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어린이 영어요. 장기적으로 볼때 어느지점을 중점으로 해줘야할까요?

.. 조회수 : 712
작성일 : 2009-05-20 23:28:10
아이가 6살입니다. 지금까지는 재미삼아 영어 노래도 하고 간단한 기초 사물,동물 영어단어 몇개씩 아는거 귀엽다 하고 지켜보는 정도였어요

이제 좀 장기적으로 바라보고싶은데..
어느지점부터 시작해줘야할지 애매합니다.

저는 처음에는 무엇보다 기본적인 발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언어구조상 서로 많이 다른 발음들에 대해 인지시켜주고자 파닉스도 하고 단어들 억양도 바로잡아줬구요.

이어서 기본적인 회화가 자연스럽게 흘러나오게 하게끔 영어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하니,
이게 과연 무슨 효과가 있나 하는 생각이 좀 들어서요.

제가 말하는 영어공부는 학교공부를 말하는것이구요
어차피 학교에서 보는 시험성적에 대비를 해야 한다면 문법부터 가르쳐야하지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기초적인 에세이를 쓰는 형태가 기본이 되고 파닉스나 발음, 회화는 부수적으로 또 같이 하는 식이 되어야 할것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금은 마냥 놀이하듯 재미있게 영어라는 것에 친밀해 지는걸 중심으로 하려다보니
어차피 매일매일 쓰는 말은 한국어일뿐인데 일상적인 회화 관용어들 입에 익히는걸 중점으로 하기에는
좀 뭔가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돈은 돈대로 쓰고 아이는 그냥 흘려버리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영어공부는 무엇보다 현지인과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게 최고 목표이겠죠
지금 회화 열심히 공부하고 저랑 집에서 영어로 대화하면 미국가서 상점에서 물건은 자유롭게 살수 있겠지만 이게 학교 영어시험의 만점을 받는것과는 좀 다른 형태로 잘하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물론 회화도 잘하고 학교 영어시험도 잘보면 더 바랄것이 없겠지만,
둘 중에 하나라면 그나마 학교시험에 대비하는 쪽으로 시작방향을 잡아줘야하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아니면 회화부터 흥미롭게 잘하면 이게 자연스레 학교공부쪽에도 도움을 줘서 학교공부도 잘하게 되는걸까요?

왜냐하면, 우리애는 알파벳정도는 알고있지만 굳이 비유를 하자면
알파벳을 잘 몰라도 관용어구를 현지인 수준으로 잘 하는 아이와
외국에서 자유자재로 구사하기는 어렵지만 학교 시험을 잘보는 아이 중 어느쪽으로 방향을 잡아줘야할런지

너무 헷갈리네요.
제가 이런다고 아이가 잘 따라와준다는 보장도 없지만요 ^^
저는 아이가 자연스레 일상에서 영어표현 하는게 좋아서 담달부터 뭘 하나 시킬려고 생각중인데
1년간 기껏해서 짤막한 관용어구 여러개 익히는 수준에서 끝날까봐 좀 불안하네요
애들 하는 영어가 다 그렇겠죠 일반적인 표현들,..그런건 중학교만 가도 한달이면 마스터할 분량인데

차라리 복수뒤엔 s를 붙이고 단수 앞엔 a를 붙이고 이런거부터 쉽게 재밌게 가르쳐주는게 좋을지
고민되요~~ 6살 후반기에는 워밍업하다가 7살되면 한 1년 좀 계획잡아 시켜볼려고 하거든요  
IP : 121.139.xxx.24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9.5.20 11:40 PM (121.139.xxx.220)

    우리가 어려서 언어 배우는 걸 생각해 보시면 대충 감이 오실 듯 합니다.

    제일 먼저 듣기로서 귀를 틔워 주시고요,
    사실상 발음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영어에 있어 표준이라 할만한 것도 사실 없고요.
    미국 발음, 영국 발음, 호주 발음, 필리핀 발음, 영어 발음은 천차만별...
    그럼에도 인토네이션에 따라 서로서로 알아 듣고 의사소통 하고 그렇죠.
    우리도 북한 사람들 발음 달라도 뭔 말 하는지는 알아 듣잖아요. ㅎ;;

    유아니까 제일 먼저 듣기부터 시키시고,
    무엇보다 영어가 학습이나 공부가 아니라,
    순수한 언어로서 다가갈 수 있게 재미를 느끼게 하는데 중점을 두세요..

  • 2. 리딩
    '09.5.20 11:49 PM (99.227.xxx.243)

    도 많이 꾸준히 읽혀주세요.
    저는 한국책도 영어책도 많이 읽히니 저절로 아이들이 실력이 느는게 느껴져요.

  • 3.
    '09.5.20 11:53 PM (121.139.xxx.220)

    위 리딩님 말씀대로 동화같은거 읽어 주면 좋을 수 있어요.
    하지만 절대 부담은 주지 마시고요..
    한글동화 읽어 주듯 그렇게 편하게 해 주시고..

    책을 읽게 하는 것 자체는 어느정도 나이가 든 후에 시작하시는게 좋을 거에요.

    언어를 배우는 순서는 이렇습니다.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듣기가 안되는데 절대 입 안터지고요, 문자를 모르면 당연히 쓸수도 없겠죠.

    우리 어렸을적 영어 교육 생각하시면서,
    익숙치도 않은 알파벳을 가르치고 단어나 표현 외우게 하고 그러지 마세요.
    금방 질리고요, 지금 어른들처럼 말도 못하는 벙어리로 크게 됩니다. ㅎㅎㅎ;;

  • 4. 흑~
    '09.5.21 12:07 AM (125.187.xxx.201)

    울 큰애 초5, 정말 3살때부터 영어해줬어요. 나름 엄마표와 학원병행 10년의 세월.
    근데 왜 말하기와 쓰기가 이리 안될까요???
    듣기, 읽기는 엄청 잘 하는데
    얘가 일기 쓰기도 독서록도 쓰기 싫어하는데 영어쓰기도 꽝~
    영화같은거 다 알아듣고 하는데 말하는거도 영 꽝~~
    흑, 왜 그럴까요???
    학원은 어디를 보내야 좋을지요..
    지금 정상 다니는데 lsc 에요.

