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도대체 전문직의 범위가 어디까지인가요?
전문직이란 도대체 어디까지를 말하는 건가요?
간호사도 자긴 전문직이라고 그러고,
공인중개사도 전문직,
교사도 전문직, 학원강사도 전문직,
심지어는 무슨 장사하는 분들도 자기 전문직이라고 하는군요.
제가 생각하는 전문직이란
왠만큼 공부해서는 가지기 힘든 직업 + 고수입의 조건을 갖춘
이를테면 의사, 변호사 정도를 이야기하지 않나 했는데
아니었나요?
직장 좀 오래 다녔다는 분들 보면
자기가 전문직이라는 사람들이 많아서...
1. ..
'09.4.16 11:33 AM (211.229.xxx.98)전문직은 힘들게 공부해서 얻은 자격증이 있어야만 할수있는 직업이고 자기가 오너가 될수 있어야겠지요.
월급받는 직업은 전문직에서 제외..(고소득이 될수 없으므로)
그러니 간호사나 교사는 전문직에서 제외(제 사견입니다)2. ^^
'09.4.16 11:38 AM (202.20.xxx.209)이런 류의 얘기가 올라오면, 답글에 굉장히 넓은 전문직의 분류가 달리곤 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일반적으로 전문 자격증에다 고소득이라고 짐작되는, 의사, 변호사가 받아들이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전문직이라는 생각이 들구요. 본인이 전문직이라고 얘기하시는 분들은 조금 더 넓게 얘기하더군요. ^^3. 파발코
'09.4.16 11:40 AM (218.237.xxx.189)저는 전문직이, 파발코가 정의한 전문직의 개념에 의한다고 생각했는데
여기서는 아닌가보더라고요.4. 솔이아빠
'09.4.16 11:40 AM (121.162.xxx.94)1.전문직엔 무엇이있으며
2.가장 선호하는 전문직은 뭐가 있나요?
3.가장 연봉이 높은 전문직은 뭔가요?
4.전문직에 대한 설명좀
1.
이곳에 나열할수 없을정도로 많습니다.
또한 전문직으로 분류되지 않던 직업들도 점차 전문화 되고 잇습니다.
하나만 예를들어 볼까요..........
과거엔 직원들중 싹싹하고 예의바르고 용모단정한 직원을 비서로 채용햇습니다.
지금은 대학에 비서학과가 존재하며 비서만을 따로 채용하여 이미 전문직이 되어 있습니다...
매일 길에서 만나는 버스기사, 경찰 을 비롯하여 학교선생님 등등 모두가 그분야의 전문가들입니다.
전문직이 아닌것을 따지는것이 빠를것입니다.
2.
참고로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종들은......
변호사
의사
방송국PD
외교관
전문 경영인
프로그래머
경찰공무원
회계사
등입니다........
3.
글쎄요....... 직종별로 평균을 내는것은 불가능할테고.....
박지성, 박찬호........떠오르고 잇는 김연아 정도가 가장 많이 벌어들이겠네요
이외 직종별로 고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알려진것들은....
변호사, 항공기장, 문화관련 기획자, 의사, CEO 등 기업고위직..........등입니다.
4.
수없이 많지요......
수년전엔 없었던.......혹은 있었지만 그런 직업명을 가지지 않았고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회(기업)는 모든 분야에 전문가를 요구합니다.
산업은 전문화, 세분화 되어가고.........이것저것 잘하는 인재보다는 하나라도 남보다 뛰어난 자가 선호됩니다.5. @@
'09.4.16 11:44 AM (114.108.xxx.51)사자 사위보고싶은 우리 친구....
딸한테 그런 남자 데려오랬더니....
""엄마 , 마술사는 어때..? " 그래서 백으로 와장창 맞았다는..ㅎㅎㅎㅎ
그것도 "사" 자 직업이랍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6. 저는
'09.4.16 11:48 AM (125.131.xxx.1)제 생각엔, 교수 , 의사 변호사 검사 판사 , 노무사, 회계사. 정도요
7. ......
'09.4.16 11:51 AM (123.204.xxx.38)직업이 기하급수적으로 다양해져서....
예전 개념으로 전문직이다 아니다 하기에 너무 애매한 게 많은거 같아요.
요즘 같은 실업대란에는 먹고 살 수 있는 직업이면 그게 어디냐...싶네요.8. ^^
'09.4.16 11:57 AM (220.64.xxx.97)어제 무릎팍도사에서 강호동 왈, 의사, 변호사,판사 그리고 천하장사. ㅎㅎㅎ
고소득 전문직과 일반소득 전문직이 있을것 같은데
대개 전문직~이라 부르며 기대하는건 의사,변호사,판검사,공인회계사정도가 아닐까요?
