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펌) 최근의 부동산 시장동향을 살펴보면서

remani 조회수 : 740
작성일 : 2009-04-02 11:33:50



사실 저한테도 한동안 아파트 반등.폭등,하락,폭락등이 관심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개인적인 입장도 있겠지만서도,거시적으로 한국경제에 끼치는 부동산의 경제적 영향이 실로 막대하며,사회적으로 보면,부동산으로 인한 불로소득계층의 증가와 그로인한 사회적 갈등에 대한 우려감이 많았습니다.



혹,반론도 많겠지만,저는 아파트에 더 이상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물론 반등하고 폭등 할 수도 있겠지요.하지만 확률이 거의 없습니다.아파트에 관련된 모든규제가 풀렸슴에도 예전 같으면,더우기 부동자금이 현재 500~800조가 MMF등 몰려 있어 언제라도 투기장을 만들 수 있는데,시장은 그리 움직이지 않고 있습니다.시장을 움직이는 심리가 아파트는 이제는 아니라는 공감대가 폭넓게 확산되고 있슴이 분명 합니다.



한주내내 시공사.시행사 관계자와 금융맨들을 만났습니다.이들도 기실 갈팡질팡 합디다.허나 분명한 것은 "그래~아파트가 너무 비싸~뭔 수익이 난다고 절반이상 내려야 해~"이런 공통된 의견이었습니다.이들도 아파트 있고,자금력도 있는 분들입니다.이들 마음이 아파트를 떠나고 있습니다.아파트 시행사들도 아파트시행 계획이 전무 합니다.



강남3구가 반등한다? 그럴수도 있겠죠~ 단기적으로는...근데 일전에도 말씀드렸지만,장기적인 안목으로 본다면,반등? 반등기대?이거이 쓸데없는 기다림이며,힘빠지는 일임을 아셔야 합니다.



요즘 시행사.시공사의 관심이 어드메 있는 줄 아십니까?

이런 침체기속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들 있는데,몇개월전에 제가 앞으로는 주택(단독.전원.타운하우스,세컨하우스,대저택,단지형 중저가 전원주택)이다 누누이 얘기 했는데,긴가민가 하더만 요즘 부쩍 시공사.시행사들도 같은 의견으로 모아지더군요.분명 새로운시장이 형성 될 것입니다.다행스러운점은 일부는 이참에 투기질 하려 들겠지만,아파트 아닌 주택시장은 투기장하기가 힘듭니다.물론 재개발내에 있는 주택(지분용)빼고요.주로 실수요들위주의 시장이 형성 됩니다.



(3월위기설)

3월 위기설은 환율과 주식의 대폭락으로 한국경제가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조심스런 예측이었습니다.저는 3월 위기를 아파트에 국한해서 말씀 드렸습니다.물론 폭락은 없을 듯 합니다.허나 3월에 모든 나머지 규제다 다 풀린시점 입니다.시장은 어디로 갈까요?아파트에 관심없는 사람들이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면?주택시장으로 이동한다면?그간 오로지 주택시장 = 아파트시장 이란 공식이 허물어져 갑니다.그래서 경제위기에 편승하여 새로운 트랜드가 주택으로 이동하면,더 이상 고가 아파트를 받치고 있던 자금,심리가 없어지면서 아파트는 폭락이 가속화 할 것 입니다.3월이후의 어떤정책이 아파트를 반등시킬 수 있을까요?아직 서울시의 한강르네상스 환상에 젖어있는 분들도,사실주의로 보게 되면서,더욱 하락이 가속화 될 것입니다.정부의 그간 노고에 감사 드립니다.경제가 아파트 폭락으로 파산할 것이라는 생각에 떠받쳐 주려는 여러 정책입안에 고생들 하셨습니다.그리고 어지간히 폭락을 방지하면서,잘 버텨주어서,일단은 경제패닉을 방어 하셨슴을 인정 합니다.

(폭락 아니 아파트가격제자리 찾기가 빨랐으면,경제에 더욱 프러스 시그널 이 되었지만)



아파트의 대체제로써 주택시장이 떠오른다면?정부의 피말리는 아파트 방어정책도 별로 필요없을 것이고,아파트는 정부관료들의 관심도 없어 집니다.그간 어지간히 욕들도 먹었잖아요?애물단지죠,새로운 애인이 생겼다고나 할까? 귀찮은 존재?"아~ 아파트 짜증나~ 그래 주택이야 주택ㅎ"



물론 제 일방적인 생각이라고 합시다.곰곰히 생각해보면,아파트 좀 지겹지 않나요?차라리 그돈으로 마당있고,개성있고,예쁜주택이 좋지 않을까요?나만 그리 생각 할까요?물론 교통여건상 꼭 역세권에 계셔야 분들도 많으니 아파트를 선호 할 수도 있겠지만,요즘 일산에서 매일 강남(역삼)나가는데 40~1시간정도 소요 됩디다.시간대가 다 틀리긴 해도.....토요일인 어제는 더 빠르더군요.