  • 5.
    '09.5.21 12:24 AM (121.139.xxx.220)

    말하는 거나 쓰는 건 단계별 연습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어려서 말을 배울때를 생각해 보세요.
    처음 1년 여간 듣고만 있죠.
    엄마가 말하고 아빠가 말하고 주변에서 말하는 걸 듣기만 해요.

    그 다음에 말을 조금씩 시작하는데..
    처음부터 줄줄 말하던가요?
    아니지요..
    몇년에 걸쳐, 그 수많은 듣기가 이뤄지고 모국어 언어회로가 뇌에 잡혀가는 수준에 맞춰,
    어휘도 늘어나고 알맞은 표현도 할 수 있게 되고 그러는 거죠.
    매일같이 부모와 친구와 선생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말하기를 연습하고요..

    즉, 듣기 훈련 만큼이나 말하기도 훈련이 필요하고,
    많이 읽는 만큼이나 쓰는 것도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미국인들한테 자국어로 에세이 써보라고 하세요.
    제대로 쓸 줄 아는 사람이 전체 국민 중에 얼마나 되나..
    쓰는게 언어 배움에서 제일 마지막 단계이고 또 제일 힘든 겁니다...

    듣기도 잘하고 읽기도 잘하는데 왜 말하기나 쓰기가 안되냐고 걱정만 하지 마시고,
    어떻게 하면 자주 말하고 쓰기를 연습시킬 환경을 줄 것인가를 생각해 보세요.
    듣기 읽기 만큼이나 자주 해봐야 합니다..

  • 6. 저도,
    '09.5.21 2:57 AM (116.43.xxx.84)

    아이가 6살이라 부쩍 이쪽으로 고민을 많이 하는데요
    선배님들의 의견, 원글님께 뭍어서 듣고 싶어요 ^^ ;;;

  • 7. 짤막한 관용어구
    '09.5.21 10:47 AM (99.237.xxx.91)

    익히다 보면 긴 문장이 자연스러워 집니다.
    '첫 술에 배부르랴' 라는 말이 백만번 공감이 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6221 시판 콩국수 콩국물? 뭐가 맛있나요? 4 ㅎㅎ 2006/08/10 993
316220 오픈때 작은 다과케이터링 준비... 4 전시회 2006/08/10 584
316219 저렴한 그릇 장식장 판매하는 곳 알려주세요 1 갖고싶어요 2006/08/10 704
316218 살돋에 어울리지 않는 글 6 제의견 2006/08/10 1,660
316217 부산분들 아니면 부산 다녀오신분들..질문요.. 4 잠시만 2006/08/10 546
316216 마시안 오늘 갔다왔어요~~~^^;; 1 보고^^ 2006/08/10 707
316215 우리 꼬맹이(5살 여아)에 맞는 샴푸랑 샤워젤은 뭘까요? 1 꼬맹이 2006/08/10 255
316214 엄마들께 여쭙니다.- 본인 아가들 응가는 응가같지가 않은건가요? 46 불편한 맘 2006/08/10 1,939
316213 합지도배문의~ 2 인테리어 2006/08/10 410
316212 급질! 남편이 치질 수술을 한다고 해요 ㅠㅠ 6 일산아짐 2006/08/10 596
316211 일산 근처 수영장 추천 부탁 드려요 3 일산아짐 2006/08/10 306
316210 대리석 식탁 살때 눈여겨 봐야 할점 알려주세요 3 이사 2006/08/10 730
316209 신세계강남점에 다우니가... 3 다우니 2006/08/10 1,025
316208 혹시 아이가 거창고등학교에 다니시는분 게신가요? 4 궁금 2006/08/10 1,097
316207 메뉴가 늘었네요. 운영자님께 감사. 꾸벅~ 82질 2006/08/10 196
316206 혹시 개포동 대청오피스텔(대청타워) 살아보신분?? 7 독립 2006/08/10 1,913
316205 도어락 구입하고 싶은데... 4 도어락 2006/08/10 383
316204 도움 좀 주세요 1 2006/08/10 261
316203 7개월 임산부인데요..제주여행 동선 좀 잡아주세요~~ 3 제주도의푸른.. 2006/08/10 348
316202 집을 매매했는데,(꼭 답변 좀.... _._ 부탁드려요..) 1 급깝깝 2006/08/10 752
316201 한방에서 35개월 된 딸이랑 신생아를 같이 재우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6 둘째맘 2006/08/10 569
316200 대구 사시는 회원님..동대구역에서 영남대병원까지 어떻게 가야할지... 7 길안내부탁 2006/08/10 969
316199 시댁문제 예민한 남편 4 부부싸움 2006/08/10 1,616
316198 재수 없는 @은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더니... 1 황당 2006/08/10 1,112
316197 대학병원 진료비 원래 그런가요? 6 사랑니 2006/08/10 1,335
316196 놀이방선생님을 싫다고하면 ? -ㅡ- 5 아이 2006/08/10 428
316195 18평이하 아파트 괜찮은곳? 4 아파트 2006/08/10 587
316194 인터넷에서 성게파는 곳 2 질문 2006/08/10 443
316193 내 옷장 안을 뒤적거리다보니... 20 최고최저 2006/08/10 3,095
316192 강화마루 색깔골라주세요~ 3 인테리어 2006/08/10 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