간호사나 약사는 전문직이지만 그 영향력이나 소득이 적고...9. ㅎㅎㅎ
'09.4.16 11:59 AM (211.63.xxx.201)마술사.. 울 남편도 "사"자 예요.. 회"사" 다녀요~~~
전문직이라함은 제가 알기론 넓게는 자격증이 있는 직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전문직이란 단어가 나올땐 고소득 전문직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고 봐요.
앞의 고소득자가 거슬리는 빼는 경우가 많죠.
문장을 보면 단순히 전문직을 말하는지 고소득을 동반하는건지 대충 눈치로 때려잡아야죠.10. 글쎄요..
'09.4.16 12:04 PM (116.39.xxx.99)비서 버스기사 경찰.. 이 전문직인가요..?
비서랑 버스기사는 회사원... 경찰은 공무원... 보통은 이렇게 구분하는 듯 한데..
대기업,금융기관의 비서들.. 비서학과 출신중에 뽑는 사람 별로...
그리고 <전문가>랑 <전문직>은 다르지 않나요.
어느 파트에 오래 근무하면 그 분야에 전문가는 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그걸 전문직이라고는
하지 않잖아요.
전문직이라 하면, 아무리 다양회 되었다해도 누군가에게 소속되지 않고
최소한 프리랜서가 가능한 정도쯤의 자격증과 능력이 있는 사람 정도 되야하지 않을까요..
의사 변호사 아니더라도...11. ㅎㅎㅎ
'09.4.16 12:13 PM (115.161.xxx.28)저 나름의 기준은..조직에 속하지 않고서도 그 일로 돈을 벌수 있느냐 없느냐 인것 같아요..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변호사, 의사는 조직에 속하지 않고 개업을 할 수 있죠..통역사, 번역사 마찬가지구요..프리랜서 작가, 일러스트레이터도 마찬가지입니다.
"고소득 전문직"이라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단순히 전문직이라 함은 프리로도 돈을 벌수 있느냐 아니냐가 기준 아닐까 하네요...12. 저는
'09.4.16 12:21 PM (203.247.xxx.172)원글님 처럼 생각합니다...
그 직종이 어느 정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개나 소나(제 직업 포함) 자신이 전문직이라고 하면
듣는 입장에서는 아닌데...착각인데...하게 됩니다...13. 아..어렵다~
'09.4.16 12:31 PM (211.49.xxx.116)갑자기 전문직이 어디까지이지 생각할려니..머리가 딩~하네요.
14. 음
'09.4.16 12:34 PM (121.130.xxx.80)사람마다 생각하기 나름일 수도 있는데
요즘같은 상황에서는 의사, 변호사 두 직종 제외하고
진정한 전문직이라고 하기는 힘들죠15. ..
'09.4.16 12:48 PM (59.10.xxx.219)여지껏 전문직이 변호사, 의사, 회계사, 교수 정도로 생각하고 살았던 사람인대요..
여기와서 별별직업도 전문직이라고 하는구나 싶었어요..
그냥 저는 제생각에 직업만 전문직이라 생각할랍니다..16. 미용사
'09.4.16 1:18 PM (61.102.xxx.71)미용사인 제 친구도 그 집단에선 자신들이 전문직이라 말합니다. 엄연히 전문기술직이겠지요. 그런 종류의 직업들과 소위 전문직이 구분이 어렵긴 사실이네요 윗분 말씀처럼 직업이 점점 세분화 되고 전문화 되어가는 요즘 세대에서는 그 전문직이라는 계념도 진화 되어야 하긴 할것입니다.
17. 전문직
'09.4.16 1:42 PM (211.229.xxx.188)판검사, 변호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회계사, 변리사...
이정도?18. 흠.
'09.4.16 1:50 PM (211.210.xxx.62)일반 상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즉, 일정한 시간을 들여 해당분야의 교육을 통해 전문 기술을 습득한 자만이
일을 할 수 있는 직종이 전문직이 아닐까 싶은데요.19. ..
'09.4.16 2:02 PM (85.154.xxx.195)이런거 저런거 다 떠나.. 글 쓰실때 나름 전문직 이러시면 살짝 우스워요.
20. ..2
'09.4.16 3:21 PM (218.234.xxx.163)저도 "나름~전문직" 이란말 쓰시는분한테 약간의 반감이 생긴다고 할까요
대체 나름~전문직엔 뭐가 있을까요?21. ..
'09.4.16 3:22 PM (61.105.xxx.132)82에서 나름 전문직이라고 하는건 ~사 이런직업군들 아닐까요?
변호사.의사.검사.회계사..이정도.22. cpa
'09.4.16 3:52 PM (59.5.xxx.237)물론 인식차인데...요즘은 회계사 전문직으로 인정 안해주는곳도 많더군요,
세무사는 더하구요...23. 음
'09.4.16 4:58 PM (222.110.xxx.141)일단 자격증이 있어야 하고, (의사자격증, 변호사 자격증..)
