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펄펄 끓는 아파트 "지금 손 대면 데인다"

verite 조회수 : 1,740
작성일 : 2009-04-14 13:04:09
주식이나,,,, 부동산이나,,,,,
그 싯점에 딱 맞는 예측을 누가 하겠습니까?
어느 한쪽의 시각에 빠지지 않으며  선택을 해야겠죠.....

###########################################################################

강남 재건축 "사자" 열풍… 집담보 대출 2년만에 최고
"저금리·규제완화 따른 일시적 상승, 추격 매수 자제를"




전대미문의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으로 패닉 상태에 있던 세계 경제가 최근 회복 기미를 보이면서 국내 부동산시장에도 봄기운이 돌고 있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와 강북 일부 뉴타운의 집값이 금융위기 직전 수준을 거의 회복했다.


2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2006년 11월 이후 2년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이 같은 분위기 변화를 반증한다. 이에 따라 부동산 업계에서 '지금이 집을 사야 할 때인지 아닌지'에 대한 '집값 바닥 논쟁'이 뜨겁게 일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지역과 주택형에 따라 다르지만, 아직은 (매수하기에) 이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일부 지역에서 값이 오르고는 있지만 이는 재건축 규제완화, 제2 롯데월드 건축 허용, 저금리 등 외부 단기 호재에 따른 영향이지, 주택시장 자체의 응축된 에너지가 분출된 게 아니라는 분석이다. 외부 요인에 의한 단기 상승의 성격이 커 외부 충격에도 언제 다시 시장이 급냉각할 지 모른다는 것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현아 연구위원은 "올해 들어 저금리에 각종 규제 완화 조치까지 취해지면서 강남권 재건축의 급매물이 회수되고, 전세금이 오르는 등 저점으로 볼 수 있는 요인들이 만들어진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최근 주택경기는 자체 수요보다는 외부 요인에 더 좌우되기 때문에 추가 상승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3월부터 기존 대출자들이 저금리를 등에 업고 급매물을 회수했지만 하반기에도 국내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다면 처분 수요로 급매물이 다시 쏟아질 수 있다"며 "(실수요자는) 그 때까지 기다려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최근 가격이 금융위기 직전 수준까지 올라간 강남 재건축 아파트에 대해서는 추격 매수를 자제할 것을 강조했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연구실장은 "강남 재건축 단지는 올해 초 정부의 잇단 규제 완화 조치로 단기 급등하면서 최고점이던 2006년 말 대비 90% 이상 가격이 올라간 상태"라며 "추가 상승할 요인이 그리 많지 않은데다 저가 메리트까지 사라져 당분간 관망하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함 실장은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 폭이 크지 않은 강북의 한남동, 성수동의 급매물은 2~3년의 장기 투자를 염두에 둔 것이라면 매수를 고려해도 된다고 전했다.

김학권 세중코리아 대표는 단기 급등한 것은 분명하지만 아직도 저가 매수를 할 만한 단지도 남아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강남 재건축 단지는 당분간 추가 상승이 힘든 게 사실이지만 일반 아파트는 아직 고점대비 25~30%정도 낮은 수준이라 매수를 고려해 볼만하다"고 했다.

그는 저가 메리트가 있는 지역으로 지난해 폭락세를 보인 분당과 일산 등 1기 신도시 중소형 평형과 판교신도시, 향후 재건축 가능성이 있는 강남의 일반 아파트를 추천했다. 아직 추세적 상승의 에너지가 부족한 만큼 연말까지 추이를 지켜보는 인내와 혜안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IP : 211.33.xxx.22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2713 내 주변은 모두 공주들,, 나만 무수리.. 25 무수리 2006/02/03 2,158
302712 스탠드형 에어콘을 구입하려고요. 1 박윤경 2006/02/03 138
302711 우리에게 힘이 되는..... 회상 2006/02/03 174
302710 동네 약국에 속쓰려서 갔더니 약값이 7200원....원래 이렇게 비싼가요? 15 아파서 2006/02/03 848
302709 구슬김밥 드셔보셨어요? 창업할까.... 2006/02/03 666
302708 급)도와주세요.컴 앞에 대기 2 뇌졸증.. 2006/02/03 284
302707 전화 요금을 조금 줄여볼까 해서 그런데요~ 5 궁금이 2006/02/03 501
302706 좋은건 다 지아빠 닮아서..... 커컥!!! 6 뒷골 띵 2006/02/03 915
302705 싸게 살수 있는 곳 없을까요 1 검심 2006/02/03 367
302704 혹시 가정용LPG가스 한통에 얼마나하나요?? 6 밍크밍크 2006/02/03 870
302703 율전동이라고 수원에 아세요 ? 9 밤꽃 2006/02/03 698
302702 부모님 모시고 제주도 여행 저렴하면서도.... 2 2006/02/03 415
302701 2404 정만 괜찮나요? 2 이사이사 2006/02/03 475
302700 7세인데 피아노 두달만에 싫다 하네요, 어쩌지요? 4 2006/02/03 584
302699 영어유치원에 보내고 싶은데... 1 2006/02/03 387
302698 이사하는데 아이가 걱정을 많이 해서... 3 어떻게 2006/02/03 316
302697 아이가 우유 먹으면 구역질난다 해요 ㅠㅠ 7 2006/02/03 346
302696 너무 예뻐진 그녀. 우울해~ 4 우울 뚱뗑이.. 2006/02/03 1,947
302695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1 해외여행 2006/02/03 270
302694 여의사 시집 잘 보내기.. ^^ 14 언니 2006/02/03 5,621
302693 잠실에서 삼다수를 싸게 먹는방법좀,, 3 .. 2006/02/03 491
302692 미술레슨시 물감가지고 다니는거.. 3 에효~ 2006/02/03 331
302691 cma통장이 뭔지 모르겠어요 2 ? 2006/02/03 527
302690 일산에 치과교정잘하는곳이 있나요? 3 궁금이 2006/02/03 238
302689 예비 1학년 아이 피아노 학원에 관한 질문 드립니다. 2 예비초등맘 2006/02/03 341
302688 아기 있음 드럼세탁기 정말 좋나요? 6 출산준비 2006/02/02 512
302687 심실조기박동(부정맥?) 잘 아시는 분 계세요? 4 괴로워요 2006/02/02 334
302686 집에 곰팡이가 생겼어요~ 1 곰팡이 2006/02/02 342
302685 돌잔치 선물 추천바랍니다. 4 앙앙이 2006/02/02 263
302684 한살림과 생협 가입에 대해 문의드려요. 10 잘 몰라서 .. 2006/02/02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