽고.

3.
한 대학의 교수가 이 정도로 꿰뚫을 지경인데, 오마바 행정부의 실무자와 정보팀들은 이미 이명박이 완전 하수라는 거 손바닥 보듯이 다 읽었겠구나. 우리가 굳이 뭐라 말 안해줘도 다 알고 있겠다. 그래서 그때 오바마가 참 한심하다는 눈빛으로 이명박 바라봤구나 하는 생각이...






ⓒ 시사인(http://www.sisain.co.kr)  ..


IP : 211.206.xxx.10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여울
    '09.8.21 6:33 PM (211.206.xxx.101)

    http://miboard.miclub.com/Board.mi?cmd=view_article&boardId=1001&articleId=71...

  • 2. wind
    '09.8.21 7:03 PM (218.52.xxx.8)

    오바마가 한심하다는 눈빛...동감이구요, 전 그런 사람을 뜬금없이 대통령으로 뽑은 우리나라국민을 어떤 눈빛으로 볼까 하는 생각을 하면 쥐구멍에 들어가구 싶습니다.

  • 3.
    '09.8.21 8:15 PM (122.47.xxx.67)

    그때 우리 가족을 설득하지 않았을까?
    대통령 선거날!투표권 있는 가족이 6명 인데 나만 했다
    후회한다.

  • 4. 윗님
    '09.8.22 12:35 AM (128.134.xxx.92)

    이젠 그러지 말아요.
    가족을 설득하는 것도 우리 행동하는 양심이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5. 그래요.
    '09.8.22 1:24 AM (210.97.xxx.36)

    행동하는 양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2770 엔화가 엄청오르네여.~ 전망은 어찌될까요? 1 엔강세 2007/08/10 1,215
352769 남자옷들이 왜 이리 예쁘죠? 1 ㅎㅎ 2007/08/10 495
352768 펀드추천 사이트나 좋은 펀드 추천해 주세요. 3 펀드 2007/08/10 633
352767 미국/캐나다 공립초등학교 개학일 2 teatre.. 2007/08/10 325
352766 내집마련 어떻게들 하셨어요? 9 내집 2007/08/10 1,664
352765 오늘밤. 이 남자 ... 18 오늘밤. 2007/08/10 4,214
352764 이번 일요일 서울 갑니다. 2 서울갑니다... 2007/08/10 261
352763 부산 사시는 분들께 여쭙니다 5 피서 2007/08/10 498
352762 악덕부동산업자 고발하니 이런 내용.... 2 악덕부동산업.. 2007/08/10 744
352761 바닷가에서 튜브타기 조심하세요.. 5 안전사고 2007/08/10 1,300
352760 시장에서 2 ^^ 2007/08/10 300
352759 친한 동생이 전시회를 하는데요 5 전시회 2007/08/10 454
352758 버스에서 내리다가 엉덩이뼈를 다쳤어요ㅠ.ㅠ. 9 질문 2007/08/10 1,032
352757 블라블라 인형 애기들이 좋아하나요? 1 .. 2007/08/10 392
352756 이것 좀 풀어 주세요~~ 상식 산수 문제인데 모르겠어요. 5 산수는 어려.. 2007/08/10 491
352755 다 쓴 꿀단지는 어떤 용도로 이용하면 좋을까요? 6 집안정리정돈.. 2007/08/10 909
352754 공무원 6급이면 보통 직장 어느정도인건가요? 6 말이나와. 2007/08/10 4,050
352753 다른집 7세 아이들도 이런가요..너무 속이 상해요.. 3 너무 화가남.. 2007/08/10 854
352752 복부지방흡입 어떨까요? 4 지방흡입 2007/08/10 816
352751 복숭아 어떻게 보관해야해요? 9 복숭아 2007/08/10 1,621
352750 몸은 힘들었지만 마음은 흐뭇해요~ 16 *^^* 2007/08/10 1,822
352749 항문외과 관련 궁금.. (부끄부끄) 9 챙피 2007/08/10 927
352748 발렌시아가 자이언트 브리프하고 입생로랑 뮤즈백 라지사이즈 하고.. 4 별걸 다-_.. 2007/08/10 631
352747 제주도 숙박 및 렌트카 추천이요~ 8 휴가 2007/08/10 507
352746 식기세척기 수리 해 보신분 계신가요? 4 우주나라 2007/08/10 1,035
352745 온갖 생각에 마음이 괴로워요 6 임산부 2007/08/10 940
352744 좀이따가 시댁식구들 옵니다.. 9 에휴.. 2007/08/10 1,564
352743 세대주 변경이요... 1 괜찮은가요?.. 2007/08/10 216
352742 되는일이 없네요 3 나는야~짜증.. 2007/08/10 763
352741 통영 마리나리조트근처 할인점있나요? 4 루비 2007/08/10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