(환율/주식시장)

3월 위기설의 환율폭등과 주식시장붕괴는 없는 것으로 결정 되었습니다.환율이 폭등할때 저도 우려감이 많았습니다.왜냐?수입품의 가격 상승으로 국내 물가에 엄청난 인플레이션이 걱정 되었죠.그래서 금리인상으로 와자를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 했고요,금리인상은 곧 부채비율이 많은 아파트소유자들을 압박하게 되면 매물증가로 아파트가격 폭락을 가상해 보기도 했습니다.거기다 마땅한투자처가 없는 시기이다 보니,자산보존의 수단으로 달러보유/사재기가 급격히 일어나지 않을까?그래서 더더욱 달러수요가 증대하면서,환율이 폭등하는 최악의 상태가 되지 않을까?걱정이 많았습니다.

약간의 기대감은 미국의 사상최대의 경기부양책으로 국채3,000억달러 매입등 달러찍어대기로 인해

달러가치의 하락이 가중될것이니,원화/달러가 급격히는 오르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은 들더군요.

어쨋건 환율안정이 되어가고 있고,연동하여 저평가 되었던 주식시장도 안정화모드로 가고 있습니다.앞으로 어떤 악재가 돌발할지는 저도 모르겠으나,이제 서서히 웬만한 악재에 면역이 되어가는 심리가,곧 경제회복모드로 가는 듯 합니다.



(세계경제)

IMF도 내년부터 경기회복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세계적대공황의 위협에서 어느정도 벗어날듯 합니다.미국은 이미 GDP6%에 해당되는 재정확대정책과 미국이 소리높혀 유럽에 미국에 버금가는 재정정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물론 유럽각국이 미국말 잘 듣지 않습니다.독일.프랑스는 2%대를 고수하고 있고요,재정정책에 시각 차이가 있습니다.하지만 글로벌경제위기에 전무후무한 각국의 경제공조정책은 분명 실효를 거두리라 생각 됩니다.우려했던 치킨게임이나 나만 살고보자는 보호주의는 일어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일 보호주의가 확대된다면?가히 자본주의의 붕괴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하는 듯 합니다.



(슈퍼추경)

정부의 금리안하 금융정책은 꼭 실패했다고는 볼수 없으나,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 했습니다.한국은행의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시중금리는 연동되지 않고 왜곡 되어 버렸지요,거기다 유동성 함정에 빠지는 못마땅한 결과를 초래 했습니다.남은건 재정확대정책인데,이는 절대적으로 입안자와 집행자의 혜안이 필요합니다.재정적자를 감수하고,경제위기를 탈출하자는 생각은 맞는데,한정된 예산으로 적재,적소에 투사하길 바랄 뿐 입니다."쓸데없는 짓거리에 예산낭비하면 가만 안둔다!!!"



정부의 정책중 신뢰상실은 감세정책에 확연히 나타났습니다.부자들의 감세는 소비진작과 경기활성화에 너무도 미미한 영향을 끼치는건 교과서적 경제이론 입니다.근데,굳이 이걸 단행한 정부는 반성해야 합니다.쓸곳은 많은데 필사적으로 부자들을 위한 감세로 세원을 줄인다?이러니 국민이 믿지 못하는 정부라고 하는 겁니다.TV토론에서 모차관은 이문제는 얘써 회피 회피 하더군요.그냥 솔직히 "권력기반을 다지기 위해서 부자들 편좀 들었다.잘못 된 정책이다."이런말 하면 얼마나 이쁠까?

일면서도 부자들의 감세를 단행하는 정부~그러면서 정책을 믿으라 한다?아~ 고마 할랍니다.

더이상은 쓸데없은 곳에 예산 투사하지 마시고,감세도 잘 생각해서 하시고,,,,,부자는 그 숫자가 서민보다 적다는 통계를 좀 살펴 보시기 바랄뿐~



우여곡절이 많았고,앞으로도 많를 것이지만,경기는 서서히 회복모드로 가는 듯 합니다.더 빨리 회복 될수 있었는데,하는 아쉬움과 앞으로 당분간 세계경제의 마이너스성장시대에서 정부의 올바른 정책채택은 상대적 프러스성장을 이끌수 있습니다.당근 극일도 가능 하겠지요



마지막으로 노파심에서 말씀드립니다.매스컴 믿지 마시고,잠깐반등? 뭐 이런 것도 믿지 마십시요.