조직에서 벗어나도 스스로 개업 또는 프리랜서가 될수 있어야 함.
자격증과 개업으로 줄이면 되는데 일반상식으로 여기 고소득+자격증이남들따기어려워야함..이 정도..?24. ...
'09.4.16 6:52 PM (121.135.xxx.194)아이고,, 여기서 왈가왈부 해봤자 아무 소용 없어요.
은행 가면 전문직 대출상품이 따로 있습니다. 그 브로셔 보면 쫙 등급별로 리스트 있어요. 그게 전문직이죠.
한의사, 치과의사, 그냥의사, 회계사, 변호사, 변리사, 세무사, 약사, 기타등등..
콜센터 상담원도 전문직이고 디자이너도 전문직이라고 하는데 다 스스로 부르는 얘기지
세창 전문직은 아니죠.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 303561 | 그만 헤어지자고 하네요... 19 | 어쩌지요 | 2006/02/10 | 2,839 |
| 303560 | 갑자기 치아가 이상해서 보니 1 | 앞니 | 2006/02/09 | 913 |
| 303559 | 가족사진 가격대는? 1 | 자연맘 | 2006/02/09 | 434 |
| 303558 | 짐보리.. 3 | ... | 2006/02/09 | 582 |
| 303557 | 남의글에 댓글올렸다가 엉뚱한 항의성쪽지받으시는분도 계신가요? 4 | 쪽지기능 | 2006/02/09 | 1,271 |
| 303556 | 돈암동 사시는 미시님들 도와주세요 2 | 유치원 | 2006/02/09 | 349 |
| 303555 | 요가 배울곳 추천 부탁드려요(강남권) 3 | 요가 | 2006/02/09 | 321 |
| 303554 | 유아... 한자능력검정시험 시험쳐보신분.. 4 | 딸자랑 | 2006/02/09 | 544 |
| 303553 | 내조에 대해 나온 글을 보다가... 5 | 냠냠 | 2006/02/09 | 975 |
| 303552 | 학생인데요 과외비 문제요 ^^;;; 7 | 학생 | 2006/02/09 | 935 |
| 303551 | 위가 너무 아파요..임신가능성있는데 어떻게 하죠? 10 | 위통 | 2006/02/09 | 555 |
| 303550 | 우체국택배 이용료에 대하여 10 | 배보다 배꼽.. | 2006/02/09 | 1,110 |
| 303549 | 이튼알렌 중고가구요. 7 | 중고가구요 | 2006/02/09 | 1,268 |
| 303548 | 경기도권 전문대 와 지방 4년제 8 | 대학 선택.. | 2006/02/09 | 896 |
| 303547 | 늘푸른님께 | 상궁마마 | 2006/02/09 | 194 |
| 303546 | 니 돈 어디 빼돌리나? 19 | 정말 웃겨 | 2006/02/09 | 2,310 |
| 303545 | 아이를 계성초등학교에 보내시는분들께 15 | 계성 | 2006/02/09 | 5,928 |
| 303544 | 웃기는 하나로 통신 2 3 | 저두요.. | 2006/02/09 | 802 |
| 303543 | 사춘기 자녀를 두신 분들께 묻고 싶습니다. 12 | 답답.. | 2006/02/09 | 1,177 |
| 303542 | 자동판매기 2 | 궁금이 | 2006/02/09 | 255 |
| 303541 | 17개월된 아이와 함께 여행 조언구합니다. 2 | 김민희 | 2006/02/09 | 143 |
| 303540 | 짐보리나 칠드런스 플레이스같이 어른옷 살만한 해외사이트 없나요? 4 | 나도 | 2006/02/09 | 481 |
| 303539 | 아웃백에 3명이서 가는데 메뉴 추천해주세요~^^ 4 | 아웃백 | 2006/02/09 | 1,012 |
| 303538 | 피자에땅 피자 맛 어떤가요? 12 | 피자얘기가나.. | 2006/02/09 | 1,524 |
| 303537 | 별로 안보고 싶은 남편 16 | 궁금 | 2006/02/09 | 1,833 |
| 303536 | 이삿짐 센타 어디가 좋을까요... 1 | 이삿짐센타 | 2006/02/09 | 211 |
| 303535 | 가사도우미 쓰시는 분들..일분량좀 문의드릴께요. 19 | 힘들어요 | 2006/02/09 | 2,058 |
| 303534 | 인터넷어디 사용하시나요??? 신규or 기존?? 한말씀부탁드려요 3 | dododo.. | 2006/02/09 | 298 |
| 303533 | 잘아시는분~ 1 | 탑포인트로 | 2006/02/09 | 266 |
| 303532 | 눈길 조심하세요 5 | 왕챙피~ | 2006/02/09 | 39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