일전에 전세제도몰락에 대해 썼는데,거기다 전세금에 과세 한다면?지렛대효과 아시죠?전세시장 몰락중 입니다.이는 곧 아파트의 몰락 입니다.곧 슬럼화되는 아파트도 보시게 돨겁니다.대한민국에서 금세기안에 절대 아파트투기광경은 볼수 없습니다.믿으셔도 됩니다.지금 어떤시기인데 아파트환각에 빠져 아파트 바닥이니 투자한다는 분들을 호구라고 쓴 적도 있습니다.제발 호구가 되지 말기를 부탁 드립니다.피부로 느껴지는 시장동향은 아파트 NO 컨센선스 입니다.제가 쓴글에 남아도는 상가,근린상가를 주거용으로 고칠거라고 했었습니다.법을 바꿔서라도~점점 그리되어 갑디다.서서히 역세권중심으로 허용 한답디다.그런데 주택수요부족?그래서 아파트 올라?글쎄~ 남아도는게 아파트요,원룸이요.......상가마져 주거용인데~



P.S 미래를 예측한다면?자산을 지킬수 있겠지요.앞으로 일어날 경제,부동산현상에 대해 곰곰히 생

      각해보시면 앞이 보입니다.
IP : 121.129.xxx.4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래도
    '09.4.2 2:36 PM (211.177.xxx.231)

    한강변 주변의 아파트들은 더욱 그 가치가 올라갈 것 같다는...어느 나라나 그러하지않나요? 한국만 예외일 것 같지는 않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8011 전자제품 몽땅가져갈수 있는지요? 5 미국이민 2005/12/18 494
298010 교대역근처 떡집? 3 질문 2005/12/18 381
298009 지금 싱가폴이에요.. 5 싱가폴 2005/12/18 816
298008 밍크코트를 사려고 하는데... 4 궁금 2005/12/18 1,099
298007 12월에 볼만한 공연 있을까요? 1 사랑티켓 2005/12/18 138
298006 '감으로 하는 영어' 라는 책 구하고 싶어요 ㅠ.ㅠ 절판 2005/12/18 292
298005 종합병원의 약과 일반동네 병원의 약이 다른가요?(선생님과 약사님께 여쭤요) 5 아픈맘 2005/12/18 729
298004 아 !!ㅠㅠ 경비실 방송.. 11 아 -.-;.. 2005/12/18 1,340
298003 우리아기 잘 크고있나요? 2 아기 2005/12/18 451
298002 아이 콧잔등을 데었어요. 3 화상 2005/12/18 162
298001 분당에 바이킹즈 부페레스토랑 가보신분.. 2 롯데마트안에.. 2005/12/18 620
298000 덜렁대는 우리딸,,, 4 딸가진맘 2005/12/18 688
297999 60평생 마지막으로(조언 많이 부탁드려요) 2 내집마련 2005/12/18 1,179
297998 너무 속상해서 미치겠어요. ㅠ.ㅠ 9 시댁일 2005/12/18 1,738
297997 이번에 첫 신용카드 신청했는데요. 4 카드.. 2005/12/18 330
297996 수면내시경을 하려고 하는데 도움말씀부탁드립니다 6 내시경 2005/12/18 619
297995 내집마련에 대하여 여쭙니다 6 갖고파.. 2005/12/18 877
297994 초등생과아스피린 4 마이아파 2005/12/18 388
297993 압구정동에서 갈만한곳. 1 게으른것 2005/12/18 367
297992 연필깍기 추천해주세요. 4 산타선물 2005/12/18 481
297991 스캔해서 보내준 메일이 거꾸로인데... 3 메일 2005/12/18 199
297990 양재동 아파트 전세 싸게 놓습니다 집주인 2005/12/18 847
297989 하모니카(악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산타선물 2005/12/18 189
297988 스틱운전.. 14 초보.. 2005/12/18 801
297987 울 아기 초음파 21주 되는거 구경하실래요 3 mrsyou.. 2005/12/18 529
297986 제주도여행 파라다이스 호텔이 나을까 샤인빌리조트가 나을까요? 4 겨울여행 2005/12/18 687
297985 세살난 여자아이가 자꾸 거기를 만져요 10 어떻게 해요.. 2005/12/18 1,740
297984 어제 아이 이빨이 흔들린다고 했던... 1 감사해요. 2005/12/18 328
297983 82cook에 눈 내리네요~~*^^* 1 비비 2005/12/18 218
297982 갑상선암 수술해보신분들. 정제된 소금이라는게 정확히 무엇을 말하나요? 5 소금 2005/12/18 749